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 중급 문법 도입 담화 분석 연구 -담화 유형과 방해 요인을 중심으로-

        노미연,정은주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18 언어와 문화 Vol.14 No.1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d classify discourse and identify factors possibly causing misunderstandings and mismatches in oral communication in warming-up stage in teaching grammar and expressions for intermediate Korean course and analyze students’ needs to construct effective discourse in the warming-up stage.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nalyzing different types of discourse of the warming-up stage based on situations within which communicative interaction takes place or context of shared knowledge, one of the most frequently observed discourse types is where its context is presented, including both the situations where grammar and expressions having similar meanings are provided or none provided, with shared knowledge implicit among teachers and learners. Second, hindrance may occur during the warming-up stage interfering its progress, which could be caused by three factors. The first factor is when a teacher does not provide any context at all or, if does so, insufficiently. The following factor is identified when a student lacks linguistic skills or does not comprehend context of conversation or teachers’ intention. Lastly, it is due to lack of shared knowledge between a teacher and a learner. Third, interviewing of learners to figure out what they need for the warming-up stage reveals that they a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warming-up stage in use of target language during which they expect to be exposed to ample and varied context. This study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well-shared knowledge and presentation of situations between the a teacher and learners should be prepared in varied ways in the warming-up stage for efficient teaching method of grammar and expressions. If the analysis of the study be applied in teaching and learning, it would help design more effective course which meets students’ needs.

      • 한국어 초급 학습자의 조사 오류 감소를 위한 교수 방안 연구

        노미연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2019 한어문교육 Vol.39 No.-

        이연구에서는조사오류에대한교사의명시적인피드백과학습자의목표 문법에 대한 인지 강화를 위한 출력 과제 수행을 통해 한국어 초급 학습자의 조사 사용의 정확성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교수 방안의 절차는 학습자의 발표 준비, 조사오류에대한교사의명시적피드백과조사사용의정확성요구, 학습 자의 피드백수용, 학습자의 출력 과제수행인 4단계의 절차로 진행하였다. 교 수·학습 후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 오류와 사후 오류를 조사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전오류에비해사후오류가현저히감소하였다. 오류유형별결과는대치, 첨가, 누락오류에는효과적이었으나, 형태오류에는 효과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teaching method that can strengthen accuracy in the use of particles though the teacher's explicit feedback on particle errors and student's output task for consciously noticing target grammar. The study has a four-step procedure: preparing presentation, teacher's explicit feedback on particle errors and demand for consciously noticing of particle accuracy, student's acceptance of feedback, and performing output task. To judge the effect of the study, the particle error rate from pre-test and post-test were then recorded and analy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particle errors of the students are reduced. In addition, this method had a positive effect on replacement, addition, and omission errors except form errors.

      • KCI등재

        학습자 요구조사와 만족도 조사를 통한 한국어 중급 교재 개발 연구: 국민 한국어 4를 중심으로

        노미연(Noh, Mi-Yeon) 동악어문학회 2021 동악어문학 Vol.83 No.-

        본 연구는 한국어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중급 교재 개발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교재에 대한 학습자의 요구를 조사하여 분석하고, 교재 사용 후 학습자의 만족도를 조사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교재 개발 과정에서 학습자의 요구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교재 개발에 반영하면 교육적인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교육적 효과를 최대화하고자 한국어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습자의 학습 목적, 학습하고자 하는 주제, ‘문법, 어휘,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의 중요도 인식과 학습 시 어려운 부분, 선호 학습 내용과 선호 연습 유형, 듣기․읽기․쓰기 후 활동의 선호유형을 조사하였다. 요구조사 결과, 학습자들은 다양한 주제를 다루는 말하기 중심으로 구성된 교재를 요구하였으며, 어휘와 말하기를 중요시하여 담화 맥락 안에서 구어 산출에 초점을 둔 교재를 원하고 있었다. 또한 구어와 문어, 이해 영역과 표현 영역에서 선호 부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구어 영역에서는 실용 중심의 내용, 문어 영역에서는 학문 중심의 내용이 다루어지는 것을 선호하였다. 그 다음으로 말하기와 쓰기와 같은 표현 영역에서는 대화나 문어 담화의 구조에 대한 지식 부족이 학습에 방해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대화 구조의 학습이 필요하고, 듣기와 읽기와 같은 이해 영역에서는 어휘 부족이 학습에 방해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어휘에 대한 선행 학습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하여 교재를 개발하였고, 교재 사용 후 학습자에게 교재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만족도 결과 학습자들은 대체적으로 교재에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analyze learners" needs to build basic data in developing a Korean language textbook for intermediate level students, and to evaluate their satisfaction after using the textbook. Analyzing student"s needs and reflecting them on developing the textbook could help meet the students" needs and enhance educational efficiency. To reflect their demand and maximize the educational effects, it conducted a survey on the needs targeting intermediate Korean language student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students appear to like to have a textbook focusing on speaking that covers various topics, put more stress on lexicon and speaking, and prefer the textbook emphasizing colloquial language found and spoken in the context of discourse. It also appears to have differences in their preference for the areas between spoken and written languages and between understanding and expressions. First, students in the survey appear to preferably have practical usage-centered contents for the spoken language section, and academic knowledge for written language. It seems that their lacking knowledge of structure for dialogue and written discourse could be an obstructive factor for students in the expressions sector and therefore they are required to study dialogue structure, and due to the lack of lexicon in their knowledge in an understanding sector, it is prerequisite for them to learn lexicon. Based on these needs, a textbook has been developed. Another survey has been conducted on students" satisfaction in the textbook, and most students answered in the survey seem to be satisfied.

      • KCI등재

        한국어 중급 문법 도입 담화에 나타난 상호작용 분석 연구-스캐폴딩을 중심으로-

        노미연 ( Noh Miyeon ),정은주 ( Jung Eunjoo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18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50 No.-

        This study aims to analyze interactions among class participants during the warming-up stage of intermediate Korean grammar course based on scaffolding. In this study, scaffolding is defined as ‘support of verbal, nonverbal, and paralanguage elements that are provided in the interactions of students and teachers during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nd, to see how scaffolding is activated in a class, the class was video-recorded and transcribed materials were analyzed. First, scaffolding is divided by leading agent; one given by a teacher and the other by a student: then, by objective; input and output: and finally, by functions; maintaining direction, corrective feedback, and reducing in degrees on freedom. Based on these standards, scaffolding is classified in two sets, each including six types of scaffolding, respectively for students and teachers and students’ response on the six types is divided again by uptake and non-uptake. The different aspects of scaffolding identified during the class are analyzed and one of the most frequently witnessed scaffolding is inducing a locutionary or answering act for maintaining direction both for a student and a teacher. In this sense, it is characterized that teachers actively provide corrective feedback to students during the warming-up stage while students are relatively less acceptive of uptake comparing to other scaffoldings. It is significant in that this study observes diverse scaffoldings found in the warming-up stage, studies them from various angles and specifies active interactions among the class participants, and therefore contributes to expand and develop views on learning course in a class as focusing on students’ role as a leading agent for communication. (Kookmin University)

      • KCI등재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응결 장치 사용 연구

        노미연(Noh, Mi Yeon) 동악어문학회 2013 동악어문학 Vol.60 No.-

        본고는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인터뷰 평가 담화를 분석하여 응결 장치 사용을 통한 담화 응집성을 고찰하였다. 양적인 분석과 질적인 분석을 통해 응결 장치인 연결어미와 접속부사, 지시·대용 표현의 사용 양상과 사용 적절성을 분석하였고, 학습자 L1 변인에 따른 사용 양상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담화의 응결 장치 중에서 연결어미, 접속부사, 그리고 지시·대용 표현에 한정하여 분석한 결과, 응결 장치의 사용 양상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일본인 학습자는 구어 담화에서 접속과 지시·대용의 응집성을 실현하고 있었다. 반면에 몽골인 학습자는 지시·대용 표현의 오류 사용과 간투사의 잦은 사용으로 인해 구어 담화에서 지시·대용의 응집성을 실현하지 못하였고, 중국인 학습자는 응결 장치의 저빈도 사용과 높은 오류율, 간투사의 잦은 사용 때문에 응집성을 실현하지 못하였다. 구어 담화는 화자와 청자의 상호작용이 있으며, 이해와 발화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져야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므로 청자의 이해를 돕고 발화 맥락을 알 수 있게 해 주는 응결 장치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화자는 응결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담화 내용을 논리적으로 연결시켜 응집성을 강화할 수 있고, 청자는 담화의 맥락을 논리적으로 유추할 수 있게 된다. 응결 장치의 사용 양상과 L1 변인에 따른 학습자 특징을 다룬 본고는 담화 응집성을 보완해 줄 수 있는 교수·학습의 기초 연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interview test given by advanced Korean language learners to examine discourse cohesion shown upon using cohesive device. It focuses on the use of connective ending, conjunctive adverb, and reference· substitution, these as a cohesive device, in terms of their application, appropriacy and use patterns, in particular, based on the variable L1 of learners. The study is measured with quantitative analysis and with qualitative analysis. The analysis is confined to the use of connective ending, conjunctive adverb and reference·substitution among cohesive devices of discourse. It is noteworthy that high error rate and low using rate of the cohesive devices, and using the high-frequency of filler in Chinese students interfere cohesion and high error rate of reference·substitution and using the high-frequency of filler in Mongolian students interfere cohesion. Spoken Discourse is based on the interaction between speaker and hearer, and automatical input and output. In the communication cohesive devices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hearer and become a very important role in spoken discourse. The use of cohesive devices in spoken discourse helps logical connection of discourse, thus reinforcing discourse cohesion and enabling a communication partner to make logical inference about context of the discourse. In this regard, the study is a basic research to impro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accordance with the variable L1-based, different type of learners.

      • KCI등재후보

        태국의 한국어 교육 현황

        노미연(Noh Mi Yeon) 동악어문학회 2009 동악어문학 Vol.53 No.-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은 현재 한국의 대학 기관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아시아 국가의 한류 열풍에 힘입어 아시아 국가에서의 한국어의 위상도 점차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한국에서는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의 효율적인 교육 방안을 강구하기 위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그 연구 결과가 한국어 교육 현장에 적용되고 있다. 이에 비해 국외에서는 한국어 교육에 대한 연구가 아직 미미한 상태이다. 태국에서는 한류에 발맞추어 한국어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으며, 한국어 교육도 점차 규모가 커지고 있다. 특히 태국에서는 한류의 열풍이 시작된 2001년을 기점으로 한국어 교육의 규모가 급성장을 하게 되었다. 그러나 국외에서 진행되고 있는 한국어 교육에 대한 연구는 아직 초보적인 단계에 그치고 있다. 국외의 한국어 교육을 한 단계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교육 현황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리 라 본다. 따라서 태국 대학의 한국어과 개설 현황과 교과과정을 살펴보고, 태국에서 한국어 교육의 가장 긴 역사를 가진 쏭클라대학교(Prince of Songkla University)의 교육 내용에 대하여 살펴본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보다 높은 질의 교육을 제공할 토대를 마련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Korean universities are currently making progress 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ers. In addition, the effect of the Korean Wave among the Asian countries is continuously improving the reputation of Korean language today. In Korea, numerous academic researches are actively on progress, trying to discover efficient ways of teaching Korean language to foreigners. Besides, the results of these researches are applied to the actual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other nations, however, researches 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still insignificant. Influenced by the Korean Wave, Thailand has increased its interest in Korean language, and at the same time has expanded Korean language education. Particularly since the year of 2001, when the Korean Wave began, the scop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ailand has been enlarged exclusively. However, presently on-going researches 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overseas remain at primary level. For further development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overseas, a profound consideration for its educational status is essential. Therefore, in addition to examining the academic curriculum and the present progress of establishing Korean major in universities in Thailand, we focus on looking into the educational system of the Prince of Songkla University. Based on this, we wish to prepare for the foundation to provide foreigners with the qualified Korean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

        중급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사용 양상 연구

        노미연(Noh, Mi Yeon),석소현(Seok, So Hyeon) 동악어문학회 2015 동악어문학 Vol.65 No.-

        이 연구에서는 중급 단계의 아랍어권 한국어 학습자인 사우디아라비아 학습자와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사용 양상을 비교 분석하여, 두 집단의 조사 사용 양상의 차이를 밝히고 오류의 원인을 대조분석적 측면에서 찾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작문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랍어권 학습자가 중국어권 학습자에 비해 전체 오류율이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둘째, 두 집단의 오류 유형은 ‘대치 > 누락 > 첨가 > 형태’의 순으로 동일하였고, 각 유형의 오류율도 아랍어권 학습자가 중국어권 학습자에 비해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셋째, 두 집단의 학습자는 동일하게 모국어(L1)에 대응어가 있는 조사의 오류율은 낮게 나타난 반면 L1에 대응어가 없는 조사의 오류율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아랍어권 학습자는 대응어가 없는 ‘이/가, 을/를, 은/는’의 오류가 상당히 높게 나타났는데, 그 중에서 ‘이/가, 을/를’의 대치, 누락 오류율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중국어권 학습자는 특히 중국어에 대응어가 없는 ‘이/가’의 대치, 누락, 첨가 오류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중국어 대응어가 있는 ‘와/과’의 누락 오류가 높은 것도 특징적인 결과였다. 지금까지 아랍어권 학습자의 조사 오류를 다른 언어권 학습자와 비교한 연구는 없었다. 이 연구에서는 아랍어권 학습자와 중국어권 학습자의 조사 오류를 비교함으로써 아랍어권 학습자의 문법 인지 능력의 부족함을 발견했다는 데 연구 의의가 있다. The study aims to make comparisons between the use of particles by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in the intermediate level coming from China and those from Saudi Arabia, Arabic region in order to identify their use patterns and clarify the cause of errors with contrastive analysis. In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and analyzed essays and materials written by these learner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total error rate of Arabic speaking Korean learners is twice higher than that of Chinese Korean learners. Second, error types between the two groups are identical in this order of replacement, omission, addition, and form errors and Arabic speaking learners appear to make twice as many errors as Chinese learners for all error types. Third, it found that the two groups made less errors in use of particles to what they have corresponding in their mother tongue (L1) while they seem to make more mistakes if there is no corresponding particles in L1. Fourth, the error rate by the Korean learners from Arabic regions is significantly high in the use of some particles such as ‘이(-i)/가(-ga), 을(-eul)/를(-leul), 은(-eun)/는(-neun)’ that has no corresponding particles in Arabic language, among which ‘이(-i)/가(-ga), 을(-eul)/를(-leul)’ shows higher error rate in replacement and omission. Lastly, it is shown that Korean learners from China make more replacement, omission, and addition errors in particular in the use of particles, ‘이(-i)/가(-ga)’, that also do not have corresponding particles in Chinese language. It is also characterized that omission errors rate is found high among the learners from China in the use of ‘와(-wa)/과(-gwa)’ that have corresponding Chinese particles. There has been no study of comparing errors in the use of particles between Korean language learners from Arabic regions and those belonging to other language groups. Therefore, this study would be significantly meaningful by making comparisons between the Arabic and the Chinese speakers learning Korean language and finding out that the Arabic are comparatively less able to recognize Korean gramm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