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영어교사의 평가에 대한 인식 및 적용 조사: 교사주도형 학생평가 제안

        김회경 ( Hoe Kyeung Kim ),윤홍옥 ( Hongoak Yun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5 교사교육연구 Vol.54 No.2

        수행평가는 언어평가에 적절하지 않은 선택형 지필시험에 대한 비판으로 도입되었다. 수행평가와 같은 참(authentic)평가는 유창성과 의사소통 능력의 증진을 강조하는 최근의 영어 교수법을 잘 반영한다. 따라서 참 평가의 실행으로 한국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증진하고 영어공부에 대한 동기를 높일 것으로 기대되었다. 하지만 평가의 목적에 대한 이해부족으로 이러한 수행평가의 실행은 교실 안에서 기대했던 효과를 이끌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Davison & Leung(2009)의 교사주도형 학생평가라는 모델을 이용하여 한국영어교사의 평가에 대한 인식 및 시행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58명의 초중 고등학교 영어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통해 자료 수집을 하였다. 설문지 문항은 평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교사주도형 학생평가의 이해도 및 시행을 알아보는 내용으로 이루어졌다. 실험결과에 따르면 많은 영어교사들이 교사주도형 학생평가의 중요성에 대해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필기시험과 퀴즈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흥미롭게도 평가의 교육적 목적을 인식하고 있는 교사집단의 경우 그렇지 않은 교사집단과 선호하는 평가방법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영어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평가에 대한 심도 있는 교사연수의 실행과 동시에 평가의 교육적 목적과 의의를 강조하는 교사주도형 학생평가의 도입을 제안하고자한다. Performance-based assessment methods were adopted as authentic assessment in response to heavy criticism on standardized paper exams in Korea. The implementation of authentic assessment reflecting current language teaching methods, that is, promoting fluency and communicative language skills was expected to advance Korean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and enhance students’ motivation in learning English. Due to the lack of understanding on the purposes of performance assessment, however, authentic assessment has not been executed as it should be in classrooms. This study employed a teacher-based assessment framework (Davison & Leung, 2009) to investigate English teachers’ perceptions of assessment and their use of it. For the data collection, a paper survey was conducted for 58 Korean English teachers who were teaching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Survey questionnaires were designed to examine their perceptions of assessment and applications.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teachers did favor the use of traditional exams and quizzes although they understood the importance of teacher-based assessment in language education. Interestingly, the teachers who were aware of the educational purpose of assessment tended to support more teacher-based assessment methods than those who were not. Based on the findings, we suggest providing Korean English teachers with an in-depth training on assessment and employing a concept of teacher-based assessment to support performance-based assessment.

      • KCI등재

        영어교사교육자들의 다중언어주의에 대한 성찰 : 공동문화기술지 연구

        김회경(Hoe Kyeung Kim),조현희(Hyunhee Cho)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20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Vol.29 No.3

        본 연구는 두 교사교육자의 공동문화기술지 연구를 통해 단일언어주의와 다중언어주의를 둘러싼 상충적인 문제들을 탐색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공동저널쓰기를 함으로써 다중언어주의의 이해를 재구축하고 기존 인식의 변화를 얻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두 가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한국의 맥락에서 적절한 영어 교수 접근법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교사와 교사교육자들이 지배적인 단일언어주의를 인식하고 비판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둘째, 공동문화기술지 연구 방법은 참여자가 기존의 원어민중심주의에 대한 문제점을 재인식하고, 각자의 환경에 맞는 성찰을 하며, 영어교사교육자로서의 정체성을 재구성하고 이를 통해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주었다. 연구결과는 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갖는다. This study explored conflicting language ideologies between monolingualism and multilingualism through two teacher educators’ duoethnography. Through this study, the two researchers re-constructed the understanding of multilingualism and experienced a change in perception. Two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is study. First, teachers and teacher educators need the ability to recognize and criticize the dominant monolingualism to develop an approach of teaching English appropriate in the Korean context. Second, duoethnographic study gave the participants an opportunity to reexamine the problems of existing native speakerism, reflect on their respective circumstances, reconstruct their identity as English teacher educators and grow through them. The research results have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영어교사의 평가에 대한 인식 및 적용 조사 : 교사주도형 학생평가 제안

        김회경,윤홍옥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연구소 2014 교사교육연구 Vol.53 No.4

        수행평가는 언어평가에 적절하지 않은 선택형 지필시험에 대한 비판으로 도입되었다. 수행평가와 같은 참(authentic)평가는 유창성과 의사소통 능력의 증진을 강조하는 최근의 영어 교수법을 잘 반영한다. 따라서 참 평가의 실행으로 한국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증진하고 영어공부에 대한 동기를 높일 것으로 기대되었다. 하지만 평가의 목적에 대한 이해부족으로 이러한 수행평가의 실행은 교실 안에서 기대했던 효과를 이끌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Davison & Leung(2009)의 교사주도형 학생평가라는 모델을 이용하여 한국영어교사의 평가에 대한 인식 및 시행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58명의 초중 고등학교 영어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통해 자료 수집을 하였다. 설문지 문항은 평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교사주도형 학생평가의 이해도 및 시행을 알아보는 내용으로 이루어졌다. 실험결과에 따르면 많은 영어교사들이 교사주도형 학생평가의 중요성에 대해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필기시험과 퀴즈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흥미롭게도 평가의 교육적 목적을 인식하고 있는 교사집단의 경우 그렇지 않은 교사집단과 선호하는 평가방법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영어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평가에 대한 심도 있는 교사연수의 실행과 동시에 평가의 교육적 목적과 의의를 강조하는 교사주도형 학생평가의 도입을 제안하고자한다. Performance-based assessment methods were adopted as authentic assessment in response to heavy criticism on standardized paper exams in Korea. The implementation of authentic assessment reflecting current language teaching methods, that is, promoting fluency and communicative language skills was expected to advance Korean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and enhance students’ motivation in learning English. Due to the lack of understanding on the purposes of performance assessment, however, authentic assessment has not been executed as it should be in classrooms. This study employed a teacher-based assessment framework (Davison & Leung, 2009) to investigate English teachers’ perceptions of assessment and their use of it. For the data collection, a paper survey was conducted for 58 Korean English teachers who were teaching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Survey questionnaires were designed to examine their perceptions of assessment and applications.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teachers did favor the use of traditional exams and quizzes although they understood the importance of teacher-based assessment in language education. Interestingly, the teachers who were aware of the educational purpose of assessment tended to support more teacher-based assessment methods than those who were not. Based on the findings, we suggest providing Korean English teachers with an in-depth training on assessment and employing a concept of teacher-based assessment to support performance-based assess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