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87노동체제하 전북지역의 민주노동운동 : 전북노련을 중심으로

        남춘호(Nahm Choon-Ho) 한국지역사회학회 2008 지역사회연구 Vol.16 No.1

        This article explores the process of subject formation of democratic labor movement in Chonbuk region under 87 labor regime, especially focusing on mass (union) movement and activists' movement. The great workers' struggle in 1987 was a watershed in the history of labor movement in Chonbuk Region. Mass movement, which had been thoroughly oppressed by the exclusionary strategy of the authoritarian regime before 1987, spurted out in the open space of democratization. And activists' movement which had been already recognized as a symbolic center of democratic labor movement, closely supported the union movement. However early local organizations of labor unions (Chon-Min-No-Ryon) collapsed because of the identity crisis, which was mainly caused by the leadership fallacy. Chonbuk-No-Ryon, mostly consists of small unions in manufacturing industry, participated Chon-No-Hyop to build a new union organization. However labor movement withered since 1990 not because of extremist and militant leadership but because of aggressive repression of the state and capital. Chonbuk-No-Ryon tried to overcome the crisis through wide-range solidarity with white collar unions and large firm unions, and finally succeeded in organizing the Korean Confederation of Trade Unions. Under the structural constraints of 87 labor regime, labor movement in Chonbuk succeeded in obtaining institutional legitimacy and expanding the organizational space. However they should pay the price for that: division of activists movement and mass movement, the demise of activists movement, weakening of the Chonbuk-No-Ryon' s initiative, labor market flexibility.

      • KCI우수등재
      • KCI등재

        고용의 질 지수를 이용한 노동시장의 불평등과 양극화추세 분석

        남춘호(Nahm, Choon-Ho) 비판사회학회 2011 경제와 사회 Vol.- No.92

        본 연구에서는 KLIPS 조사항목중 직무·직업특성, 경제적 보상, 고용안정성, 숙련형성 및 발전가능성, 근무조건 및 작업환경, 참여 및 작업장내 관계의 6개 영역의 관련변수들을 이용하여 고용의 질 지수를 구성하고 이를 기초로 노동시장의 불평등과 양극화 추세를 분석해보았다. 고용의 질 지수를 보면 2001년부터 2008년 사이에 노동시장의 불평등은 심화되었으며 고용의 질 구성요소별로는 고용안정성영역의 불평등 기여도가 절대적 비중도 크고 2005년 이후 불평등 증가를 주도하고 있다. 하위집단별로는 고용형태와 계급 및 직업별 차이의 불평등 기여도가 크다. 한편 울프슨지수나 EGR지수의 추이는 고용의 질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상대적 증가율의 비교 결과 울프슨의 양극화지수는 지니계수나 타일지수보다 가파른 상승률을 보여서 양극화가 불평등보다 빠른 속도로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변화할당분석을 통한 고용의 질 양극화 원인의 분석 결과에 의하면 산업구조변화가설은 제조업의 쇠퇴가 중간층의 감소를 초래한다는 점에서만 부분적으로 지지되었으며, 노동력공급구조변화가설은 노년층의 빠른 증가가 하층일자리의 증가를 가져온 점은 수용되지만 여성이나 청년층의 공급증가효과는 입증되지 않았다. 고용의 질이 낮은 비정규직의 급속한 증가가 하층일자리의 증가에 크게 기여하였다는 점에서 기업의 고용전략변화 가설은 지지되었다. 고용의 질 불평등과 양극화를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제조업 숙련생산직의 급속한 감소를 막고 노년층과 비정규직의 급증에 대한 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에 대한 정책적 지원은 경제적 보상영역보다는 고용안정성이나 숙련 및 발전가능성영역에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addresses the trend of inequality and polarization in terms of the quality of employment in the Korean labor market drawing on the analysis of KLIPS data. Gini coefficient and Theil index of QEI(quality of employment index) has risen between 2001 and 2008, which suggests that the inequality of QEI has deepened between 2001 and 2008. The employment stability and skill/development significantly contribute to total inequality. Decomposition of Theil index by population groups points that between-group inequalities of employment type and class explained the largest share of total inequality. EGR index and Wolfson index has increased during the same period, which shows the polarization of QEI. The degree of polarization, measured by Wolfson index has deepened more than that of inequality, estimated by Gini coefficient and Theil index. The main causes of job polarization would be large scale entries of older workforce into the labor market and the rapid expansion of non-standard employment. The results partially support the de-industrialization hypothesis too. Empirical results suggest that support for the older workers and non-standard workers should focus on employment stability and skill/ development rather than income.

      • KCI등재

        압축근대와 생애과정의 구조 변동

        남춘호(Nahm, Choon-Ho) 한국지역사회학회 2014 지역사회연구 Vol.22 No.2

        This article examines how the early life course transition to adulthood has changed in Korea over the period of compressed modernization using census data between 1960 and 2010. The author used entropy analysis to describe the changes in the heterogeneity of status combinations of transition events (leaving school, employment, marriage, and household headship). The total entropy has sharply decreased at teen ages between 1960 and 1990 because of the reduced contribution of conditional entropy of education and employment status, while the status heterogeneity of young people aged 25 or over has increased substantially due to increased contribution of marriage, education and employment status since 1990. Analysis of mutual information shows that the interconnection between transition events such as marriage and household headship, employment and marriage, employment and household headship has been strengthened until 1990 and weakened since then. The decrease of status heterogeneity for teenagers and coupling of transition markers between 1960 and 1990 point to standardization of the life course, while the increase of status heterogeneity for young people aged 25 or over and decoupling of transition markers since 1990 point to de-standardization of the life course. However the empirical results do not lead to any clear conclusion about individualization thesis. Future research should take agency issue more seriously through the theoretical integration of concepts from life course sociology and psychological life span theory, to examine whether the de-standardization trend can be interpreted as individualization of the life courses.

      • KCI등재후보

        식품불안정의 사회경제적 결정요인과 식품불안정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남춘호(Nahm Choon-Ho) 한국지역사회학회 2010 지역사회연구 Vol.18 No.2

        This study alms to Investigate the socio-economic determinants and health consequences of food insecurity in Korea, using the third waves of Korean Welfare Panel Data. The prevalence level of food Insecurity differs across social groups. Multivariate analyses using logit regression show that socio-economically disadvantaged people - people with low education, low income, unemployed person, people in poverty, people without spouse, people with disability and non homeowners- are more likely to be food insecure. Income turns out to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determining factors of food insecurity. However, a one-to-one correspondence between poverty-level income and food insecurity rate does not exist. This paper also explores how food insecurity relates to health. The result shows that food insecurity has independent effect on the subjective health and chronic disease morbidity, controlling for other socio-economic risk factors. In conclusion, food insecurity is a mediating factor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health and at the same time food insecurity relates to health Independently of socio-economic status and poverty. Future research using longitudinal data is suggested to improve theoretical and empirical models for more strict causal explanation of health consequences of food insecurity.

      • KCI등재

        외환위기 이후 지역별 주거이력 유형 비교 - 배열분석 방법을 중심으로 -

        남춘호(Nahm, Choon-Ho) 한국지역사회학회 2019 지역사회연구 Vol.27 No.2

        본 연구에서는 자료를 활용하여 주거이력에 대한 KLIPS(1998~2017) 배열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지역별로 주거이력의 주된 유형을 살펴보고, 지역불균등발전과 주택의 금융화라는 사회구조적 기회의 제약이 개인들의 주거선택에 미친 영향을 분석해보았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주거이력 유형들은 임차형주거이력과 자가형 주거이력으로 크게 나뉘어졌으며, 전지역적으로 발견된 저소득층의 임차형 주거이력유형은 주거면적이나 이주빈도 등에서 주거의 불안정성을 보여주었다. 이들 하위계층은 소득대비 높은 주택가격이 진입장벽으로 작용한데다 주택금융에 접근하는 데도 제한을 받아 자가부문으로 진입하지 못하고 자산증식의 기회에서도 배제된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자가형 주거이력 유형들 중에서는 주택가격면에서는 저가형, 주택형태상으로는 단독주택형이 비수도권 지방에 많이 분포하였으며, 자가고가/대형아파트형 주거이력패턴이나 자가고가/대형연립형 주거이력 패턴은 수도권이나 서울에서 상대적으로 많이 나타났다. 그런데 비수도권에 주로 나타나는 주거이력 유형들에 비하여 수도권이나 서울형 주거이력패턴들이 자산절대액도 크고 자산증가도 많았다. 그중에서도 특히 수도권 청년코호트 대졸 전문직에서 자주 보이는 자가고가/대형아파트형 주거이력 패턴의 경우 순자산과 부동산 자산은 물론 금융자산과 부채도 많아서 주택금융화 체제하에서 저금리대출에 기반한 주택기반 자산 증식의 주도 집단이었음을 보여준다. 한편 서울이나 수도권에 비해서 비수도권이 금융화시기 주택기반 자산증식 기회에서는 배제되었으나, 소비재로서의 주거가 가지는 특성을 보여주는 주거면적 측면에서는 비수도권이 배제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주거불평등은 이제 임차가구와 자가소유가구 간의 불평등을 넘어서 자가소유가구들 사이에서도 주택기반 자산증식을 주도하는 집단과 거기서 배제된 집단 사이의 자산불평등 심화로 확대되고 있다. 또한 주거영역의 불평등은 경제적 불평등이 재생산과 교육 및 소비영역의 다중격차로 전환되는 매개역할을 수행한다. 그런데 본 연구의 결과에서 보듯이 이와 같은 새로운 주거의 불평등이 ‘지역’을 경계로 진행되어 왔다는 사실은 지역간 불평등이 다중격차 사회의 불평등을 가르는 주된 경계선으로 고착화될 위험성을 경고하고있다. In this study, the author analyzed the housing careers using KLIPS (1998~2017) data, and I found the main types of residential trajectories by region. The author analyzed the effect of social structural variables such as unequal regional development and housing financialization on individual choice of housing. According to the results, housing career types are mainly divided into rented housing careers and owned housing careers. The low-income rented housing career pattern found in all regions revealed low housing quality and housing instability. The lower classes were not able to enter the homeowners sector and were excluded from the opportunity for asset proliferation. Low-income households could not afford to access mortgage finance and high housing prices served as a barrier to buying homes for them. Among the housing career types of homeowners, the housing career patterns that appear mainly in Seoul and the Seoul metropolitan area have larger asset value than the housing career patterns that appear mostly in the non-capital area. The results show that non-capital region was excluded from the opportunity to increase housing-based assets compared to Seoul or the capital region. Housing inequality now extends beyond the inequalities between leased and home-owned households, and even among home-owners households, the inequality between wealthy and unsuccessful households is growing. The region serves as a demarcation line of housing inequality. The inequality of housing inequality acts as a key inequality mechanism for multiple disparities.

      • KCI등재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한국 언론의 청년담론 및 청년개념 분석

        남춘호(Nahm, Choon-Ho),유승환(Seunghwan Yoo) 한국지역사회학회 2021 지역사회연구 Vol.29 No.4

        언론은 담론경쟁의 장이며 언론에 나타난 다양한 청년담론들은 청년을 둘러싼 사회현실에 대한 해석의 틀을 제공함과 동시에 청년들을 특정한 주체로 동원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청년담론의 권력기능 및 주체화효과에 주목하여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통해 언론에 나타난 청년담론을 분석하고, 1920년 이후 근대 100년에 걸친 청년 개념의 표상변화를 추적해보았다. 토픽모델링을 통한 청년담론의 내용분석결과 1987년 이전까지 높은 빈도로 나타났던 학생운동토픽은 최근으로 올수록 줄어들고 대신 선거나 정치 관련 토픽이 늘어나 청년들은 점차 제도화된 선거에 수동적으로 소환되는 존재로 그려지고 있다. 한편 1998년 IMF 경제위기 이후로는 청년고용실업 담론이 청년담론의 핵심으로 부상하였으며 이런 경향은 경제지에서 가장 뚜렷하게 나타났다. 그런데 중앙지와 지방지를 비교할 경우 중앙지에는 다양한 청년담론이 상대적으로 고르게 나타나고 있으나 지방지는 청년일자리 관점에만 매몰된 채 편협한 시각에서 청년을 그리고 있다. 한편 청년 개념의 용례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청년을 연령범주로 사용하는 용례는 2000년대 이후 집중적으로 나타나며, 청년개념의 도입초기인 일제강점기에는 청년용례의 대부분이 청년회 등의 청년조직이나 청년운동이었다. 1920년대 청년들은 민족의 근대화를 이끌어갈 주된 사회세력으로 호명되었으며, 이후 1930년대 말이 되면 총독부에 의해 황국신민의 전형으로서의 보국청년이나 모범청년으로 동원되기도 하고, 해방이후에는 국가권력에 의해 반공청년이나 재건청년으로 호출되기도 하였다. 그렇지만 일제말기부터 1970년대까지 총독부나 국가권력이 청년담론을 주도하던 시기에도 지속적으로 괴청년용례가 나타나 권력의 지배담론에도 균열과 저항의 지점이 존재했음을 보여준다. The authors analyzed the youth discourse in the media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and tracked the changes in representation of the youth concept during the modern 100 years since 1920.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opic modeling analysis, the student movement topic, which had been shown at a high frequency until 1987, has decreased in recent years. Instead, election-related topics are increasing, and young people are gradually portrayed as passively called upon to institutionalized elections. After the 1998 IMF economic crisis, youth unemployment discourse emerged as the core of youth discourse. This trend was most evident in economic journals and was more pronounced in local media than in national media. The analysis of conceptual history shows that the use of youth as an age category has mainly appeared recently since the 2000s. Most of the youth usage case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referred to youth associations, youth organizations, and youth movements. In the 1920s, young people were considered the main social forces that would lead the modernization of the country, but in the late 1930s, they were mobiliz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as patriotic or model youth. After liberation, they were portrayed as anti-communist or reconstructed youth. However, even when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or the state power led the youth discourse, there were continuous cases of "suspicious youth" language use. This indicates there were cracks and resistance points in the dominant youth discourse of the power.

      • KCI등재
      • KCI등재

        IMF관리체제이후 전북지역의 노동시장 동향과 실업

        남춘호(Choon-Ho Nahm) 한국인구학회 1999 한국인구학 Vol.22 No.2

        1997년 11월 대외지불 불능사태로 시작된 외환위기가 경제위기로 확산되면서 97년 4/4분기에는 2.5%에 불과하던 전북지역의 실업률은 99년 2월 8.4%로 피크를 이루었으나 그후로는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렇지만 전북지역 노동시장의 전반적 고용동향을 살펴보면 실업률 통계로는 파악되지 않지만 실질적으로 준실업상태에 있는 실망노동자와 불완전취업자의 증가가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그리고 산업별 취업자구조의 변화를 살펴보면 제조업과 건설업의 취업자 감소가 두드러졌으며, 농업부문이나 생계형 서비스업은 실업대란시대에 완충역할을 해줄 것이라는 기대와는 달리 고용흡수력이 예상보다 훨씬 적은 것으로 드러났다. 취업과 실업 및 비경제활동 사이의 노동력 전이률을 살펴보면 남성과 핵심연령층에서는 취업정착률이 높지만 일단 실업자가 되면 실업으로부터의 탈출률이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에 여성의 경우에는 실망노동자(discouraged workers)효과로 인하여 실업률은 낮고 비경제활동으로의 이동이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실업이나 비경활상태로부터의 (재)취업시에는 압도적으로 임시고/일고로의 취업이 많아서 98년하반기 이후 전북지역에서 창출된 일자리가 주로 임시고/일고 위주로 이루어져 있음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한편 여성실업자의 경우 50%이상이 생계주책임자이며, 특히 여성가장 실업자의 경우에는 90%이상이 생계책임자나 그들 대부분이 빈곤선이하에서 생활하고 있다. 그리고 전북지역에서는 전국수준에 비해서 장기실업률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저학력층과 고령층, 생산직, 임시고일고등의 비정규직 실업자들의 구직기간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실업이 장기화되면 일반적으로 기간의존성효과(duration dependence effect)나 이질성효과(heterogeneity effect)로 인하여 재취업의 가능성은 더욱 떨어진다. 생산적복지(workfare)가 그 이름에 값하는 것이기 위해서는 시장경쟁력이 약한 취약계층에 대해서 직업훈련과 취업알선 및 채용장려, 공공근로 등의 제반 정책들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Economic crisis starting from foreign exchange crisis raised unemployment rates up to 8.4% in Feb. 1999, which used to be 2.5% in the last quarter of 1997. It was the climax. After that peak, unemployment rates declined. But the statistical unemployment index fails to reveal the discouraged workers and underemployed workers. The study on the employment composition by industry shows that many workers have lost their jobs in manufacturing industry and construction industry for the last two years: and that these workers have beeen less reemployed in the agricultural industry and the self-employed service sector than expected. When we analyze the transition probability in the labor market, we are led to conclude that employment stability rate is high among men and core-age group, but that it is difficult for them to be reemployed, once they are fired. On the other hand, among women employees, the transition probability from employment to noneconomic activities is relatively high; unemployment rate is low, because of the effect of discouraged workers. And most of the workers who are reemployed in Chonbuk Province got their jobs in temporary and daily jobs.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long-term unemployment rate in Chonbuk Province is higher than the national average. The job-seeking period is long among low-educated, old-age, blue-collar, temporary/daily workers. The possibility of reemployment is generally low among long-term unemployed workers because of duration dependence effect and heterogeneity effect. Workfare deserves the name only if the government tries to establish the relief measure for the poor unemployed workers, such as vocational training and education, job placement, subsidy for the reemploymen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