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활자본 고전소설의 인쇄소와 인쇄인

        최호석 동양고전학회 2015 東洋古典硏究 Vol.0 No.59

        본고에서는 활자본 고전소설의 인쇄소와 인쇄인에 대한 기초 연구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필자가 작성하고 있는 활자본 고전소설 서지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된 활자본 고전소설의 판권지 기록을 토대로 활자본 고전소설의 인쇄소와 인쇄인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판권지에서 확인된 활자본 고전소설의 인쇄소는 총 67곳이었으며, 이곳에서 활자본 고전소설이 1,360회 인쇄되었다. 활자본 고전소설의 인쇄소에는 인쇄를 주업으로 하는 전문 인쇄소와 함께 출판사 등의 한 부서로 자리한 인쇄부와 부설 인쇄소 등이 있었다. 이와 같은 인쇄소는 서울에 편중되었으며, 인쇄 횟수 또한 소수의 대형 인쇄소에 집중되었다. 한편 활자본 고전소설의 판권지에 기록된 인쇄인은 총 83명인데, 인쇄 횟수가 많은 인쇄인들 가운데에는 여러 인쇄소를 옮겨 다니며 근무하는 사람이 적지 않았다. 한편 판권지에 기재된 대형 인쇄소의 인쇄자는 해당 인쇄소의 실무 책임자였던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ed to survey the basic research on the printing houses and the printers of Print-Edited Classical Novels. To this end, I looked at the copyright papers of Print-Edited Classical Novels. Followings had been found as the result of this study. First, there were 67 printing houses and the Print-Edited Classical Novels were printed 1,360 times. The most of printing houses were located in Seoul, and a few big printing houses took the lead of in Print-Edited Classical Novel printings. Second, there were 83 printers who were identified by copyright papers. Most of printers were representatives of printing houses or person in charge of printings. And some printers who were high ranked in printings tended to change jobs within the same field.

      • KCI등재

        유성기 음반 속 고전소설­ - 20세기 초 고전소설의 장르 전환과 변모

        최호석 동양고전학회 2016 東洋古典硏究 Vol.0 No.63

        본고에서는 유성기 음반과 관련하여 20세기 초 고전소설의 장르적 전환과 변모의 양상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유성기 음반에 수용된 고전소설의 현황을 파악하는 한편, 고전소설이 유성기 음반에 수용되면서 발생한 장르적 전환과 변모의 양상, 그리고 그것의 지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고에서 살펴본 결과를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고에서는 고전소설을 주 소재로 하여 녹음된 유성기 음반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숙영낭자전>, <심청전>, <장화홍련전>, <춘향전> 등을 비롯한 10종의 고전소설이 31종의 음반이 대상이 되었다. 둘째, 고전소설은 유성기 음반에 수용되면서 가요, 가요극, 극, 아동극, 영화설명, 판소리, 희극 등의 다양한 장르로 전환되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서사 전개가 인물 간의 대화를 중심으로 새롭게 구성되었다. 셋째, 고전소설이 유성기 음반으로 수용되면서 영화설명이나 근대극 등으로 재생산된 작품들은 고전소설이 본래 가지고 있던 문제의식과 가치 등을 유지함으로써 전통을 고수하고 있다. 반면 희극으로 재생산된 작품들은 본래의 문제의식과 가치를 고수하기보다는 당대 사회현상과 맞물려 가벼운 웃음을 추구하고 있다. This study aimed to looked into the conversion of the genre, and the aspects of the transition in gramophone records that were based on classical novels. And also considered the orientations of the gramophone records that were based on classical novels. Followings had been found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re were 31 kinds of the gramophone records. All of them were based on the 10 kinds of Korean classical novels like a <Simcheong-jeon>(심청전), <Chunhyang-jeon>(춘향전). Second, the gramophone records that were based on classical novels verified the original genre. And the plot were reconstituted center for enhancive the dialogues. Third, on one hand these gramophone records stuck to tradition of its original texts. and the other hand they pursued the light laugh without reference to the tradition of Korean classical novels.

      • KCI등재

        영문(英文) 한국고전문학사 서술의 이해

        최윤희 동양고전학회 2015 東洋古典硏究 Vol.0 No.59

        이 논문은 영문으로 된 한국고전문학의 서술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삼고 있다. 영문으로 된 한국고전문학사를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특징을 갖는다. 우선 한국문학사라고 일컬을 만한 영문 저술서들의 현황을 살핀 결과 14종이 있었다. 그러나 고전문학사로서 논의될 만한 책은 6종에 해당되었다. 고전문학사의 서술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고전소설만을 대상으로 하여 고찰하였고, 고전소설을 대상으로 하면서 1종의 영문으로 된 고전소설사에 대한 책을 추가하여 7종이 그 대상이 되었다. 이들 7종을 대상으로 삼아 각각에 나타난 소설에 대한 명칭, 분류, 유형, 유형 명칭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영문 한국고전문학사에 대한 인식, 서술 태도를 고찰할 수 있었다. This paper describes the system and check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lassic literature in English. Examine the name of the classic novel, classification. More specifically would described the Purpose of writing of Korean classic novel(soseolsa). Name of the classic novel, How classic novel genre classification, Classic novels are classified into several types, Are some types of literature are applicable, How to determine the type of name, how did the name written work, a description of the work is to encompass any attitude looks. This paper is significant to the Korea Arts and Technology of Korea as an classic novel in English.

      • KCI등재

        1900~10년대 최남선의 ‘고전/번역’ 활동과 전통에 대한 인식

        김남이 동양고전학회 2010 東洋古典硏究 Vol.39 No.-

        이 글은 六堂 崔南善(1890:고종27∼1957)이 1900~1910년대 벌였던 동서양의 고전/텍스트를 수집, 소개, 번역하는 활동을 중심으로 그의 고전과 전통에 대한 인식이 어떠했는가를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자기 내적 인식의 길로서 전통의 재발견과 복원이 이루어지는 지점과 방식, 그리고 그 안의 논리가 이 글이 관심을 갖고 살펴 보고자 하는 점이다. 최남선은 이이의 격몽요결을 1910년대 조선의 맥락으로 다시 불러 오되, 특정한 산정 과정을 통해 시대적 맥락에 맞도록 내용을 변화시키고자 했고, 서양의 교훈, 그리고 일본의 수신서와 혼합된 텍스트로 구성하였다. 논어는 <소년논어>으로 잡지에 연재되면서 한문 원문이 없는 국한문혼용체의 언해 텍스트로 제시되었다. 원문을 직역하지 않았고, 언해된 본문만 보고서는 그에 상응하는 원문을 짐작하기가 쉽지 않은 곳도 있다. 이러한 ‘고전’의 ‘번역’ 양상은 일차적으로 옛 텍스트가 근대적 교양인을 위한 독서물로 변환되었음을 보여준다. 다만, 이것은 궁극적으로 최남선이 조선광문회를 출범하며 했던 ‘眞朝鮮’이라는 말이 시사해주듯이, ‘조선’을 향한 것이었다. 조선과 신문명과의 만남은 서구의 유형적 부와 공간적 팽창 속에서 이루어진 것이었다. 여기서 최남선은 서구/혹은 외부(일본)와 동일한 방식의 팽창을 시도하기 보다는 조선의 ‘부유한 시간’과 그로부터 축적되어 온 무형의 자산들을 당대의 지점으로 소환하는 방식을 취했다. 1900~1910년대 최남선의 고서 수집과 고전의 번역 활동은 이러한 생각과 판단 위에서 이루어진 것이었다. 그 방식은 ‘현실중심적인 시각에서 과거를 재배치하는 형식’이었다. 그리고 그 현실에는 근대라는 지표, 그리고 眞朝鮮을 구성해야 한다는 목표가 작동하고 있었다. In the lead of new civilization theory of Joseon since early 1900s, Yookdang Namsun Choi (1890; Gojong 27~1957) planned ‘New Korea’ and attempted to realize his dream through collecting, introducing, and translating the classic texts of the East and the west. In this aspect the word that symbolizes the activities of Namsun Choi in 1900~10 can be defined as ‘classics’ and ‘translation’. This writing attempts to pay attention to such activities of Namsun Choi and study the acknowledgement of tradition presented by bringing up the tradition of Joseon as a valuable one in the reality of 1900s. Namsun Choi collected the antique books of Joseon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published them. The ultimate goal was the new civilization of Joseon. Nonetheless, the plan of new civilized Joseon by Namsun Choi did not side dot on the organization of a ‘western new civilization’ completely sever from the old Joseon. In other words, in the contents of ‘new Korea’ equipped with the new civilization, the values of the old Joseon are placed as a factor of an axis of new civilization as the essence of the people. It can be confirmed by the fact that the magazines Namsun Choi published for the new civilization of Joseon called ‘Sonyun’ and ‘Chungchoon’ carried traditional three verse ,Chinese poetry, and Eastern classics along with the new civilization knowledge. Namsun Choi brought up the [Gyukmongyogyul] of Yoolgok Yiyi as the best classics for boys of Joseon to develop themselves. Although Namsun Choi brought up the Gyukmongyogyul in the context of Joseon in 1910s, he made it go through a process of a certain appraisal to modify the details according to the periodic context. In addition, he arranged it along with the lessons and receptions of the West and Japan. By doing so, [Gyukmongyogyul] was allowed to be approved as a value to be generalized in the context of Asia or the world rather than being only limited to the classic within Joseon. The most distinguishable factor in the selection of classics in [Sonyun] is the [Sonyunnonuh]. By beginning the serial publishing of [Sonyunnonuh], the [Nonuh] was established as a classic with ‘the most precious and constructive lesson’. Likewise, the approval and reinstatement of intelligent, traditional values within Joseon and the East is together with the acceptance of the western materialism and knowledge in Joseon’s efforts for the civilization of Joseon. According to Namsun Choi, the meeting between the tradition and the new civilization has come with the tangible wealth and the special expansion of the West. Namsun Choi took a method of summoning the intangible assets accumulated from the ‘ rich time’ of Joseon rather than attempting to expand with the same way as the West or the external (Japan). The method of summoning it to the current moment was, as mentioned in the above, ultimately ‘a form of re-arrangement of the past in the view dominated in the present’. The Yoolgok’s Gyukmongyogyul was presented not as a stale book with Confucian lessons that need to be discarded but a new text of lessons of the East and the West after appraisal while Nonuh was presented newly as the Sonyunnonuh which goes beyond the serious consideration and calling the original version as the noble one and eliminates the Chinese-character based original one and conveys the significant lessons easily for the ‘Sonyun(the youth)’, or the future of civilized Joseon. Consequently, the tradition was newly proposed in the ‘present’ as a crystal with the essence of the people within the accumulation of time.

      • KCI등재

        『孫子兵法』의 應用術을 통해 본 古典可用性

        최영준,김청환 동양고전학회 2008 東洋古典硏究 Vol.33 No.-

        서양의 편리한 과학적 지식과 사고를 응용한 발전의 바탕위에 포용적이고 상호보완적인 동양의 지혜를 화합시키고 재구성하여 시대적 변화의 당면과제로 떠오르는 여러 문제 해결의 임무를 수용하는 차원에서 고전의 번역을 응용한다. 이러한 맥락에 맞추어 본 연구 방향은 고전 중에서 孫子兵法을 활용한 古今의 지도자들을 통하여 고전의 지혜 응용과 그 가용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하여 앞으로 우리의 동양적 사상과 가치관이 세계의 흐름 속에서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가하는 본보기에 힘을 실어 발전 문을 활짝 여는 작업의 한 보탬 역할을 하는 것으로 번역의 사명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의도에서 많은 古典들이 해박한 선배 학자들에 의하여 재음미 되고 해석되어서 소개되었고 또한 많은 출판물이 쏟아진 것을 익히 알고 있다. 본고에서는 古典중에서도 대중에게 친숙하게 알려진 孫子兵法을 선택하였다. 그 이유는 이 고전이 가지고 있는 사상이 東西古今의 지도자들에 의하여 어떻게 활용되어 왔는지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관찰하려는 지도자들은 古代는 三國志속에 등장하며 잘 알려진 曹操, 諸葛孔明, 司馬仲達, 이 세 지도자들과 現代에서는 축구 감독으로 孫子兵法을 애독한 2006년 독일 월드컵 당시 포르투칼의 감독이었던 스콜라리와 현대 군사 이론가인 영국의 리델하트(Liddell Hart)를 선택하였다. 여기 소개된 지도자들이 孫子兵法을 활용한 사례들을 통하여 古典이 처해진 입장에 따라 어떻게 해석되고 활용되었는가를 살펴본다. 그리하여 앞으로는 고전이 어떻게 가용되어야 하는지를 알아보는 기회를 만들어보는 뜻이 본고 記述 의도이다. We apply The classics of the Orient as a way of solving the problems calling for immediate solution in the changes of these times by reconstructing a wisdom from the Oriental literature which are complementary cooperation and great capacity on the basis of convenient scientific knowledge and thought of the Western. In this context, I would like to search the inflection and application about The classics of the Orient throughout the leaders all ages and countries who make use of Sunzibingfa, the art of war by Sunzi. So, It is charged with a mission in translation of the oriental thoughts and values how to make a shining example its way in the current of time. In this aim to introduce the classics of the Orient. We can see the classics publication which is translated by many scholars. I recommended Sunzibingfa among the classics in this my thesis. Because I want to look into how to use of this book which has the thoughts by the leaders all ages and countries . Under this intention, I will introduce three leaders who are famous for using the book Sunzibingfa in Sanguozhi(三國志)-Records of Three Kingdoms, Caocao(曹操), Zhugeliang(諸葛亮) and Simayi(司馬懿) in ancient times and Luiz Felipe Scolari and Liddel hart, one is famous for using the book as the coach of the Republic of Portugal soccer team the 2006 World Cup Soccer and the other is a strategist of England in these modern days. We can see how to use this Sunzibingfa in their places and circumstances. Therefore We can have a chance how to use The classics of the Orient. This is my purpose to write this thesis.We apply The classics of the Orient as a way of solving the problems calling for immediate solution in the changes of these times by reconstructing a wisdom from the Oriental literature which are complementary cooperation and great capacity on the basis of convenient scientific knowledge and thought of the Western. In this context, I would like to search the inflection and application about The classics of the Orient throughout the leaders all ages and countries who make use of Sunzibingfa, the art of war by Sunzi. So, It is charged with a mission in translation of the oriental thoughts and values how to make a shining example its way in the current of time. In this aim to introduce the classics of the Orient. We can see the classics publication which is translated by many scholars. I recommended Sunzibingfa among the classics in this my thesis. Because I want to look into how to use of this book which has the thoughts by the leaders all ages and countries . Under this intention, I will introduce three leaders who are famous for using the book Sunzibingfa in Sanguozhi(三國志)-Records of Three Kingdoms, Caocao(曹操), Zhugeliang(諸葛亮) and Simayi(司馬懿) in ancient times and Luiz Felipe Scolari and Liddel hart, one is famous for using the book as the coach of the Republic of Portugal soccer team the 2006 World Cup Soccer and the other is a strategist of England in these modern days. We can see how to use this Sunzibingfa in their places and circumstances. Therefore We can have a chance how to use The classics of the Orient. This is my purpose to write this thesis.

      • KCI등재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Cosmic Life as the Inter-Relational Metaphor of the Ultimate Reality in East and West

        Eun Hee Shin 동양고전학회 2008 東洋古典硏究 Vol.32 No.-

        이 글의 목적은 기독교 경전에 나타난 영(Spirit)개념과 동양고전에 나타난 기(Ch’i) 철학과의 대화를 통하여 두 전통 안에 녹아있는 우주적 생명과 생명의 내적 관계성을 통해 신과 인간의 궁극적 실재를 생태학적 윤리에 접합시켜 조명한 동서양 비교철학의 논문이다. 동서양 전통간의 대화를 위하여 서구전통에서 기독교의 대표적인 고전이라고 할 수 있는 히브리 경전(혹은 구약경전)과 신약경전에 나타난 영 개념의 어원적 의미와 뜻을 살펴보고 우주적 생명으로서 영의 철학적 구성과 윤리적 함축성을 살펴본다. 이 과정에서 서구고전에 나타난 경전의 영 개념은 중세 기독교 신학교부들에 의하여 ‘신학화’ 과정을 거치기 전까지는 우주적 생명의 내적 연계성을 지니고 있는 자연적 성격이 강하였다. 서양의 영 개념과 함께 동양전통에 나타난 기 개념은 다양한 고전에 등장하고 있는 동양의 영성을 대표하는 개념으로서 서양의 영 개념과 비교하여 물질과 영성의 통합 기운으로 기의 철학적 구성과 윤리적 의미를 살펴보고 있다. 기는 우주적 호흡으로 만물에 내재하며 초월성과 내재성을 동시에 내포하고 있어 서양전통에서 대안으로 제시한 신과 세계의 내적 관계성을 강조한 범재신론의 모델을 철학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동양의 기 철학은 샤머니즘전통의 자연성과 원시성이 내포되어 있는 기의 원초적 기원에서부터 도교전통의 노장사상, 유교전통의 철학적 이기론에 이르기까지 우주의 생성원리와 기의 운동성을 설명하고 있다. 두 전통의 만남은 영 개념과 기 개념이 공통적으로 단절적이거나 정체된 존재(being)의 개념이 아니라 우주적 생명으로서 연대성, 관계성, 생명성을 강조하는 우주적 과정(cosmic process)으로 자연을 객체화시켜 개발의 대상화로 전락시키는 생명파괴의 현실에서 생태학적이며 생명존중의 윤리의식을 강화시킬 수 있는 생명윤리의 철학임을 의미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reate an inter-religious dialogue between the Western Christian concept of the spirit and Eastern ch'i philosophy within the category of panentheism. The Hebrew term ruah means 'moving air' and 'wind' which derive from the particular experience of the ancient Hebrew people living in the desert. The Greek pnuema also means 'life' and 'wind' which denote the natural power. Both ruah and pneuma consist of the main idea of the spirit exploring the symbol of relationality of the divine in Western tradition. Eastern ch'i philosophy indicates a vital force for keeping the body and soul alive, which is unconscious and spontaneous. Ch'i as a vital force constitutes cosmogony and cosmology with the constant movement of yin and yang. Yin and Yang as representing earth and heaven are dynamic breaths, blending harmoniously to become all existence. The ethical implication of the inter-religious dialogue between the spirit and ch'i would be the integ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heaven, earth, and human beings. The dialogue suggests becoming one body with nature and human community through embodying the non-dualistic spirit of life. The inter-relationality means that since all modalities of existence are made of the cosmic life, human beings are part of the divine cosmic process. This is related to degree of spirituality in the entire chain of being: rocks, trees, animals, humans, and goods represent different levels of spirituality based on the varying composition of the spirit and ch'i. All beings that internally embody with the spirit and ch'i are organically inter-connected, and they are integral part of a continuous process of transformation of life towards holistic liberation of human and nature community.

      • KCI등재

        근대시기 동양평화에 대한 두 시각 − 안중근과 박영철을 중심으로 −

        오재환,구사회 동양고전학회 2010 東洋古典硏究 Vol.41 No.-

        이 논문에서는 민족 존망의 위태로운 시기에 활동했던 안중근과 박영철이라는 두 사람을 통해 근대 지식인의 자세와 현실에 대한 대응 방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민족정신의 표상인 안중근과 친일파였던 박영철을 비교하는 것은 합당하지 않다고 말할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고에서 그것을 시도한 것은 사회진화론이라는 똑같은 이데올로기라도 그것을 어떻게 적용시키느냐에 따라 결과는 판이하였기 때문이다. 안중근과 박영철은 같은 시기에 태어나서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로 이어지는 변혁기를 살았다. 이들에게 민족 주권과 동양평화라는 공통적인 화두가 있었지만 삶의 방향이나 행적은 서로 달랐다. 전자는 일제의 심장을 겨누었고, 후자는 그것의 심장부로 들어갔기 때문이다. 이들은 동양평화에 대한 자신들의 견해를 19세기 이래로 대두된 적자생존과 우승열패로 귀결시키는 사회진화론을 전제로 개진하고 있었다. 게다가 이들의 논리는 사회진화론에 결합된 인종주의를 토대로 하고 있었다. 하지만 안중근은 동양 각국이 서로의 주권을 침해하지 않고 공존해야 동양평화가 이룩된다고 보았고, 박영철은 동양이 일본을 중심으로 뭉쳐야 동양평화가 이룩된다고 보았다. 이들 두 사람은 같은 시기를 살았지만 시대 의식도 대조적이었다. 안중근은 일제가 한국의 주권을 빼앗아 동양평화가 깨질 것으로 보았다. 반면에 박영철은 일본과 한국이 일체가 되어 대동아공영을 이룩한 바, 평화시대가 도래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후자는 한국의 주권보다는 일본의 근대 문명에 관심을 보이며 한국이 그것을 본받아야 한다고 보았다. Both An, Joonggeun and Park, Youngcheol lived in similar innovative time period from the enlightenment times through the Japanese colonial era. Even though they had the same resolution to pour their energy on national sovereignty and oriental peace, their opinions and activities were contrary. While An aimed the gun at the heart of Japanese imperialism with the belief that Japanses empire hindered Korea's independence and the Oriental Peace, Park willingly joined the heart of the imperialism with the belief that Japan could enhance Korean civilization and the Oriental peace. They had commonly developed their visions about oriental peace on the basis of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focusing on the survival of the fittest and the weak-to-the-wall kind of society that had been prevalent since 19th century. Furthermore, their logics were based on racism combined with the social evolution theory. Although the two men lived in the same era, their spirit of the times were quite different. An considered that the Japanese extortion of Korean sovereignty caused the corruption of peace of the East. On the other hand, Park believed that peaceful age came by way of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constructed by the union of Korea and Japan. Especially Park put higher value on Japanese modern civilization than Korean sovereignty and also insisted Korea should take Japanese case as its model.

      • KCI등재

        세창서관의 활자본 고전소설 간행 양상과 의미

        엄태웅 동양고전학회 2016 東洋古典硏究 Vol.0 No.64

        본 논문은 해방 이후에 활자본 고전소설을 활발하게 간행한 신태삼과 세창서관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세창서관은 가장 많은 활자본 고전소설을 간행한 서적상임에도 활발히 간행한 시기가 해방 이후인 이유로 그리 주목을 받지 못했다. 그러나 오히려 해방 이후, 즉 고전소설의 시대적 소명이 희미해진 시기에 상당한 양의 활자본 고전소설을 간행했다는 사실로부터 세창서관의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세창서관은 고전소설 중에서도 ‘영웅적 인물의 이야기’, ‘실제 역사를 배경으로 한 이야기’, ‘실기류’ 등을 중점적으로 간행하였다. 이는 신태삼이 격동의 시대를 극복할 수 있는 영웅적 인물 형상, 혹은 과거 역사에서 모범이 될 만한 내용을 담은 작품들에 관심을 갖고 있었음을 말해준다. 앞서 일제강점기 검열 목록에 나타난 민중적 면모 또한 이러한 맥락과 닿아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 이렇게 볼 때 해방 이후 활발한 활동을 한 신태삼의 출판 활동과 행적은 시대와 역사에 대한 고민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chasing the aspect and meaning of the classical novels printed by modern publication in bookstore SeChangSeoGuan and an owner Shin Tae-sam. SeChangSeoGuan was very active in publishing classical novels after restoration of independence of Korea. But another bookstore publishing classical novels were very active in publishing from 1910s to 1930s, the era under the colonial administration of imperial Japan. So until now SeChangSeoGuan didn't receive attention from researcher of Korean classical novel. SeChangSeoGuan mainly published 'heroic novels', 'historic novels', 'historic stories'. Shin Tae-sam wanted to publish classical novels can enlighten people of Korea. And he took part in resistance movement, his behavior was though insignificant from the point of macroscopic view but significant from the point of microscopic view. Through the SeChangSeoGuan and an owner Shin Tae-sam, we can consider people who agonized history and nation in turbulent era.

      • KCI등재

        고전 유가에서 인간의 덕과 훌륭한 삶 : 플라톤과의 대조를 통해서

        임헌규 동양고전학회 2010 東洋古典硏究 Vol.41 No.-

        이 논문은 현행 신자유주의가 가장 기성을 부리고 있는 현행 한국사회의 현실을 직시하고 진정한 인간의 덕과 훌륭한 삶 및 국가의 正義에 대한 고전적인 본래 관점을 復命하려는 시도에서 기술되었다. 여기서 필자의 문제의식은 현재 우리 사회의 주도적인 이념인 개인적 자유주의 및 기술 산업사회의 경쟁의 논리에 의해서는 미래 우리의 훌륭한 삶이 담보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수많은 문제점을 노정할 수 있기 때문에 儒家적인 인간의 德에 관한 관점과 사회 정의관의 회복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서양의 고전적 인간-사회관의 전형을 형성하는 플라톤의 입장을 먼저 개진하고, 이와 대조하는 방식으로 인간의 덕과 훌륭한 삶에 대해 공자와 맹자의 입장을 제시하였다. 필자는 다음과 같은 점을 주목하여 유가의 훌륭한 인간 및 사회에 대한을 명확히 하려고 하였다. 먼저 고전 유가는 인간의 보편적인 덕목을 ‘仁’이라고 주장하는데, 이는 곧 인간을 관계적-공동체적-사회적 존재로 정립한다는 점이다. 나아가 이러한 유가의 ‘仁’은 인간 본성이 단순히 개인의 생존뿐만 아니라 타인에 대한 同情心으로 무조건적-자발적으로 발출한다고 본다는 점에서, 인간을 하나의 ‘類的 共同體’로 규정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다음으로 우리는 유가는 인간의 인간다운 보편 덕의 실현에 인간의 훌륭한 삶이 구현된다고 주장했다는 점을 제시하여, 욕망의 실현에 모든 가치의 근거를 두는 현실의 입장에 대한 비판의 준거를 확보하려고 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유가의 正名論을 통해 올바르고 정의로운 사회란 무엇인가 하는 점을 반성하고, 국가는 단순히 권력기관이 아니라, 그 구성원을 훌륭한 삶으로 이끌도록 계도하여야 한다는 ‘교육국가’의 이념을 제시하고자 했다. Both in the East and the West, the most classical question in classical political philosophy was 'what is truly a human virtue and a good life?' 'Human virtue' and 'Good life', and 'good State' are thus essentially tied together. Platon And Confucianism. We began with Platon and Confucianism's definitions of human virtue & good life, and 'good State'. This Essay attempts to systematically approach to what Confucianism thinks as a human virtue and a good life in contrast with Platon. Confucius asserted that the most humane human life is a civilized life and it means to realize the value of 'benevolence as a human virtue. 'Mencius also concurred that Confucius's explication of the good life was right. Moreover, he argued that to realize this, political practice should follow. Mencius discussed about 'Four Virtues', the essential goodness of human, confirmed by 'Four Clues (四端)' to talk about the possibility of realizing the good life and a good state. On the other hand, he devised Politics of benevolence.)' as a practical tool for it. An classica eastern philosophy(platon and confucianism) consider a human beings as human relationship. Confucianism believe in reality of the human mind & it's nature. Confucian human mind & it's nature is comprised of benevolence, righteousness, propriety and wisdom. Confucianism proposed that we have to approach to other man as benevolence.

      • KCI등재

        한국과 중국의 詩意畵 읽기 - 텍스트의 해석을 중심으로

        강경희 동양고전학회 2013 東洋古典硏究 Vol.0 No.50

        본고는 중국 고전문학 작품을 원텍스트로 한 중국과 한국의 詩意圖를 통해 문학작품이 그림 속에서 어떤 방식으로 구현되었는지, 또 그 그림들이 원텍스트를 어떤 방식으로 해석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작업으로 문학을 통해 그림을, 그림을 통해 다시 문학작품을 읽는 하나의 실험이다. 屈原의 「漁父辭」, 陶淵明의 「歸去來辭」와 「桃花源記幷詩」, 杜甫의 「飮中八仙歌」, 蘇軾의 「赤壁賦」, 歐陽脩의 「秋聲賦」와 이들을 畵題로 삼은 중국 및 한국의 詩意圖를 대상으로 하여 중국과 조선에서 공유했던 중국 문학 작품이 각기 어떤 식으로 수용되고 향유되었는지 그 양상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詩意圖의 특징을 귀납하였다. 그 결과 아래와 같은 사실을 도출하였다. 첫째, 중국에서 역사적으로 형성된 각 詩意圖의 전형적인 양식들이 조선의 회화에도 모두 보이는 점을 통해 조선시대 화가들은 중국의 회화양식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 국제적인 감각을 잃지 않았다. 둘째, 중국 시의도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시각화된 이미지와 전달하려는 중심주제는 다양하게 변화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고, 이러한 다양한 시도를 통해 중국의 전통에서는 볼 수 없었던 미감이 전해지기도 하고 새로운 양식이 창조되기도 하였다. 셋째, 위와 같은 결과를 통해 같은 문학작품에 대한 중국과 한국의 수용과 해석의 차이를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lies how the original text of Chinese classical literary works have been implemented in the paintings of China and Korea, and inspect the ways how of these original text interpreted in paintings. It is an experiment of trying to analyze through literature with painting and read again painting through literature. Qu Yuan(屈原) Prose Poem of Fisherman(「漁父辭」), Tao Yuanming(陶淵明) Prose Poem of Returning Home(「歸去來辭」) and the prose with a poem on the peach blossom spring(「桃花源記幷詩」), Du Fu(杜甫), Song of Eight Drunken Celestials(「飮中八仙歌」), Su Shi(蘇軾), Odes on the Red Cliff(「赤壁賦」), Ou Yangxiu(歐陽脩), Odes of the Sounds of Autumn(「秋聲賦」) and the paintings which based on these texts were the target of examination. These literary texts shared by Chinese and Korea have been compared in the aspects of acceptance and enjoyment. And on the basis of this proces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paintings expressing the ideas of classical literary works was induced. As a result, the following facts are derived. First, By the emergence of the typical style which was formed historically in China at the korean painting shows that korean painters not only actively embraced the art style of China also did not lose the international sense. Second, through the profound study for chinese painting, they transformed it in accordance with korean aesthetic view and finally revealed typical korean characteristics. Third, the results as described above showed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and interpretation of literary works between China and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