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체력단련(體力鍛鍊)이 폐기능(肺機能)에 미치는 효과(效果)

        남팔수(Nam, Pal-Soo),황수관(Hwang, Soo-Kwan),김형진(Kim, Hyeong-Jin),주영은(Choo, Young-Eun) 대한생리학회 1981 대한생리학회지 Vol.15 No.1

        장기간(長期間)의 체력단련(體力鍛鍊)이 폐기능(肺機能)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알아보고자 운동선수군(運動選手群) 24명(名)과 비운동선수군(非運動選手群) 12(名)에 대(對)하여 실시(實施)한 본(本) 연구(硏究)의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호흡수(呼吸數), 일회호흡량(一回呼吸量) 폐활량(肺活量)은 실시군(實施群)과 비실시군(非實施群) 사이에 유의(有意)한 차이(差異)가 없었으나, 최대환기능(最大換氣能)은 선수군(選手群)이 148.1±3.01 L/min, 비선수군(非選手群)이 1118.3±9.1 L/min 로서 선수군(選手群)에서 비선수군(非選手群)에 비(比)해 유의하게(p<0.01) 높았다. 초시폐활량(秒時肺活量)은 선수군(選手群)이 3.310±0.070 L, 비선수군(非選手群)이 2.279±0.104 L였고, FEV<sub>1</sub> 25~75%는 선수군(選手群)이 83.63±1.29%, 비선수군(非選手群)이 75.33±1.75%로서 둘 다 선수군(選手群)에서 비선수군(非選手群)에 비(比)해 유의하게(p<0.01)높았다. FEF 0.2~1.2L는 선수군(選手群)이 297.7±13.5 L/min, 비선수군(非選手群)이222.7±15.0 L/min였고, FEF 25~75%는 선수군(選手群)이 3.543±0.109 L/sec, 비선수군(非選手群)이 2.719±0.142 L/sec로서 둘다 선수군(選手群)에서 비선수군(非選手群)에 비(比)해 유의하게(p<0.01)높았다.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를 종합(綜合)하면 선수군(選手群)과 비선수군(非選手群) 사이에 폐용적(肺容積)은 별차이(別差異)가 없으나, 최대환기능(最大換氣能), 초시폐활량(秒時肺活量), FEV<sub>1</sub>%, $FEF 0.2~1.2L, FEF 25~75% 등(等)은 선수군(選手群)이 비선수군(非選手群)에 비(比)해 유의하게(p<0.01) 높은 측정치(測定値)를 나타내었으며, 이것은 선수군(選手群)에서 비선수군(非選手群)에 비(比)해 호흡근(呼吸筋)의 힘이 더 강(强)하거나, 폐(肺) 및 흉곽(胸廓)의 용압률(容壓率)이 더 크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In the present study, an effort was directed to elucidate the effect of the physical training on the pulmonary function. Twenty-four male athletics major students who have undergone regular physical training for more than five years were randomly chosen as the athletic subjects, and 12 regular male students who have not been engaged in any form of regular physical exercise or training were chosen as the non-athletic subjects, and a comparison was made between the two groups. The following were mainly observed by spirometry for the study; respiratory rate, tidal volume, vital capacity, maximum voluntary ventilation(MVV), forced expiratory volume for 1 second(FEV<sub>1</sub>), percent FEV<sub>1</sub> to forced vital capacity(FEV_1%), forced expiratory flow for initial 1 liter(FEF 0.2~1.2L), and forced mid-expiratory flow(FEF 25-75%).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 1) The respiratory rate, tidal volume, and vital capacit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thletes and non-athletes. The MVV in athletes was significantly (p<0.01) increased to 148.1±3.1 L/min comparing with 118.3±9.1 L/min in non-athletes. 2) FEV<sub>1</sub> was 3.310±0.070 L in athletes and 2.779±0.104 in non-athletes; FEV<sub>1</sub>% 83.63±1.29% in athletes and 75.33±1.75% in non-athletes, both showing significant(p<0.01) increase in athletes. 3) FEF 0.2-1.2L was 297.1±13.5 L/min in athletes and 222.7±15.0 L/min in non-athletes; FEF 25-75% was 3.543±0.109 L/sec in non-athletes, both showing significant(p<0.01) increase in athletes. 4) Some discussions were made on these results. The lung volum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But MVV, FEV<sub>1</sub>, FEV<sub>1</sub>%, FEF 0.2-1.2L and FEF 25-75% in athletes were significantly(p<0.01) higher than in non-athletes. It is therefore concluded that the athletes have more powerful respiratory muscles, or higher compliance of the lung and thorax than the non-athletes.

      • KCI등재후보

        모 전자제조업체 남자 근로자들의 신체적합도와 연령, 체지방율, 업무특성 및 생활습관의 관련성 연구

        윤승렬,우극현,정영연,남팔수,이영하,박완섭,김상우 大韓産業醫學會 1996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8 No.3

        본 연구는 20대에서 40대의 남자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신체적합도를 평가하여 일반적으로 신체적합도에 영향을 준다고 알려진 연령과 비만정도, 일상생활습관(커피, 흡연, 음주 규칙적 운동여부, 스트레스) 및 업무특성과의 연관성을 연구한 단면조사연구이다. 신체적합도 측정으로 근력 평가는 악력과 배근력을 측정하였고, 근지구력 평가는 복근지구력인 윗몸일으키기를, 유연성 평가로 윗몸앞으로 굽히기를 측정하였다. 심폐지구력 평가는 자전거 ergometer로 최대산소섭취량과 노력성폐활량 및 일초율을 측정하였다. 연령은 악력을 제외한 대부분의 체력평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체지방율이 20%를 넘는 비만의 경우 악력(P<0.01), 배근력(P<0.05), 유연성(P<0.01), 최대산소섭취량(P<0.01)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생활습관중 규칙적 운동은 최대산소섭취량(p<0.05)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업무특성별로 나눈 사무직과 생산직의 신체적합도평가에서는 악력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결론적으로 신체적합도와 가장 연관성이 높은 특성들로는 연령과 비만 및 여가시 규칙적인 운동이었다. 앞으로의 과제는 신체적합도 측정과 함께 생활습관과 신체활동을 구체적이고 세분화하여 조사하고 조사함에 있어 편리한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영양과 관련된 식생활 습관 및 스트레스와 같은 정신건강에 대한 평가를 겸해서 건강에 대한 평가기준을 객관적이고 폭넓게 해야 할 것이다. This is pilot study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of physical fitness with age, body fat, work pattern and life style among 20∼49 aged male workers(n=417). Physical fitness was measured by maximum oxygen uptake, forced vital capacity, 1 second forced expiratory volume, grip strength, back strength, sit ups and trunk flexion. Life style was self-reported on a questionnaire about regular exercises, smoking, alcohol consumption, coffee consumption, degree of stress, and percent of body fat measured by bioelectrical impedance fat meter. Age was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related to physical fitness except grip strength. Obesity was next to most significant factor for physical fitness, it was associated with maximum oxygen uptake, grip strength, back strength, trunk flexion. Regular exercise was associated with maximum oxygen uptake. Others was insignificantly related to physical fitness. Performance of physical fitness test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ge, obesity and regular exerci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