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레비스트로스의 반(反)인종주의

        나인호 ( Na¸ Inho ) 한국서양사학회 2021 西洋史論 Vol.- No.148

        프랑스 인류학자 레비스트로스는 1950년대에 유네스코가 기획했던 반인종주의를 대표하는 인물이다. 이 글은 그의 반인종주의를 비판적으로 살펴보았다. 1) 그의 반인종주의는 인종주의가 개인의 “무지와 편견”의 결과이며, 과학의 권위로써 계몽하고 교육하면 청산될 수 있다고 본 유네스코의 입장에 충실했다. 2) 그의 반인종주의는 철저히 비정치적이었다. 3) 그의 반인종주의는 서구중심주의적 휴머니즘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그는 탈식민화와 문화적 근대화를 이루기 위한 비서양인들의 주체적 노력을 무시하고, 이들을 단순히 불쌍한 주체성 없는 수동적 존재로 간주했다. 4) 인간 집단의 생물학적이고 문화적인 차이를 절대화한 그의 반인종주의는 역설적으로 인종주의의 무기로 이용되는 결과를 낳았다. French anthropologist Claude Lévi-Strauss is a representative figure of the anti-racism organizational movement led by UNESCO in the 1950s. This article critically examines Lévi-Strauss’ stance and ideas on anti-racism: 1) His anti-racism was faithful to UNESCO's view of seeing racism as a flaw that came about as a result of individual “ignorance and prejudice,” and that individuals could thus be enlightened and educated through the authoritative truth of science. 2) In this regard, Lévi-Strauss’ stance on anti-racism was completely non-political. 3) Lévi-Strauss’ stance on anti-racism was not free from the influences of western-centric humanism. He ignored the independent efforts of non-Western individuals to effectively achieve decolonization and cultural modernization, and regarded them as simply poor passive beings without any form of subjectivity. 4) His anti-racism, which absolutized the biological and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human groups, paradoxically resulted in them being used as weapons of racism (Daegu University / nainhobu@daegu.ac.kr).

      • KCI등재

        Rezeption und Umformung des westlichen Nationsbegriffes in Korea

        Inho Na(나인호) 한국독일사학회 2015 독일연구 Vol.- No.30

        본 연구는 서양의 국민 및 민족개념이 1900년경 한국에서 어떻게 수용되었는가를 다룬다. 본 연구는 개념의 번역이란 번역자의 고유한 맥락에서 나온 고유한 생산물이므로 원래적인 의미의 변화란 피할 수 없는 것임을 강조하는 개념사적 시각에 입각하여 진행된다. 서양의 민족 및 국민 개념의 수용사는 서양 제국주의의 동아시아 침략과맥을 같이한다. 중국·일본에서와 유사하게 한국에서도 내우외환의 위기를 극복하기위한 위로부터의 개혁 시도들이 있었다. ‘부국강병’, ‘문명개화’의슬로건 하에 한국의 엘리트들, 즉 개화파 지식인들은 일본 메이지 유신을 모델로 근대국가 및 근대사회의 수립을 위한 노력을 경주하였다. 서양의 국 민 및 민족개념은 이러한 맥락에서 수용되었다. 후쿠자와 유키치는 이미 1860/70년대에 동아시아에서 영어의 nation 개념을 최초로 ‘國民’으로 번역하였다. 그는 ‘people 과 nation 을 ‘國民’으로, 또 nation 을 ‘國家’로 번역하면서 서양의 근대 ‘민족/국민’ 개념과 흡사하게 ‘people , nation , state 를 동일시하였다. 이후 일본에서는 ‘國民’ 개념이 일본의 미래국가를 둘러싼 논쟁 속에서 투쟁개념으로 사용되면서 1890년대가 되면 정치적 기본개념으로서 확고히 자리를 잡게 되었다. 그러나 한국의 개화파 지식인들은 ‘國民’ 개념을 거의 사용하지 않았다.특히 후쿠자와의 제자이자 자신의 스승의 작품 서양사정을 모델로 서유견문을 쓴 유길준 조차 ‘國民’ 대신에 전통적 어휘인 ‘國人’을 사용하였다. 국민 개념을 지칭하기 위해 개화파는 전통적 어휘인 ‘인민’, ‘백성’, ‘동포’ 를 선호하였다. 물론 이러한 단어들은 개화파의 담론에서 새로운 의미를 부여받았다. 그들은 무엇보다 이러한 단어들을 종래의 하층민, 피치자 등의의미가 아닌 ‘모든 신분이나 계급, 통치자와 피치자’를 포괄하는 동등한 국가 구성원의 의미로 사용하였다. 특히 ‘동포’는 민족/국민 국성원의 평등과 형제애를 강조하는 은유로 빈번히 사용됨으로써 ‘民族’의 개념적 등가물로기능하였다. 동시에 기존의 수동적 피지배민을 의미하던 ‘인민’, ‘동포’는 점차로 정치적 행동주체, 더 나아가 주권자의 의미로 변화되기 시작했다. 아이러니하게도 국망 전야(1905-1910)에 가서야 ‘國民’ ‘民族’ 개념이 정치적 기본개념으로 자리를 잡게 되었다. 예를 들어 󰡔대한매일신보󰡕의 경우 1908년이 되면 그 빈도수에서 ‘국민’이 ‘인민’을 능가하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민족’ 또한 빈번히 사용되었다. 물론 여기에는 한국의 미래국가를 둘러싼 논쟁에서 ‘국민’을 ‘신민’으로 동일시하려는 시도부터 개화파의 ‘인민’ 개념과 동의어로 사용하려는 시도, 나아가 ‘국민’을 서양의 국민/민족 개념의 의미에서 주권자로 이론화하려는 시도까지 다양한 의미론적 경쟁이 있었다. 또한 ‘국민’이 ‘민족’과의 밀접한 맥락 속에서 논의되기 시작했다. ‘민족’이라는 -당시의 기준에서- 외래어는 독일의 ‘Nation 개념, 즉 Kulturnation의 번역어이다. 동아시아에서의 독일 ’Nation 개념의 수용에는 무엇보다 스위스 출신으로서 독일에서 활동한 국법학자 블룬츨리(Johann Caspar Bluntschli)의 영향이 절대적이었다. 그는 18세기 독일 계몽사상가들 이후 관 행화되었던 영어 및 프랑스 어권의 정치적 nation 과 독일어의 문화적‘Nation 의 엄격한 구별에 입각하여 Volk 를 정치적 개념으로, Nation 을 문화적·에스닉적 개념으로 구별하였고, Nation 의 ’Volk 로의 변화를 ‘Nationalität’원리에 입각한 역사적 진보로서 환영하였다. 그의 사상은 일본의 카토 히로유키, 히라타 도수케, 중국의 량치차오 등에게 영향을 주었고, 한국에서는 특히 신채호 등에게 영향을 주었다. 1900년경이 되면 동아시아 에서 Volk 는 ‘국민’으로 Nation 은 ‘민족’ 혹은 ‘족민’으로 번역되는 것이관행이 되었다. 특히 신채호는 ‘국민’, ‘동포’, ‘민족’을 밀접하게 혼용하여사용함으로써 근대 국민/민족 개념을 표현하였다. 이밖에 많은 한국의 지식인들은 ‘민족’을 ‘국민’의 역사적·문화적 토대로 인식함으로써 양 개념을 동일시하였다. 그러나 일제 치하에서 ‘국민’은 일본제국의 ‘신민’을 의미하는 이데올로기적 강제수단으로 사용되면서 점차 인기를 잃어갔고, 반면 ‘민족’은 특히 삼일운동을 통해 대중적 개념으로 확산되어갔다. 1945년 이후 ‘민족’은 분단 상황에서 통일의 염원이 투영되면서 ‘하나의 후손’ 신화에 근거해 거의인종개념으로 변화되었다. 한편 ‘국민’은 1945년 이후 남한에서는 다시 수 용된 반면, 동의어로 쓰였던 ‘인민’은 금기시되었다. 이와는 반대로 북한에서는 ‘인민’이 사회주의적 의미내용을 지닌 채 정치적 기본개념으

      • KCI등재

        교학사 교과서에 나타난 ‘대한민국 사관’

        나인호(Inho Na) 역사비평사 2015 역사비평 Vol.- No.110

        The Gyohaksha Korean history textbook is a good example for evaluating a newly..announced government..designated textbook. This paper analys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alled "Daehanminguk..Shagwan"(historical viewpoint of the Republic of Korea) expressed in that textbook: 1. "Daehanminguk-Shagwan"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history should function as a great monument. Thus, it mythicizes Korean national history, hybridizing ethnic and national pride. 2. It changes traditional nationalism into state power-oriented nationalism, i.e., ultra-nationalism akin to fascism. 3. It is based on a modernization-ideology which is an expression of Eurocentrism and ultimately American centrism. In the same context, it justifies imperialism, associating this with the "civilization"-slogan. 4. It is founded upon the historical theology of the Cold War which regards the historical processes since 1917 as an endless struggle between good and evil, i.e., between "liberal democracy" represented by the USA and "communism"("totalitarianism") represented by the Soviet Union. These extreme right inclinations result from the condensation of week points inherent in South-Korean history education being confined within the so-called national history paradigm. This paper suggests that now is the best time for serious discussion about emancipating Korean history textbooks from the national history paradigm.

      • KCI등재

        인종주의적 반유대주의의 새로움 - 빌헬름 마르를 중심으로-

        나인호(Inho Na) 한국독일사학회 2018 독일연구 Vol.- No.37

        이 논문은 근대적 반유대주의의 태조라 불리는 빌헬름 마르를 중심으로, 반유대주의 담론이 인종주의와 결합하면서 어떠한 질적 변화를 겪었는가를 연구하였다. 전통적인 반유대주의는 종교적이거나 문화적인 혹은 사회적· 경제적인 이유를 들어 유대인의 특정 측면을 공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전통적 반유대주의와 달리 인종주의적 반유대주의는 ‘유대인 그 자체’에 집중 하였다. 보수주의, 급진 민족주의, 식민지 인종주의, 사회다윈주의 등의 모든 언어를 동원하여 유대인을 우리를 위협하는 ‘적대적 인종’으로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모든 악의 원흉인 악마적 인종’, 그것도 모든 것을 ‘유대화’할 정도로 가공할 능력을 지닌 ‘악마적 인종’으로 추상화시켰다. 이와 동시에 인종주의적 반유대주의는 종말론적인 인종투쟁 사관을 통해 유대인에 대한 증오를 세계관적으로 정당화시켰다. 이에 의하면, 역사는 빛의 세력인 우리와 어둠의 세력인 유대인종과의 투쟁의 역사이며, 현재는 유대인종의 최종적 승리와 우리의 멸망을 바로 목전에 둔 역사의 마지막 환란 단계이다. 따라서 유대인종에 맞서는 최후의 결전이 시급하다는 것이었다. 이상과 같이 인종주의적 반유대주의는 유대인에 대한 새로운 편견과 표상들을 만들어 냈다기보다는 기존의 유대인에 대한 온갖-때로는 서로 모순되기까지 했던-정형화된 편견들과 부정적 표상들을 하나로 통합시키는 이데올로기적 틀을 제공하였다. Focusing upon Wilhelm Marr, “the Patriarch of Anti-Semitism”, this paper studies how the German anti-jewish discourse was qualitatively changed by its combination with the racism. The target of traditional anti-jewish discourse were specific aspects of Jewish people: Gentiles attacked Jews -for example- either on the religious-cultural or social- and economical reasons. But the racial Anti-Semitism aimed at the Jews itself as target: With the languages of conservatism, radical nationalism, colonial racism, and social darwinism, the jewish people was invented as satanic anti-race who was the chief instigator of all evils. In this context, the racial Anti-Semitism justified the hatred toward the jewish people with apocalyptic view of history, according to which history is the history of struggle for surviving between jewish and non jewish people(especially German people), that is, race of darkness and of lightness, and the last racial war for the victory of this jewish evil race is imminent. As mentioned above, the racial Anti-Semitism provided an ideological framework for integrating various -often inconsistent -traditional prejudices and stereotypes toward Jews.

      • KCI등재

        ‘인종’에서 ‘민족’으로: 한국적 인종주의의 형성에 관한 개념사적 고찰, 1880~1910

        나인호(Na, Inho)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22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21 No.1

        한국에서 인종주의는 ‘민족’이라는 기호에 의해 포장된 일종의 ‘인종 없는 인종주의’의 성격을 갖고 있다. 본 논문은 ‘민족’을 기호로 한 이러한 한국적 인종주의의 기원을 연구했다. 구체적으로, ‘인종’이라는 신조어가 ‘민족’이라는 이보다 더 늦게 수입된 신조어의 의미장 안으로 편입되게 된 역사적 과정이 탐구되었다. 1880년대와 90년대를 거치면서 ‘인종’은 근대적 개혁을 주장하던 지식인들에게 세계를 인식하고 세계 속의 한국인의 정체성을 규정하는 개념적 틀로 작용했다. 1890년대 중엽부터 ‘인종’은 이들에 의해 대중의 국민화를 위한 개념적 도구로 활용되었다. 그러나 일제의 국권 침탈이 본격화된 1905년 이후 ‘인종’은 일본의 제국주의적 침략을 은폐하는 도구라는 부정적 인식이 팽배해졌다. 마침내 ‘민족’이 ‘인종’이 했던 정치적 기능을 대신하게 되면서, ‘인종’과 ‘민족’의 융합이 일어났다. In Korea, racism has the character of a kind of ‘racism without race’ wrapped in the sign of ‘nation/Volk’. This paper investigated the origins of this kind of Korean racism that uses ‘nation/Volk’as a symbol. Specifically, the historical process in which the neologism of ‘race’ was incorporated into the meaning field of the later imported neologism of ‘nation/Volk’ was analyzed. Through the 1880s and 90s, ‘race’ served as a conceptu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world and the Koreans for intellectuals who advocated modern reform. Since the mid-1890s, ‘race’ has been used as a conceptual tool for the nationalization of the masses by these people. However, after 1905, when the Japanese imperialist aggression began in earnest, the negative perception that ‘race’ was only a tool to cover up Japan’s imperialism became widespread. Finally, as ‘race’ took over the political function of ‘race’, the fusion of ‘race’ and ‘nation/Volk’ took place.

      • KCI우수등재

        자본주의 정신 : 독일 부르주아지의 근대비판 담론 Critical Discourses of the German Bourgeoisie on Modern Culture

        나인호 한국서양사학회 2004 西洋史論 Vol.0 No.80

        Today the concept of 'the spirit of capitalism' with its positive connotations serves to legitimate the modern industrial society on which is especially Americanism modelled. However, around 1900 when the concept appeared for the first time, it was used as a semantic symbol for performing pessimistic diagnoses of modernization and construction the critical discourses on modern culture. The Initiation of such a negative usage of the concept were German bourgeois modernists who were faced with a crisis of being shunned from the mainstream of society privately as well as publicly. Drawing on the concept, above all, the modernists criticized the weakness of the intellectual aspect of modern industrial society-in other words, materialistic Weltanschauung and culture-and, partly, attempted to provide alternatives to such society. Of such modernists, Adolf Stoecker, one of the representative conservative modernists, utilized the concept of 'the spirit of capitalism' as a key notion which constituted a political horror drama, vesting a strong antisemitic connotation on the concept. Thereby he attempted to politicize the sense of crisis which permeated the masses of the conservative middle classes. Meanwhile, for Max Weber and Werner Sombart representing liberal and nationalistic modernists, the same concept, while embracing dual meanings in conflict, functioned primarily as a medium of rendering the sense of political crisis of German bourgeois liberalists or nationalists into an effort for a critique of culture on the perspective of the universal history. At this juncture, the concept of 'the spirit of capitalism' worked as a central element in the metanarratives in which the identity of the German bourgeoisie was turned into the modern subject, and their socio-political crisis was universalized into the crisis of the modern subject itself. Whereas Weber utilized the concept in his efforts to create a serious historical tragedy whose theme was the loss of the modern subject's self, Sombart, while unintentionally experiencing the dissociation and degeneration of his self, used the same concept to construct a black comedy whose theme was the dissociation and degeneration of the modern subject itself. In brief, organizing and granting a coherence to such three types of critical discourses, the concept of 'the spirit of capitalism' demonstrated that the conformist attitude German bourgeois modernists had at the turn of the last century toward modern industrial society could not be attributed to progressive optimism. All of these types of the concept played a role in forming a political ideology which contributed to intensifying prejudice and hostility against internationalism in general as well as socialists, Catholics, and the Jews who were conventional called as the three major enemies of the German nation st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