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미술에서 시각문화교육의 방향

        김흥숙(Kim Heung Suk) 한국미술교육학회 2008 美術敎育論叢 Vol.22 No.3

          초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 개정안의 미적 체험 필수 학습요소로 시각문화 환경이 제시되었다. 이제 시각문화교육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이다. 그러나 아직 현장 교사들은 시각문화교육의 필요성 및 교육 방향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미술에서 시각문화교육의 필요성과 교육과정에서 시각문화교육의 의의를 논의한 후 시각문화교육의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시각문화교육은 교사들의 시각문화교육에 대한 이해와 실천 가능한 단위 수업의 개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시각문화 향유를 위한 비판력 함양이 이루어져야 하고 표현활동이 유기적으로 통합되어야 하며 사회, 문화적 의미 이해를 통해 미술교육의 지평이 확장되어야 한다.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is being environment as a mandatory part of aesthetic experience in the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art. As a result,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is officially starting as part of the elementary curriculum. However, instructors have not fully understand the necessity for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and its educational directions. So, this research will first discuss the necessities for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within elementary school art and its significance as part of the curriculum. Following this, the following educational directions have been proposed. First, research and development of unit classes must be developed by instructors to allow for an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visual culture art. In addition, a development of a critical sense must be conducted for genuine enjoyment of visual culture and such expressive activities must be integrated organically while the boundaries of art education must be expanded by placing it with more social and culture significance.

      • KCI등재

        Efland의 미술교육 사상에 관한 연구

        김흥숙(Kim Heung Suk) 한국미술교육학회 2008 美術敎育論叢 Vol.22 No.1

          애플랜드는 동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미국의 미술교육학자이다. 그의 미술교육 사상은 포스트모더니즘과 인지 중심 미술교육을 배경으로 전개되었다. 애플랜드는 미술 교육을 시대적. 사회적, 문화적 영향 아래 학생들의 삶과 관련성을 가져야야함을 논의하였고 인지적으로 융통성 있는 미술 교육과정을 제안하였다. 그는 현재의 미술교육이 과거에 비해 진보하였는지 의문을 제기하면서 수용적인 태도로 과거 미술 교육 사조를 되돌아보길 권고하고 있다. 본 연구는 애플랜드의 미술교육 사상에 관한 논의를 통해 현재 우리의 미술교육을 성찰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Efland is a American-born art educator living with our generation. His focus within art education started with a foundation centered around postmodernism and cognition. Efland stressed that art education. from under periodic, social. and cultural perspectives, must have an association with the lives of students. He proposed a cognitively flexible curriculum of art education. He raises the question of whether present-day art education has progressed from the past. He urges people to view art education with an accepting attitude. This research holds the purpose of providing an opportunity to examine the conditions of our art education through investigating the Efland"s perspectives on art education.

      • KCI등재

        초등학교에서 학생작품 감상에 관한 연구

        김흥숙(Heung-Suk Kim),이창림(Chang-Lim Lee) 한국미술교육학회 2005 美術敎育論叢 Vol.19 No.3

        학생작품 감상은 학생들이 그들의 표현결과물을 친구들과 감상하고 서로의 의견을 공유하는 활동이다. 이것은 작가작품 감상이나 그 밖의 도판 자료로는 접근이 어려운 실물에 의한 감상이며, 학생들이 작가이자 비평가의 역할이 되어 서로의 작품을 감상하는 것이므로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학생들은 자신들의 표현활동 경험에 의한 관점으로 친구들의 작품을 자연스럽게 비평할 수 있으며, 이것은 작가작품 감상과 다음 표현활동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현장 교육 경험에 의하여 학생작품 감상의 의의 및 방향을 논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학생작품 감상 수업의 유형을 문답형, 역할놀이형, 비평형으로 분류하여 수업에 적용하고 그 결과를 학생활동 중심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appreciation of students' art works means that the students not only watch their own work develop but each others as well. Part of the process involves sharing their thoughts and feelings about the work and its development. While the appreciation of prominent artist work provides an opportunity to develop a better understanding art, the appreciation of students' art works is to engage students' practical experience through critiquing the processes and the results of own work. This can lead to students spontaneously appreciating the art itself and the role of the artists and the critics. In turn, this can lead students to further self expression as well as an appreciation of others' and their work. Currently, the approach has not been explored. This study discusses the importance of the appreciation of student' art works and provide the direction for them according to practical class experience. These activities, in which students show their work to each other, are a good way of developing their self-expression and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their completed art work. This approach should be used at all stages of art class, not just as a final activity. This study demonstrates three teaching methods for the appreciation of student' art works in Elementary school: catechism, role-playing and critiquing.

      • KCI등재

        테셀레이션의 미술교육적 적용 방안 연구

        황연주(Hoang Youn-Ju),전성수(Jeon Seong-Soo),김흥숙(Kim Heung-Suk) 한국미술교육학회 2007 美術敎育論叢 Vol.21 No.3

          본 연구는 학생들이 일상생활 속의 많은 문양에서 익숙하게 보아왔지만, 지금까지 미술교육에서 거의 간과되어 온 테셀레이션을 보다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교수ㆍ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적용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둔다. 연구의 내용은 우선 테셀레이션의 개념적 측면과 유래 및 그 시지각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 테셀레이션에 대한 이해와 테셀레이션의 활용영역에 대한 이론적 고찰이 다루어진다. 그리고 테셀레이션의 미술교육적 적용방안 모색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현장적용 방안이 모색된다. 연구의 결과는 우선, 미술교육에서 지금까지 생소한 개념인 ‘테셀레이션’을 초등 미술과 교육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기초적 자료를 마련하였고, 현행 미술과 교육내용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타일 꾸미기’, ‘포장지 만들기’ 등과 같은 교육활동을 새로운 시각과 관점에서 보다 다양한 방법으로 접근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eachingㆍlearning program to be effectively applied to the art education using a tessellation which has been neglected in the art education regardless of the familiarity of its pattern in a daily life.<BR>  It explored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tessellation. focused on its conceptual aspect and visual perceptual characteristics, with regard to the development and practical adaption of educational program using a tessellation, it took 4 steps such as motivation and investigating the constructive principle, understanding the principle and producing with teaching materials, making a creative tessellation, and application to the real world. The methods of survey and observation were employed in order to examine the validity and suitability of the developed program, targeting 5th grad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