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사회전문가정책의 문제정의와 대안에 관한 연구

        남기범 ( Kibum Nam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21 다문화와 평화 Vol.15 No.3

        다문화사회전문가는 이민정책과 관련한 다양한 활동을 할 잠재력이 크며, 이민정책의 추진시 우호적 환경을 만들 수 있는 추진력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사회전문가에 대한 정부정책의 문제를 도출하고, 해당문제의 대안에 대한 논의를 통해 효과적인 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2015년 이후의 다문화사회전문가관련 논문과 보고서에서 제시하는 문제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제시되는 문제의 목록을 작성하고 문제목록 중에서 가장 빈도가 많은 문제진술을 핵심문제로 정의하는 유사 파레토분석을 실시했다. 이를 통해서 모두 5개의 핵심문제를 도출하였고, 해당문제에 대해 각각 적합한 대안을 모색하였다. 핵심문제로는 교육부실 우려, 활동범위의 문제, 정책목표의 불명확과 중장기 로드맵의 부재, 자격(증)의 문제, 정체성관련 법조항의 문제 등이 추출되었다. 그밖에 고려할 문제는 과목인정 절차와 운영의 문제, 홍보문제, 명칭변경의 문제 등이 제시되었다. 각 핵심문제 별로 대안을 논의하여 제시하였다. 첫째, 교육부실 우려의 경우 다문화사회전문가의 기대 역할과 필요역량을 정의하고, 이에 맞춘 인정교과목을 적절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 실제 교육에 필요한 교재와 교강사의 품질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도 함께 병행되어야 한다. 둘째, 다문화사회전문가의 활용범위를 확대하는 대안과 관련해서는 법무부내 뿐만 아니라 다른 부처나 지방자치단체, 민간에 활용될 여지를 검토하고 협력하여 활동영역을 확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정책목표는 구체적이고, 시간과 연결되어 제시되어야 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중장기 로드맵과 함께 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한 사업과 사업의 하위목표와 달성기한 등도 구체적으로 명시될 필요가 있다. 넷째, 자격의 문제와 관련해서는 국가자격화 방안이 마련되어 추진되어야 한다. 또한 사회의 필요성을 평가하여 등급제도를 변경, 심화시키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정체성관련 법조항의 문제는 활용범위의 확대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사회통합교육에 국한되어 있는 현재의 법적 근거를 개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Multicultural society experts have great potential to engage in various activities related to immigration policy, and can be a driving force to create a friendly environment when implementing immigration polic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problems in the development stage and current state of government policy for multicultural society experts, and to present effective alternatives through discussion of alternatives to the problems.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problems presented in papers and reports related to multicultural society experts after 2015. A list of proposed problems was prepared, and a pseudo-Pareto analysis was performed, defining the most frequent problem statement as a core problem. Five core problems were derived, and suitable alternatives were sought for each of the problems. As core problems, concerns about the problem of education quality, the narrow scope of application, unclear policy goals and absence of a mid- to long-term roadmap, qualification problems (including class problems), and identity-related legal provisions were extracted. Other issues to consider include subject recognition procedures and management issues, public relations issues, organization of alliance organizations, and name changes. Alternatives for each core problem were discussed and presented. First, in the case of concerns about the lack of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define the expected roles and necessary competencies of multicultural society experts, and to maintain appropriate accredited subjects. Efforts to secure the quality of textbooks and instructors required for actual education should be paralleled. Second, with regard to the alternatives to expand the scope of use of multicultural social experts,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activities by reviewing and cooperating with other ministries, local governments, and the private sector as well as within the Ministry of Justice. Third, it is desirable to inevitably be presented along with a mid- to long-term roadmap because the policy goals should be specific and presented in connection with time. It is also necessary to specify in detail the necessary project, the sub-goals of the project, and the deadline for achievement. Fourth, in relation to the issue of qualification, a national qualification plan should be prepared and promot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lan to change and deepen the rating system by evaluating the needs of society. Lastly, since the problem of identity-related legal provisions is related to the expansion of the scope of application,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current legal basis limited to social integration education.

      • KCI등재

        다문화사회전문가의 역할 제고 방안: 환경과의 관계관리를 통한 성장전략을 중심으로

        이혜경 ( Hye Kyoung Lee ),남기범 ( Kibum Nam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5 다문화와 평화 Vol.9 No.2

        이 논문은 환경과 다문화사회전문가의 관계관리를 통한 성장전략을 다루고 있다. 대부분의 서구 국가들이 이미 경험해 온 바와 같이 한국도 체류외국인이 급격히 증가함으로써 다민족 다문화사회로 변모하고 있다. 우리사회의 구조적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이러한 선택은 다양한 변화를 초래하였고 결과적으로 이민자 유입국으로 분류되기에 이르렀다. 단기간의 급속한 환경변화로 인해 사회 각 분야에서는 다양한 갈등이 예상되고 있다. 정부는 이러한 환경 변화에 따른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고자 민간 전문인력을 국가 차원에서 양성하여 정책에 활용하고 있다. 여러 부처에서 양성하고 있는 다문화사회 관련 전문인력 중 대표적인 전문인력 양성 및 활용정책인 다문화사회전문가 제도의 특성을 살펴보고, 환경과의 상호작용 관점에서 발전방향을 모색해보았다. 연구방법은 Ⅱ장에서 관련문헌의 탐색을 통한 이론적 검토와 선행연구를 살펴본 후, Ⅲ장에서는 전반적인 조사결과 및 면접조사를 환경관리전략 분석틀에 적용하여 대안 개발을 시도하였다. 사회적 요구에 의해 도입된 정책수단이 사회의 필요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사회가 제공하는 환경의 양상을 잘 관리하여야 한다. 본고는 환경을 관리하는 전략의 차원에서 다문화사회전문가 제도를 ⅰ)전략적 운용, ⅱ)독자적 전략, ⅲ)협력적 전략의 세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면서 바람직한 역할제고 방안들을 구체화하고자 하였다. 진정한 다문화사회에 도달하기 위해 수립된 대표적인 전문인력 정책인 다문화사회전문가 제도가 정책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잘 작동되고 있는지에 대한 중간평가가 필요한 시점에서, 본고는 현장과 환경을 접목한 이론적 분석을 통해 제도가 더욱 성장할 수 있는 전략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 This study is to overlook the strategic approach for development through the relationship management of the changing environment and the multicultural Society Expert System. Korea is now changing into the multi-racial and multi-cultural society as the number of resident aliens is rapidly increasing, just like most western countries have already experienced. Our choice to resolve our society``s structural imbalance has caused the unexpected other various changes and Korea has been classed as the country influx of the immigrants. These environmental changes happened for very short period of time are expected to cause other different conflicts in many various fields of our society. In order to respond to the different social requests, the government has trained many non-governmental professionals at the state level and utilized them at the related policies. We considered the features of the representative professional multicultural manpower training and its practical use of policy; the multicultural society expert system. And we wanted to find the development direction from the interactive point with the environment. As the research methods, theoretical review through a research of the relevant literature and the preceding research analysis were done in chapter Ⅱ. Then, we applied the results of the overall research and the interview survey for analytic frame of environmental management strategy and tried to develop the alternatives in chapter Ⅲ. In order for the policy which was introduced by the social consensus to satisfy the social demand, we have to manage the complexion of the circumstances. Therefore, from the point of strategy managing the environment, we``d like to divide the multicultural society expert system into 3 areas; first, strategic management, second, independent strategy, third, cooperative strategy, and to analyze them and concrete shape to the way to improve the role. When we need the interim evaluation to see whether the multicultural society expert system works well as the representative professional manpower policy whose aim is to reach the genuine multicultural socie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e way it draws the approach for the system growth through the theoretical analysis grafted onto the field and the environment

      • KCI등재

        서울시 소방공무원의 방화장갑에 대한 평가 및 사용실태

        김도희 ( Do-hee Kim ),남기범 ( Kibum Nam ),오정우 ( Jung-woo Oh ),이주영 ( Joo-young Lee ) 한국의류산업학회 2021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ol.23 No.4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valuation of firefighting gloves and the behavior regarding their usage, of firefighting officials in Seoul, using a questionnaire. Responses from a total of 270 firefighters who are responsible for putting out fires or undertaking rescue works in Seoul were analyzed. As per the findings, the firefighters considered ease of hand operation and fire/flame protection as the most important performance factors for firefighting gloves, and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supply status of the gloves. The average number of firefighting gloves currently owned by the firefighters was 2.6 ± 0.8 pairs. Thirty-nine percent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ir firefighting gloves lasted, with maintained performance, for more than six months and less than a year, and when asked how they handled the gloves with degraded performance, 46% of them said that they would discard them. Sixty-eight percent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y used the most recently developed and supplied gloves, which they considered as the most satisfying gloves and which they mainly used these days. Respondents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 fire/flame protection performance of their firefighting gloves, but were less satisfied, however, with the glove fi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overall performance level and supply status of the firefighting gloves. Given the current situation, careful considerations with flexible approaches are needed on the current firefighting gloves size system as well as on the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maintenance and management scheme.

      • KCI등재

        지방자치제 실시에 따른 행정서비스 효율성의 변화 : 쓰레기수거 서비스에 대한 DEA를 중심으로

        남기범 韓國行政硏究院 2001 韓國行政硏究 Vol.10 No.4

        본 연구는 지방자치의 행정적인 가치, 즉 효율성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자료포락분석(DEA)를 통해 서울시의 각 구청의 쓰레기수거 서비스를 사례로 삼아 효율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DEA의 방법론상의 한계 때문에 엄격한 의미의 가설검증절차에 따른 연구보다는 효율성분포의 변화를 검토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연구하였다.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방자치제 실시 이후에 효율성의 격차, 즉 표준편차의 값이 감소하는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다. 사례의 경우에 한정하는 경우, 즉 서울시 각 구청의 쓰레기 서비스의 경우에는 지방자치제의 도입이 지방자치단체간 효율성의 격차를 줄이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Many researches had focused on the political values of local autonomy. However, those researches was indifferent to administrative values of local autonomy. Therefore, this study is concerned to evaluate the administrative values of local autonomy in terms of efficiency. In the case of refuse collection services, local governments of 25 DMU(Decision Making Unit)s in Seoul are considered for 12 years.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method is selected to measure efficiency. DEA was developed to measure the relative efficiency of nonprofit DMUs. Because of the methodological limit of DEA, I examined the distribution of 25 DMUs' efficiency scores. The result of DEA for 12 years shows that the gap among the DMUs' efficiency scores are decreased after the enforcement of Local Autonom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