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브랜드 사전 선호와 제시 속성 유형에 따른 신제품의 비교 광고 효과

        남아영,Nam. Ah Young 한국상품학회 2015 商品學硏究 Vol.33 No.2

        본 연구는 소비자의 브랜드에 대한 사전 선호 유무와 제시 속성 유형에 따른 신제품의 비교 광고 효과를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브랜드에 대한 사전 선호가 있는 소비자에게는 바람직한 속성을 제시한 신제품의 비교 광고가 수단적 속성을 제시한 신제품의 비교 광고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제품 태도를 보일 것이고, 브랜드에 대한 사전 선호가 없는 소비자에게는 수단적 속성을 제시한 신제품의 비교 광고가 바람직한 속성을 제시한 신제품의 비교 광고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제품 태도를 보일 것이라는 것을 실증적으로 밝혀내고자 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2(브랜드 사전 선호: 브랜드 사전 선호 없음 vs. 브랜드 사전 선호 있음) × 2(제시 속성 유형: 수단적 속성 vs. 바람직한 속성) 요인설계(2×2 Factorial Design) 방안을 적용하여 실험을 실시였다. 연구 결과 이론적 근거로 수립된 가설은 지지가 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사실을 요약 할 수 있다. 이미 브랜드에 대한 사전 선호를 구축하고 있는 소비자는 제품이 소비자에게 가치를 줄 수 있는 바람직한 속성을 비교 광고에서 강조하여 제시는 하는 것이 수단적 속성을 강조하여 제시하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제품태도를 보였다. 반대로 브랜드에 대한 사전 선호가 없는 소비자는 제품을 획득하는 수단인 수단적 속성을 비교 광고에서 강조하여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한 속성을 강조하여 제시하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제품태도를 보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신제품의 비교 광고 전략에서 표적 소비자의 브랜드 선호의 유무에 따른 신제품의 속성 제시 방법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This research demonstrates the advertising effects based on consumers' prior brand preferences and attribute characteristics in comparative advertising of new product. This study hypothesizes that for the consumers with prior brand preference, Desirable Attributes Presentation would have more positive effects than Feasible Attributes Presentation on the consumers' attitude toward new product in the comparative advertising. Meanwhile, for the consumers without prior brand preference, Feasible Attributes Presentation would be better in persuading them. Suggested and tested in an experimental situation with 2x2(prior brand preferences X attribute characteristics) to 159 undergraduate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upports the theoretical statement and presents the conclusions as follows. For participants with prior brand preference, desirable attribute presentation of in the comparative advertising of new product was more effective than feasible attribute presentation. This group demonstrated the better attitude toward the new product. In contrast, participants without prior brand preference showed more favorable attitude when feasible attribute presentation, which is the method of getting new product was provided rather than desirable attribute presentation was offered. Possible academic as well as managerial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for this study were discussed further.

      • KCI등재

        감각추구 성향이 주류 제품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제품 사전지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남아영(Nam, Ah Young),이유리(Lee, Yoo Ri) 한국상품학회 2020 商品學硏究 Vol.38 No.5

        본 연구는 소비자의 감각추구 성향이 주류 제품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소비자의 감각추구 성향과 주류 제품의 태도와의 관계를 살펴보고, 소비자의 감각추구 성향과 주류 제품의 태도의 관계를 주류 제품에 대한 사전지식이 조절 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음주 경험과 주류 구입 경험이 있는 239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소비자의 감각추구 성향은 주류 제품의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어 소비자의 감각추구 성향이 높을수록 주류 제품의 태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의 감각추구 성향이 주류 제품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주류 제품의 사전지식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감각추구 성향이 낮은 소비자의 경우, 주류 제품에 대한 사전지식이 높은 소비자보다 사전지식이 낮은 소비자가 상대적으로 높은 주류 제품에 대한 태도를 보였다. 반면에 감각추구 성향이 높은 소비자의 경우, 주류 제품에 대한 사전지식이 낮은 소비자보다 사전지식이 높은 소비자가 상대적으로 높은 주류 제품에 대한 태도를 보였다. 본 연구는 주류 제품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소비자의 개인적 성향 요인인 감각 추구성향으로 제시하였으며, 또한 개인의 특성 중 인지적 요인인 주류 제품에 대한 사전지식을 함께 살펴보았다는 데에서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consumer s sensory-seeking tendency on alcohol product attitude and moderating effect of prior knowledge of alcohol product between these two variables. Specifically, consumers who have high consumer s sensory-seeking tendency will have higher high prior knowledge of alcohol product than low prior knowledge. On the contrary to this, consumers who have low consumer s sensory-seeking tendency will have higher low prior knowledge of alcohol product than high prior knowledge. This study survey 239 consumers with alcohol purchasing experience. As a result, the hypothesis was supported as expected. Finally, based on the finding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후발 진입 브랜드의 광고 전략

        남아영(Ah Young Nam),나준희(June Hee Na),서찬주(Chan Joo Suh) 한국마케팅학회 2013 마케팅연구 Vol.28 No.4

        본 연구에서는 후발 진입 브랜드가 기존 브랜드 보다 우월한 속성을 가지고 시장에 진입한다는 전제 하에, 동종 제품군의 광고가 배치 되어있는 곳에 후발 진입 브랜드의 광고를 배치하는 것이 제품태도에 더 효과적인지, 아니면 이종 제품군의 광고가 배치되는 곳에 배치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지를 대안 배치의 일목요연함(cohesiveness)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또한 각각의 상황에서 제품의 속성을 기존 브랜드가 강조하는 속성 중에 우월한 것을 제시 하는 것이 후발 진입 브랜드의 제품에 대한 제품태도에 더 효과적인지, 아니면 기존 브랜드가 제시하는 속성이 아닌 차별화된 속성을 강조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지에 대해 속성의 정렬 가능성(alignability)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실험설계는 대안 배치의 일목요연함(일목요연함이 높은 상황 vs. 일목요연함이 낮은 상황), 속 성 제시의 정렬 가능성(속성의 정렬 가능한 차별점 vs. 속성의 정렬 불가능한 차별점) 2 x 2 요인설계(factorial design)로 구성되어 이에 따른 제품태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이론적 근거로 수립된 가설들이 모두 지지가 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사실을 요약할 수 있다. 후발 진입 브랜드가 기존 브랜드 보다 우월한 속성을 가지고 시장에 진입 할 때, 후발 진입 브랜드의 광고의 배치는 동종의 제품군의 광고가 많이 배치되어 있는 대안 배치의 일목요연함이 높은 경우에 광고를 배치하는 것 이 이종 제품군의 광고가 배치되어 있는 대안 배치의 일목요연함이 낮은 경우에 배치하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제 품태도가 높았다. 또한 동종의 제품군에 광고가 함께 배치되는 대안 배치의 일목요연함이 높은 경우, 속성의 정렬 가능한 차별점이 아닌 정렬 불가능한 차별점을 제시 하는 것이 제품태도가 높았다. 그러나 이종 제품군에 광 고가 함께 배치 되어있는 대안 배치의 일목요연함이 낮은 경우, 속성의 정렬 불가능한 차별점을 제시하는 것보다 정렬 가능한 차별점을 제시 하는 것이 제품태도가 높았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우월한 속성 가진 후발 진입 브랜드의 광고 전략에서 광고 대안의 배치와 속성 제시 방법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Suppose a later mover in the digital camera industry introduced a significantly innovative new product. Is it better for the late mover to advertise in a general interest magazine or in a specialized electronics-focused magazine? If in a special magazine, will a one-by-one comparison with existing digital cameras’ attributes be more effective than a non-alignable comparison? This study tries to answer these questions empiric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amine the effects of cohesiveness and alignability of ad information on consumers’ product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with respect to late movers in a new product innovation scenario. From the previous literature on cohesiveness and alignability of ad information,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three hypotheses: First,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cohesiveness and consumers’ product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is proposed because in a more cohesive situation (i.e. a situation where similar products are displayed together, as in a special high-tech magazine), consumers are likely to spot differences more easily than in a less cohesive situation(i.e. as in a general interest magazine). Second, in a more cohesive ad information situation,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more alignable information (i.e., in a situation where one-by-one comparison of attributes is possible) and consumers’ product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is proposed because differences of the new product may not easily be noticed. Third, in a less cohesive situation, this study adopt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more alignable information and consumers’ product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In order to test the above 3 hypotheses, 2x2 factorial design (more cohesiveness vs. less cohesiveness, alignable difference vs. nonalignable difference) was performed. The results confirmed the three proposed hypotheses. Possible academic and manageri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기계·설비 제조업체와 유통 대리점의 관계지속에 관한 연구 : 불공정성과 기회주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남아영(Nam, Ah Young),주규희(Joo, Kyu Hee),서찬주(Suh, Chan Joo) 한국상품학회 2020 商品學硏究 Vol.38 No.4

        본 연구는 소비재 상품이 아니라 산업재 상품을 판매하는 기계·설비 제조업체의 경쟁력 강화차원에서 산업재 상품을 생산 제조하는 기계·설비 제조업체 본사와 이들 상품을 유통하는 대리점과의 관계를 다룬다. 특히 기계·설비산업에 있어서는 상품의 제조업자 본사와 유통 대리점과의 관계가 중요한데 이는 이들의 최종소비자가 기계·설비 상품에 대하여 끊임없는 서비스 요청을 유통 대리점에 하고 유통 대리점은 제조업체와의 신속한 조치와 협조를 통해서 서비스가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전 문헌을 통하여 기계·설비 상품 유통 대리점의 제조업체 본사에 대한 신뢰가 중요한 요인임을 인식하고 기계·설비 상품 제조업체 본사에 대한 유통 대리점의 관계해지의도를 살펴보았다. 선행 연구에 기초하여 설정 된 가설을 검증하고자 기계·설비 유통 대리점 관리자들에게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회귀분석으로 사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유통 대리점의 기계·설비 상품 제조업체 본사에 대한 신뢰와 관계해지의도가 제조업체의 불공정성이 높다고 지각 할 수 록 약화되는 조절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유통 대리점의 제조업체에 대한 신뢰가 관계해지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기회주의가 높을수록 약화된다는 가설의 방향성은 확인하였으나 통계적으로는 한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여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manufacturers that produce and sell machinery and equipment and agencies that distribute these products in order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manufacturers that sell industrial goods (not consumer goods). In particular, in the machinery and equipment industry, the relationship between manufacturers and distributors is important because their end-users constantly request the customer services to distribution agencies and distribution agencies also provide prompt action and cooperation with manufacturers to satisfy the end-user’s needs. Therefore, in the machinery and equipment industry, we recognized that the trust of the distribution agencies to the manufacturer is an important factor and examined the intention to terminate the relationship with manufacturers based on the findings from previous literature .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es in this study,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with managers of machinery and equipment distribution agencies and the hypotheses were verified using a series of hierarchical regression. Through this process focussed on demonstrating the moderating effect, it was confirme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the more the distributors perceived that the manufacturer s unfairness was high, the less the distributor s trust which decrease the dissolution intentions become strong. However, the direction of the hypothesis that the influence of the distributor s trust to the manufacturer on the dissolution intentions weakens as the opportunism increases, but it had a marginal statistical significance. Managerial and academic implications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개인의 문화가치 성향과 광고 메시지 소구 유형이 광고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남아영(Nam, Ah Young),서찬주(Suh, Chan Joo) 한국상품학회 2015 商品學硏究 Vol.33 No.6

        본 연구는 개인의 문화가치 성향에 따라서 선호하는 광고 메시지 소구 유형이 존재하는지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개인주의 성향의 소비자(vs. 집단주의 성향의 소비자)에게 이성 소구 메시지 광고를 제시하는 것이(vs. 감성 소구 메시지 광고 제시) 상대적으로 해당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긍정적인 광고태도와 높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임을 실증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2(개인의 집단 성향: 개인주의 성향 vs. 집단주의 성향) X 2(광고 메시지 소구 유형: 이성 소구 메시지 vs. 감성 소구 메시지) 요인설계 방안(2x2 Factorial Design)을 적용하여 실험을 실시하고 이에 따른 광고태도와 구매의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실험 제품군에 따른 외생변수를 통제하고자 동일 실험설계상에서 2차례에 다른 제품군을 통한 실험을 거쳐 살펴봄으로써 실험 결과의 외적 타당성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상대적으로 개인주의 성향의 소비자는 감성소구 메시지 보다 이성 소구 메시지 광고에서 긍정적인 광고태도와 높은 구매의도가 나타났다. 또한 상대적으로 집단주의 성향의 소비자는 이성 소구 메시지 보다 감성 소구 메시지 광고에서 긍정적인 광고태도와 높은 구매의도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밝혀진 결과를 토대로 학문적인 그리고 실무적인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 person's individualistic vs collectivist cultural propensity on the preference of different advertising appeals. To be specific, this study tried to empirically demonstrate more individualistic(vs collectivist) consumers prefer rational appeal advertising (vs emotional advertising) or vice versa. This study adopted a 2x2 Factorial ANOVA Design (Individual vs Collectivist Cultural Propensities x Rational vs Emotional Advertising Appeals) to prove the hypotheses suggested by the previous literature. To increase external validity and reduce the effects of exogenous variables, two different experiments were performed. The results showed that individualistic consumers exhibite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s the advertisement and higher purchase intention in case of rational appeal advertising than emotional one. Comparatively, collectivist consumers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s the advertisement and higher purchase intention in the case of emotional appeal advertising. Theoretical as well as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were further discussed

      • KCI등재

        고객등급에 따른 온라인 구매후기의 설득지식 발생에 대한 연구

        손영석(Young seok Son),남아영(Ah young Nam),송시연(Sie yeoun Song) 한국상품학회 2017 商品學硏究 Vol.35 No.2

        온라인 구매가 활성화됨에 따라 소비자의 구매후기 의존도도 더 커지고 있다. 기존연구와 다르게 본 연구는 긍정적 후기가 반드시 소비자에게 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님을 보여주고자 한다. 특히 고객의 등급에 따라, 우수고객의 긍정적 후기는 일반고객의 후기보다 쇼핑몰 방문고객의 제품 태도 및 구매의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됨을 증명하고자 한다. 실험1은 긍정적 구매후기와 부정적 구매후기가 각각 2개로 동일한 경우, 우수고객의 파급효과를 알아보았는데, 실험결과, 긍정적 후기를 남긴 상위등급자의 글은 제품 호의도 및 구매의도에 있어서 일반등급이 쓴 글과 별다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 2는 구매후기의 구성을 긍정적 후기(3)+부정적 후기(1)로 다르게 하여, 등급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실험결과 이때는 실험1과 달리 상위 등급의 부정적 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설득지식 발생에 의한 것으로, 피험자는 상위등급자의 긍정적 후기에 대해 낮은 신뢰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상위등급자가 부정적 후기를 쓴 경우에는 일반등급자가 부정적 후기를 쓴 경우보다 더욱더 제품 호의도 및 구매의도가 낮게 나타나, 이때는 설득지식이 발생하지 않았고, 피험자는 상위등급자가 남긴 후기를 신뢰했다. 실험3은 이러한 설득지식이 상위등급자의 신뢰도를 높인 경우에는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기존의 실험1과 2에서 사용한 상위등급자의 정의를 좀 더 신뢰성이 높도록 조작하였다. 그 결과, 신뢰성이 높아진 상위등급자가 남긴 긍정적인 글은 긍정적 단면후기라 할지라도 일반등급자가 남긴 글과 유사한 제품 태도 및 구매의도를 보였다. This research proposes that positive online review does not always give good effect to consumer. Study 1 is to identify the effect on the high level loyalty consumer when there is equal ratio of positive/negative online review (2 each for positive/negative online review).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positive online reviewby high level loyalty consumer does not givemuch difference to product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than that of lowlevel loyalty consumer. Study 2 is to identify the effect on the high level loyalty consumerwhen there is higher ratio of positive online reviews than negative (3 positive &1 negative online review). The result showed that unlike study 1, there was negative effect to high level loyalty consumer review. This is due to the persuasion knowledge where subjects showed low trust to the positive online review by high level loyalty consumer. However, in the case when high level loyalty consumer provides negative online review, there is a tendency that product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was much lower than the case when low level loyalty consumer provided negative online review. Study 3 is to showthat such persuasion knowledge does not occur when the level of trust for high level loyalty consumer is set to high, and to do so, the definition on the high level loyalty used for study 1 &2 has beenmanipulated to showhigher level of trust. As a result, the positive online reviewby high level loyalty consumerwith high trust showed similar product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as that of lowlevel consum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