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튜브 콘텐츠에 재현된 온라인 공간에서의 민족주의 -‘외국인 리액션’ 콘텐츠를 중심으로-

        노영은(Noh, Yeongeun),류웅재(Ryoo, Woongjae)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20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20 No.-

        최근 유튜브 플랫폼이 활성화되며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가 등장했고 외국인과 관련된 콘텐츠 또한 다수 등장하였다. 특히 외국인들이 한국문화에 특정한 방식으로 반응하는 콘텐츠가 주로 생산되며 수용자들에게 인기를 끌었는데 이는 기존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도 볼 수 있던 현상이었으나, 유튜브 플랫폼의 특성상 대중들이 이를 주도적으로 생산 및 소비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점을 드러낸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심층적으로 논의하기 위해 ‘외국인 리액션’ 콘텐츠 장르 중 <코리안 브로스 KOREAN BROS ENT>와 <외국인 반응 with 에밀리>라는 채널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코리안 브로스 KOREAN BROS ENT>와 <외국인 반응 with 에밀리>는 음식 등 특정한 한국 문화를 제공하고 이를 체험한 외국인을 통한 대중의 인정욕구를 충족함으로써 수용자들의 민족적 자부심을 고취하고, 외국인들을 타자로 치환함으로써 민족주의가 적극적으로 발현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해당 채널의 콘텐츠에서 출연자들의 사적인 이야기를 다루고 개인 SNS의 공유를 통해 그들의 사적인 일상을 노출시키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러한 요소들을 통해 시청자의 관음증적 욕구를 충족시키고 있었다. With the recent popularization of YouTube platform, a wide variety of media contents have emerged, and also a series of foreigners-related contents have produced in this context. In particular, many contents dealing with foreigners responding to certain Korean cultures were produced and popularized. Although this phenomenon was existing in television programs in the past, this case is quite unique in that the public is leading the process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due to the nature of YouTube platform. We analyzed two foreigner reaction channels, 〈KOREAN BROS ENT〉 and 〈Foreigner reaction with Emily〉 in order to critically explore and discuss this phenomenon. We found that both contents actively utilized nationalism by providing certain Korean cultures to foreigners and let the audiences fulfill the desire for recognition in this process, and also by replacing foreigners as ‘others.’ In addition, they utilized protagonists" personal stories and were exposing their everyday lives by sharing their personal SNS (Social Networking Service). These factors were satisfying the viewers" voyeuristic needs.

      • KCI등재

        지상파 방송프로그램에 재현된 자기통치 공간으로서의 서울 : 재현 공간으로서의 대도시와 각자도생(各自圖生)하는 청년들

        노영은(Noh, Yeongeun),류웅재(Ryoo, Woongjae) 한국언론학회 2021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7 No.3

        <경성 판타지>와 <그곳에 청년이 산다>는 서울의 이미지와 현실에 주목하는 방송 콘텐츠이다. 이들은 청년들의 삶과 일상, 특히 ‘주거’와 관련한 내용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풀어낸다. 울산 MBC에서 방영되었던 <경성 판타지>는 지방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서울 판타지와 여행을 그려낸다. 이 콘텐츠는 글로벌 대도시 ‘서울’을 꿈과 희망이 존재하는 ‘판타지’적인 도시로 재현함과 동시에 그 이면을 함께 보여준다. 도시현실에 대한 복합적 재현은 EBS의 다큐프라임 <그곳에 청년이 산다>에서도 나타난다. 이 프로그램은 주거권을 제대로 보장받지 못한 청년들을 등장시켜 서울에서 자취하는 개인들의 현실적인 삶에 대해 조명한다. 이 두 프로그램은 한국의 도시, 서울을 특정한 방식으로 서술하고 있다는 점에서 유사한 지점이 있다. 특히, 도시와 청년들의 꿈을 일련의 연계된 이미지로 재현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그 현실을 전면적으로 드러낸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그런데 이러한 부분은 공간이 신자유주의의 모순을 은폐하는 담론으로 이용되는 지점과 그 점이 수용자에게 통치 기제로 작동하게 되는 과정을 담고 있다. 이 글에서는 상상적 이미지를 구현해내는 <경성 판타지>, 서울이라는 공간과 청년들의 삶에 대해 사실적으로 그려낸 <그곳에 청년이 산다>를 통해 미디어가 구성하는 서울의 이미지, 그것이 직조하는 사회적 상상과 그 이면의 현실에 대해 비판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두 프로그램에 대한 텍스트 분석과 함께 2030세대 시청자들의 심층 인터뷰를 병행함으로써 조밀한 현실 사회 속 도시의 기능과 주체의 실천에 관한 논의를 다루고자 하였다. 특히, 앙리 르페브르와 데이빗 하비의 재현 공간과 관계적 공간이라는 개념적 틀을 활용하여 이를 풀어내고자 하였다. 일상성의 모순을 망각하게 하는 도시의 특성 및 신자유주의와 공간에 대한 이들의 성찰적 논의가 신자유주의 발달에 영향을 받은 서울이라는 도시의 기능과 영향을 설명하는 데에 있어 적절하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이들의 논의는 서울을 판타지적인 공간으로 재현하는 것과 사회의 구조적 모순을 잊게 하는 과정을 분석하는 데에 유용한 관찰점을 제시해줄 수 있을 것이다. <Kyungsung Fantasy> and <Young People Live There> are broadcast contents that pay attention to the image and reality of Seoul. <Gyeongseong Fantasy>, which aired on Ulsan MBC, plans a trip to Seoul to achieve the fantasy of young people living in rural areas. This content reproduces “Seoul” as a “fantasy” city where dreams and hopes exist, but also shows the flip side. A reenactment of urban reality is also shown in EBS’s documentary, <Young People Live There>. The two programs are telling stories about the lives of young people, residing in Seoul. The shows feature young people who are not securely guaranteed their right to live in Seoul, highlighting the realistic lives of individuals, living alone in Seoul. Both share a common ground in that they depict Seoul in a certain way, the capital of South Korea. This is especially true in that it is being reproduced as a interconnected image of the dreams of the city and young people, and that it fully reveals the reality. However, these parts include the point where space is used as a discourse to mask the contradictions of neo-liberalism and the process by which it works as a governing mechanism for the audience. We tried to critically analyze the image of Seoul, represented by the media and the illusion it creates, through the panorama of <Gyeongseong Fantasy>, and the <Young People Live There>, which realistically depicts the space called Seoul. We tried to analyze the city’s function in a dense and harsh real-world by combining textual analysis of the programs with in-depth interviews of viewers in their 2030s. We also utilized Henri Lefevbre and David Harvey’s theoretical frameworks of representing space and relational space. This is due to Harvey’s discussion on neo-liberalism and space is useful to explain the function of Seoul, influenced by the development of neo-liberalism. Lefévbre also explains the city’s characteristics that make people forget the contradictions of everyday life. Therefore, one may argue that two scholars’ discussions could provide useful observations for reproducing Seoul as a fantasy space and analyzing the process of forgetting the structural contradictions of society.

      • KCI등재

        로컬 문화산업에 투영되는 지역의 정치경제학

        노영은(Yeongeun Noh),류웅재(Woongjae Ryoo)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3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4 No.2

        근래 한국 사회는 급속한 도시화와 산업화의 문맥에서 국토와 지역 불균형이라는 사회적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하나의 대안으로 부상하는 것은 지역 문화산업이라 할 수 있다. 문화산업은 공간의 특성을 고려하면서 지역 경제 활성화를 가능할 수 있게 하며, 경제적 부가가치 또한 큰 산업으로 여겨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문화산업을 경제적 논리와 이해관계에 기반한 ‘산업’으로만 접근할 경우, 문화산업이 지닌 특수성을 상실하고 이의 지속가능성 역시 담보하기 어렵다는 중요한 문제에 직면한다. 전통적으로 한국은 도시계획과 지역개발에 있어 중앙정부 주도의 발전 계획을 수행해왔기에 문화산업의 실행에 있어서도 유사한 경로를 걸어왔다. 이 연구에서는 정치적, 경제적 요인들이 문화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그 결과로 생성된 지역 공간의 변화 과정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논의를 위한 사례로 이 글은 수원과 전주를 중심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독특한 문화원형, 혹은 문화유산을 보유한 두 도시인 수원과 전주가 지자체 차원에서 문화산업의 중요성을 정책적으로 인식하고 발전시켜온 궤적을 살피고자 하였다. 이는 지역 문화산업의 실행 과정에 개입하는 다기한 정치적, 경제적 맥락과 역사적, 문화적 요인들이 지역 공간과 문화 정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맥락화해 논의하는데 효과적이라 판단했기 때문이다. 또한, 이를 위해 도시를 정치와 역사, 문화와 경제 등의 중층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형성 및 축적된 결과물로 본 데이비드 하비(David Harvey)의 이론적 관점을 차용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문화산업과 관련된 지역의 연구보고서 및 대통령 취임사, 보도자료 등이었다. 위 자료들은 도시가 추구하고 수행하는 문화산업이 어떻게 논의되고 축조되는지 이해하는데 일정한 유용성을 지닌다. Korean society recently is experiencing a considerable issue of regional imbalance. The local cultural industry is emerging as an alternative in this situation. However, the cultural industry faces another issue that only economic results can be pursued, if it is merely regarded as an ‘industry’. South Korea has carried out developmental plans centered on the central government in the process of regional development. Therefore, the local cultural industry in Korea has been greatly influenced by national politics. In this article, we examined the influence of political and economic factors on the practice and consequence of local cultural industries, by focusing on the cases of Suwon and Jeonju. Specifically, we tried to explore the cultural industry of two cities, Suwon and Jeonju and examine the trajectories of their development or changes. This was to discuss how the political context and economic factors involved in the cultural industry affect specific local space and cultural policies. Especially, this issue was analyzed based on a series of concepts and perspective by David Harvey. For instance, Harvey has viewed cities as the accumulation of diverse factors, such as politics, history, culture, and economy. The objects of analysis include local research reports, presidential inauguration speeches, and press releases related to the cultural industry. These materials provide useful insight into how culture and cultural industry in the city is discussed and formed in a context specific w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