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호의 역전

        노양진(Noh, Yangjin) 담화·인지언어학회 2020 담화와 인지 Vol.27 No.3

        This paper explicates “symbolic reversal,” and shows how it works within an experientialist picture of symbolic experience. According to experientialism, our experience comprises physical and symbolic levels, and the latter is grounded in, and strongly constrained by the former. As such, symbolic experience presents an extended facet of physical experience. Any symbolic experience involves “symbolic mapping,” in which we, the creator and/or interpreter of the signs map part of our experiential content onto some perceptible object, and thereby understanding and experiencing the object “in terms of” the mapped part of the experiential content. The perceptible object thus becomes a “signifier,” the object of symbolic interpretation. It follows from this that the matter of signs is a matter of symbolic experience, not of an event or a phenomenon out there, and that we are the master of symbolic experience. However, a symbolic structure itself remains just another part of the interpreter’s experiential content, until it finds a medium which animates it to work in the perceptible world. Ironically, the medium has to be one of us, who created the symbolic structure, and thus the creator is reversed to become a “server” of the structure. I call this phenomenon “a symbolic reversal.” However, apparently innoxious symbolic experience sometimes ends up with distorting, or even nullifying the very ground of the symbolic structure, the physical ontology. I suggest that the only way to escape this conundrum is to turn back to the very ground where all the symbolic structures grow out from. Only then can we say a symbolic structure is a bad one, insofar as it distorts and/or nullifies the physical ground, where our brains, bodies, environments are interacting.

      • KCI우수등재

        김형효와 사실성의 철학

        노양진(Yangjin Noh) 한국철학회 2011 철학 Vol.0 No.108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은 김형효가 제안하는 사실성의 철학의 이론적 구도를 검토하고, 그것이 또 다른 초월적 형이상학의 한 버전이라는 점을 지적하려는 것이다. 김형효의 사실성은 그 불투명한 연원 때문에 스스로의 정합성을 유지하기 힘든 개념적 결합을 통해 나타난다. 필자는 사실성 개념이 비어 있는 그림자 개념의 일종이며, 따라서 김형효가 사실성에 은밀하게 부여하는 철학적 위상은 또 다른 초월적 형이상학을 낳게 된다고 주장했다. 사실성은 마르셀의 철학으로부터 시작하여 하이데거와 데리다, 노장과 불교를 거치는 김형효의 기나긴 지적 여정을 통해 구성된 독자적인 철학적 성취다. 그러나 이론적 층위에서 ‘사실성’에는 아무런 새로운 것이 없으며, 결과적으로 사실성은 낡은 형이상학으로의 복귀를 제안하는 새로운 철학적 구성물이다. 사실성은 경험적인 것을 담고 있지 않은 ‘그림자 개념’의 일종이지만 알 수 없는 지점에서 이 세계에 개입하는 원력으로 변형된다. 김형효는 그 과정을 정합적으로 해명하지 않고 있으며, 또 해명할 수도 없을 것으로 보인다. 그림자 개념은 스스로 경험적인 목소리를 가질 수 없기 때문이다. 김형효의 사실성의 철학은 그 내적 정합성 문제를 극복하지 못하는 한, 극복되어야 할 또 다른 형이상학적 사유의 한 유형이라는 비판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ritically examine the nature of Kim Hyunghyo’s philosophy of facticity, and show that it turns out to be just another version of transcendental metaphysics. Kim’s notion of facticity reveals an intractable incoherence largely due to his opaque account of its origin. I point out that the notion of facticity starts as a form of shadow concept, and ends up with a transcendental metaphysics. No doubt, the very notion of facticity is Kim’s own philosophical achievement emerging from his long and winding journey which covers the whole range from the philosophies of Marcel, Heidegger, Derrida, Laotzu-Chaungtzu, to Buddhism. However, as I show in this paper, Kim’s conception of facticity amounts to a disguised form of transcendental metaphysics. Although “facticity” is surely a shadow concept, which is emptied with anything empirical whatsoever, it gets at some point its own voice as “the original power” exercising providence onto the whole universe. Kim does not, and perhaps cannot give a coherent account for this own construct, since at no point can a shadow concept justifiably get an empirical voice, except by means of metaphysical cravings. This incoherence duly invites a suspicion that Kim disregards the unbridgeable gap between a shadow concept and a transcendental concept, deliberately or not.

      • KCI등재

        기호적 경험의 체험주의적 해명

        노양진(Noh Yangjin) 담화·인지언어학회 2008 담화와 인지 Vol.15 No.1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offer an outline of the experientialist account of the nature and structure of symbolic experience. Despite the extended and complicated inquiries into ‘sign’, the critical question remains unanswered on how it gets its meaning. I suggest that the exprientialist conception of 'metaphorical mapping' successfully answers this question. 'Metaphorical mapping' fist came out as the key notion of the experientialist account of metaphor, which I found is nothing else than symbolization. Thus, symbolization is rendered as a matter of understanding or experiencing something 'in terms of' something else. That is, we understand a signifier in terms of our experience of the corresponding 'sign object'. That is, when we experience something at a symbolic level, we map our experience of a sign object onto the signifier. With these three elements, i.e., signifier, sign content, and sign object, I offer three most basic models for symbolic experience. This account will suffice to open plausible ways to answer some, if not all, of the crucial questions concerning the very life of signs in a whole new perspective.

      • KCI등재

        퍼스의 기호 개념과 기호 해석

        노양진(Yangjin Noh) 새한철학회 2016 哲學論叢 Vol.83 No.1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은 체험주의적 시각에서 퍼스 기호학의 핵심적 난점을 밝히고, 그 대안적 논의 방향을 제안하는 데 있다. 퍼스 기호학은 표상체, 대상체, 해석체라는 삼원 모형을 통해 ‘기호 산출자/사용자’인 인간의 여백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기호학의 진전을 이끌었다. 그러나 퍼스는 기호적 의미의 원천 문제를 여전히 미완의 숙제로 남겨 두고 있는데, 그 주된 난점은 해석체 개념의 붙투명성을 통해 극적으로 드러난다. 퍼스는 해석체를 일종의 관념이 동시에 해석하는 의식이라는 이중적 의미로 사용하고 있는데, 그것은 퍼스의 이론적 부정합성 문제라기보다는 기호화의 발생적 본성에 대한 불투명한 해명에서 비롯되는 혼선으로 보인다. 필자는 체험주의적 시각을 통해 기호적 의미의 원천이 기호 산출자/사용자인 인간의 경험내용이라고 제안했으며, 그 근원적 소재를 물리적 층위의 경험으로 보았다. 즉 기호적 경험은 물리적 경험의 확장적 국면이며, 이러한 구도 안에서 그 확장을 이끌어 가는 핵심적 기제가 바로 ‘기호적 사상’(symbolic mapping)이다. 이런 구도 안에서 기호적 사상은 기호 산출자/사용자인 인간의 인지적 기제이며, 그것은 퍼스의 해석체 개념으로부터 분리되어야 다루어져야 할 기호적 경험의 기본적 기제다. 퍼스의 기호학에는 이 핵심적 기제에 대한 해명이 없으며, 이 때문에 해석체 개념은 불투명하고 산만한 분류의 형태로 남게 된 것으로 보인다. 기호적 사상 개념은 퍼스 기호학의 불투명성을 넘어서서 구체적 해명의 가능성을 열어 주는 결정적 실마리를 마련해 줄 것으로 보인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some difficulties of Peirce’s semiotics from the experientialist view and offer a new direction of explicating Peirce’s semiotic insights in more concrete terms. With the notion of “Interpretant,” Peirce opened up the sapce for accounting for the central role of human being as the symbol producer/user in symbolization. However, he had left the question of the ultimate source of the symbolic meaning unturned, which, as I shall suggest, grounds in the physical level of human experience. Peirce’s difficulty revolves around the opacity of the notion of Interpretant. Peirce himself presented Interpretant sometimes as an idea, and sometimes as an interpreting consciousness, and this seems to be a confusion caused by his unfit conception of symbolization itself. I have suggested that the source of symbolic meaning is the experience- content of human being as the symbol producer/user, and that it is ultimately grounded in the physical level of experience. Symbolic level of experience, on the other hand, is an extended aspect of the physical level of experience, where ‘symbolic mapping’ plays a central role. Symbolic mapping is a cognitive mechanism which is far more fundamental than Peirce’s triadic elements, and thus, it should be accounted for separately from Peirce’s triadic model. There seems to be no room for symbolic mapping in Peirce’s picture, and this seems to be the crux where Peirce’s semiotic inquiry fell into the intractable complication. The notion of symbolic mapping shall not end in disintegrating or subverting the whole structure of Peirce’s semiotics, but open up a new direction of advancing it in more refined empirical terms.

      • KCI등재

        청소년의 생성형 AI 이용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노양진(YangJin Noh),박동성(Dongseong Par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7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의 생성형 AI 이용경험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AI 리터러시 교육의 방향을 탐색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방법 수도권 A지역 고등학생 9명(남학생 4명, 여학생 5명)과 비수도권지역 고등학생 5명(남학생 2명, 여학생 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심층면담 결과를 가지고 현상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심층면담 결과, ‘고슴도치의 딜레마’라는 본질 하에 3개의 본질적 주제로써 불완전한 학습 도우미, 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의 존재, 모호한 생성형 AI의 활용범위와 6개의 하위주제로는 무생물인 기계의 한계, 제3의 학습도우미, 생활 방식의 변화, 새로운 기회 제공, 윤리적 사용에 대한 가이드라인 부재, 생성형 AI 활용의 거리두기가 도출되었다. 결론 청소년들이 생성형 AI를 올바르게 이용할 수 있도록 청소년 대상 생성형 AI 리터러시 교육의 방향에 대한 논의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에게 생성형 AI에게 질문하고 협업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울 수 있는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 둘째, 생성형 AI의 윤리적 이용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해야 한다. 셋째, 생성형 AI 시스템의 작동 메카니즘에 대한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experience and recognition of adolescents using generative AI. Methods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14 teenagers who are attending high school, located in A city B county, C city, using Colaizz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14 teenagers have experience using gernative AI. Results The results, 3 essential themes, 6 sub-categories was found. Three essential themes were ‘imperfect learning guide’, ‘existing of utopia and dystopia’, ‘ambiguous using range of generative AI’. And six sub-categories were ‘the limitation of inorganic object’, ‘the third learning guide’, ‘change in human being life’, ‘new opportunity provision’, ‘guide absence of the ethics using’, ‘distancing of generative AI using’. Conclusions The discussion on AI literacy for adolescent is as follows. First, provide the education about accurate asking to generative AI. Second, provide the enthical using guide. Third, provide the education about the generative AI system machanism.

      • KCI등재
      • KCI등재

        토픽모델링을 통한 우수 원격수업 특성 및 요소 연구

        한송이(Songlee Han),노양진(Yangjin Noh),김태종(Taejong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1

        목적 이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으로 변화된 교육환경에 따른 우수 원격수업의 특성 및 요소를 파악하여 효과적인 원격수업의 질 관리 요소 및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수도권 소재 A대학 재학생 324명(1,178건)과 교수자 459명(459건)을 대상으로 구글 설문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토픽모델링의 LDA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교수자와 학습자가 인식하는 우수 원격강의의 요소는 각 4개의 토픽으로 추출되었다. 학습자의 설문에서 추출된 토픽은 ‘문제 상황 발생에 대응한 신속한 대처’, ‘원격교육 관련 교수설계에 따른 강의 질 차이’, ‘체계적인 원격수업 준비와 원활한 소통’, ‘원격수업에 적합한 커리큘럼 재구성’이었다. 교수자 설문에서 추출된 토픽은 ‘원격교육에 필요한 환경 및 장비 지원’, ‘원격수업을 위한 정확한 지침’, ‘원격수업의 명확한 성적 지침 기준 제공,’ ‘원격교육에서의 원만한 소통’이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원활한 원격수업이 운영되기 위해서는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 원격수업 참여에 필요한 기본적인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을 갖춰야 하며 원격수업 환경에 부합하는 교수⋅학습의 재설계(예: 원격수업에 맞는 체계적인 강의 재설계, 상호작용, 수업평가 기준안 등)가 필요하다는 실천적 함의와 향후 연구를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elements of exemplary remote learning, provide factors that control the quality of effective remote learning, and present implications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environment changed by the COVID-19 situation. Methods For this study, a total of 324 students(1,178 case) and 459 instructors(459 case) in University A located in Seoul were surveyed using Google Survey,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topic modelling’s LDA method. Results Survey results show that instructors and students each perceived four topics of remote learning elements. Topics extracted from the students’ surveys are “prompt response to problems that occur”, “difference in the quality of lectures according to the instructors’ design of remote lectures”, “systematic preparation of remote learning and good communication”, and “recreating a curriculum that is suitable for remote learning”. Topics extracted from the instructors’ survey are “supporting the environment and equipment needed for remote learning”, “specific guidelines for remote learning”, “provision of clear grading guideline for remote learning”, and “good communication in remote learning.”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sent practical implications for smooth remote learning, such as the need for both students and instructors to have basic media literacy necessary for remote learning and the need to redesign teaching and learning to fit the remote learning environment(e.g., systematic redesign of lectures, interaction, class evaluation criteria, etc., appropriate for remote learning), and propose future research top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