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막하 지방종으로 오인될 수 있는 외상성 요천추부 아급성 경막하 출혈

        황선철(Sun-Chul Hwang),김형간(Hyung-Kan Kim),조성희(Seong-Hee Cho),남대철(Dae-Chul Nam),이헌근(Heon-Keun Lee),박경언(Kyeong-Eon Park),나재범(Jae-Boem Na),김동희(Dong-Hee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3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8 No.5

        외상성 요천추부 경막하 혈종은 해부학 및 병리학적인 원인으로 인하여 경막외 혈종에 비해 빈도가 극히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외상의 시기가 불분명한 경우 시간 경과에 따른 혈종의 신호 강도가 두개강내 혈종과 척추강 내 혈종에서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감별진단에 있어서 많은 혼돈을 주게 된다. 이에 지방억제 자기공명영상 및 컴퓨터단층촬영 등의 시도들이 행해지고 있다. 외상 시기를 정확히 알 수 없는 경막하 혈종을 자기공명영상과 컴퓨터단층촬영을 이용하여 경막하 지방종과 감별진단하여 조기에 수술적 감압술 시행 후, 좋은 예후를 보인 증례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Traumatic lumbosacral spinal subdural hematoma due to anatomical and pathological causes is rare, compared to epidural hematoma. If the time of trauma cannot be determined, intracranial and intraspinal signal intensity according to lapse of time are not coincident, resulting in confusion in terms of differentiation. Fat suppression magnetic resonance image (MRI) and computed tomography (CT) are utilized for differentiation. The intention of this study is to report on a case where spinal subdural hematoma of unknown time of occurrence is differentiated from subdural lipoma by taking advantage of fat suppression MRI and CT in order to perform an early surgical decompression with auxiliary review of literature demonstrating good prognosis of the procedure.

      • KCI등재

        서혜부에 발생한 골화성 지방종

        황선철(Sun-Chul Hwang),김동희(Dong-Hee Kim),이상혁(Sang-Hyuk Lee),남대철(Dae-Cheol Nam),고경혁(Gyung-Hyuk Ko),나재범(Jae-Boem Na),정순택(Soon-Taek Jeo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12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7 No.6

        서혜부에서 골조직과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발생한 골화성 지방종은 아주 드물다. 저자들은 좌측 서혜부에서 어른 주먹 크기의 단단하고, 움직임이 없는 무통성 종괴를 주소로 내원한 환자를 종양 변연 절제술로 치료하였으며, 병리조직 소견으로 골화성 지방종으로 확진되었다. 골 조직을 동반한 많은 지방종의 아형들이 문헌에 보고되고 있으나 저자들의 증례처럼 골화성 지방종이 서혜부에서 발견된 문헌 보고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골조직과 분리되어 발생한 골화성 지방종의 치료 시에 석회화 병변을 동반하는 다른 종양과 감별 진단함이 중요하기에 영상의학적 소견 및 조직병리학적 소견과 연관시켜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It is extremely rare to observe ossifying lipoma that developes separately from bone tissues in the groin. A patient with an adult fist-sized, firm, non-movable and painless mass in the left groin area, had been treated with marginal excision, which turned out to be ossifying lipoma. Although many different variants of lipoma with bone tissue have been reported, a case like this has never previously been reported. It is important to distinguish ossifying lipoma, from tumors with calcific lesions. We report its uniqueness in radiologic and pathologic ways, with specific findings of ossifying lipoma.

      • KCI등재

        원위 요골 골절 환자의 치료 후 발생 가능한 손목 강직의 위험 인자

        이동영(Dong Yeong Lee),황선철(Sun Chul Hwang),남대철(Dae Cheol Nam),정진훈(Jin Hoon Jeong),최영락(Young Lac Choi),박진성(Jin Sung Park) 대한정형외과학회 201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0 No.4

        목적: 원위 요골 골절 환자의 치료 후 발생할 수 있는 손목 관절 강직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인자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원위 요골 골절로 진단받은 후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 5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손목 강직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인자들이 고려되었으며,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이용하여 95% 신뢰구간에서의 odds ratio (OR)를 계산하였다. p-value가 0.05 미만에서 유의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결과: 골절의 정복 정도를 반영하는 방사선적 지표 중 수술 직후와 6개월째 척골 변이만이 손목 강직과 관계가 있었다(p<0.05). 단변량 분석에서 환자의 연령(p=0.037; OR, 1.051)과 당뇨의 이환(p=0.016; OR, 8.000)이 손목의 강직과 관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인자들을 함께 고려한 다변량 분석을 시행한 결과에서는 오직 당뇨의 이환(p=0.034; OR, 6.588)만이 강직의 발생과 관계가 있었다. 결론: 원위 요골 골절 환자의 수술적 치료 후 손목 강직을 예방하기 위해 당뇨병의 이환 여부가 중요하다. 또한 골절의 정복시 척골변이의 정확한 해부학적 복원은 추후 발생 가능한 강직을 예방할 수 있는 중요한 인자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risk factors for wrist stiffness after treatment of distal radius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55 consecutive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distal radius fracture at the current authors’ institution and followed-up for at least 6 months were included in this retrospective study. Data on all factors related to wrist stiffness were considered. The degree of association for each of the factors was determined by calculation of the odds ratio (OR), with a 95% confidence interval.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p-value was set below 0.05. Results: Among radiologic indexes reflecting the degrees of fracture reduction, only ulnar variance showed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wrist stiffness of distal radius fracture (p<0.05). In univariate analysis, age (p=0.037; OR, 1.051) and diabetes mellitus (DM) (p=0.016; OR, 8.000) showed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wrist stiffness. Various factors significant at the p-value less than 0.20 level in univariate analyses were included in the multivariate analyses. In multivariate analyses, only DM (p=0.034; OR, 6.588) showed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wrist stiffness. Conclusion: Contraction of DM is critical to avoid wrist stiffness of distal radius fracture patients. In addition, ulnar variance was considered a significant factor of wrist stiffness in distal radius fracture patients, thus reduction of fracture could be done more in proximity to normal anatomy.

      • KCI등재

        역학적 축 선정에 따른 전후면 경골천장각의 단순방사선학적 분석

        박진성,정순택,황선철,김동희,곽지용,윤홍권,남대철,Park, Jin-Sung,Jeong, Soon-Taek,Hwang, Sun-Chul,Kim, Dong-Hee,Gwark, Ji-Yong,Yoon, Hong-Kwon,Nam, Dae-Cheol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13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17 No.3

        Purpose: We investigated a statistical difference of tibial-articular surface (TAS) angles between radiographs of standing ankle anteroposterior (AP) and whole lower extremity view, and evaluated whether the tibial axis obtained from the standing ankle AP view reflects the original mechanical axis of lower extremity. Materials and Methods: Both the standing ankle AP and whole lower extremity view were taken from 60 legs of 30 healthy volunteers without a history of ankle surgery or deformity of lower limb. To determine the tibial axis, Takakura's and Hintermann's method were employed in the standing ankle AP view. To compare these results with the original TAS angle, ANOVA and multiple comparison test were used. Results: The mean TAS angle was 88.3 degrees(from hip joint to ankle), 89.5 degrees (from knee joint to ankle), 88.5 degrees (Takakura's method), and 90.2 degrees(Hintermann's method). Although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p=0.000) between these results, Takakura's method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results of whole extremity view by the multiple comparison test. Conclusion: The tibial axis obtained by Takakura's method reflects the original mechanical axis of lower extremity. When a surgical procedure is planned, howeve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at the ankle radiographs do not provide any information on the proximal deformity without the whole lower extremity view.

      • KCI등재

        전방십자인대 손상 유무와 대퇴 과간 절흔의 형상과의 상관관계 비교

        김형간(Hyung Kan Kim),문동규(Dong Kyu Moon),곽지용(Ji Yong Gwark),남대철(Dae Cheol Nam),김동희(Dong Hee Kim),황선철(Sun Chul Hwa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13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8 No.6

        목적: 슬관절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여 과간 절흔의 모양과 폭, 부피를 측정하여 전방십자인대 손상의 유무에 따른 각각의 측정값 사이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전방십자인대 손상군 72명, 비손상군 80명의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여 관간절흔의 삼차원적인 부피와 이차원적인 폭과 모양을 측정하여, 전방십자인대 손상군과 비손상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과간 절흔의 폭, 모양, 부피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관찰자 간, 관찰자 내의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결과: 성별에 관계 없이 전방십자인대 손상군에서 과간 절흔의 폭이 더 작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과간 절흔의 부피는 전방십자인대 손상군에서 비손상군보다 더 작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남: p=0.43, 여: p=0.22). 전방십자인대 손상군과 정상군 간에 과간 절흔 모양의 차이는 없었다(남: p=0.16, 여: p=0.88). 결론: 과간 절흔의 폭은 전방십자인대 손상의 위험을 예측하는 데 좋은 지표로 이용할 수 있으나 과간 절흔의 모양과 부피는 전방십자인대 손상의 위험을 판단하는 지표로서 의미가 없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3-dimensional (D) notch volume and the 2D notch width and notch shape as measured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between subjects with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injury and those without ACL injury. Materials and Methods: Knee MRI images were taken from 72 subjects with ACL injury and 80 subjects without ACL injury (January 2007 to January 2012;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Jinju, Korea). We measured 3D notch volume and 2D notch width and notch shape. The measured values from MRI figures between ACL-injured subjects and non-ACL-injured subjec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se measurements (notch width, notch ratio) were correlated to notch volume. Both intra-observer reliability and inter-observer reliability were calculated. Results: Notch width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ACL injured subjects and non-injured subjects (p<0.001),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notch volume and notch shape were observed between the groups (male: p=0.43, female: p=0.22).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ight suggest that certain 2D measurements (notch width) of the notch could be better than notch volume for prediction of ACL rupture risk.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농어촌 지역에서 경추의 굴곡-신전 작용이 필요한 직업 종사자들의 경부 척추증 발생의 위험 인자

        이동영(Dong-Yeong Lee),박기수(Ki-Soo Park),황선철(Sun-Chul Hwang),남대철(Dae-Cheol Nam),박진성(Jin-Sung Park),정순택(Soon-Taek Jeong),이영복(Young-Bok Lee),강병훈(Byeong-Hun Kang),김동희(Dong-Hee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1 No.3

        목적: 노동 시 경추의 지속적인 신전 또는 굴곡 자세를 필요로 하는 직업군에서 경추의 퇴행성 변화에 미치는 자세 및 위험 인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경추의 퇴행성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나이, 성별, 신장, 체중, 체질량 지수, 흡연, 당뇨, 노동에 종사한 시간, 그리고 노동 시 반복적으로 요구되는 경추의 자세에 대해 조사하였다. 또한 83명의 경추 굴곡군과 83명의 경추신전군에 대해 퇴행성 변화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측면 단순 방사선 사진에서 경추 퇴행성 지표를 이용하여 퇴행성 정도를 점수화(0-60점)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경추의 퇴행성 지표는 굴곡군 7.8±6.2점, 신전군 12.2±6.0점으로 신전군에서 퇴행성 변화가 진행되어 있었다. 경추 퇴행성 변화의 위험 인자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한 multiple linear regression test에서 나이(p=0.004), 당뇨(p=0.029), 그리고 경추의 신전자세(p<0.001)가 퇴행성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노동 시 반복적인 경추의 신전 자세와 당뇨의 이환은 경부 척추증 진행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므로 이에 대한 적극적인 의학적 관리와 노동 시 자세 관리에 대한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petitive flexion or extension posture on the cervical spine on labor and degenerative change of the cervical spine, and the factors affecting degenerative change of the cervical spine. Materials and Methods: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degenerative change of the cervical spine, age, sex, height, weight, body mass index, smoking, diabetes mellitus (DM), time engaging in labor, and cervical spine posture (flexion or extension) required repetitively on labor were investigated in the subjects. In addition, to evaluate the level of degenerative change of the cervical spine on 83 people in the flexion group (flexion strain) and 83 people in the extension group (extension strain), cervical degenerative index (CDI) in the simple cervical spine lateral radiograph was used to score (0-60 points) the degenerative severity. Results: A total of 166 subjects (flexion group: 83 people, extension group: 83 peopl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for the CDI, the cervical spine flexion group scored 7.8±6.2 points, and the cervical spine extension group scored 12.2±6.0 points to show that the cervical spine extension group had significant degenerative change in the cervical spine. In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test performed to verify the risk factors affecting the degenerative change of the cervical spine, age (p=0.004), contraction of DM (p=0.029), and extension posture of cervical spine (p<0.001) influenced the degenerative change of the cervical spine. Conclusion: Repetitive extension posture on the cervical spine on labor and contraction of diabetes affected degenerative change of the cervical spine, therefore, training in medical care and posture on labor are required to prevent the progression of degenerative change in the cervical spi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