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양자 드론 기술 연구 동향

        조현희(Hyunhee Cho),곽윤석(Yunseok Kwak),김중헌(Joongheon Kim),정소이(Soyi Jung) 한국통신학회 2022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2 No.2

        양자 통신은 양자가 지닌 특성을 이용하여 데이터 보안을 강화하는 통신 방식이다. 기존 양자 네트워크의 한계를 극복할 것으로 기대되는 드론 기반의 양자 네트워크가 제안되면서 최근 양자 드론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양자 네트워크의 선행 연구를 살펴볼 것이고 양자 컴퓨팅에 드론을 접목시킨 양자 드론 기술 동향을 알아볼 것이다.

      • KCI등재

        다문화가정 밀집 지역 중학교 교육과정 개선 방안 탐색: IB 교육과정 적용의 가능성과 한계를 중심으로

        조현희 ( Hyunhee Cho ),장인실 ( Insil Cha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20 교육과정연구 Vol.38 No.1

        이주민들의 증가와 더불어 최근 5년간 나타난 국내 인구지리학적 변화의 특징은 출신국별 공동체와 집단적 거주지를 중심으로 이른바 다문화가정 밀집 지역이 출현하고 있다는 것이다. 경기도교육청에서는 이와 같은 다문화가정 밀집지역 학생들의 배움과 공존을 적극 보장하기 위해 2017년부터 ‘다문화국제혁신학교’를 지정해왔으나, 해당 학교현장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 없이 다문화국제혁신학교의 성공 가능성을 예측하기는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국제혁신학교로 지정된 A중학교의 실제 교육과정 운영 현황을 심층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다문화국제혁신중학교 교육과정 개선의 가능성과 한계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다문화국제혁신학교와 교육적 지향을 같이 하는 인터네셔널 바칼로레아(International Baccaluareate, IB)의 교육과정적 활용 가능성을 타진해보는 데 역점을 두었다. 자료의 수집과 분석을 위해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다문화국제혁신중학교의 교육과정을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평가, 학생-교사 관계, 교실풍토의 6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국제혁신중학교의 가능성과 한계를 논의하고, 다문화국제혁신중학교의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With a growing number of foreign residents, South Korea is recently experiencing the emergence of these people in certain areas where they collectively inhabit. In response to these population­geographic shifts, Gyeonggi Ministry of Education has designated a total of twelve schools as the Multicultural International Innovative Schools (MIISs) in order to advocate educational equity and diversity for students in these areas. Yet, there has been lack of efforts to closely examine a set of curricula and programs implemented in the MIISs, which make it difficult to determine their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in education reform. In this regard, the present study sought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MIISs by analyzing the current curricula and programs implemented in one of the MIISs with focus on its possibility to successfully utilize the curricular principles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embedded in the International Baccalaureate (IB). Methodologically, this study was guided by a qualitative case study. The findings highlight that the MIIS shares its vision, curriculum goal and content with the IB but it would need to wrestle with the rigidity of the nation-level curriculum and evaluation system, the teachers' low expectation for culturally and ethnically marginalized students, and the assimilation-oriented school and classroom climates so that the IB-based principles and strategies are successfully adopted. Based on the findings, suggestions for further improvement of the MIISs were provided.

      • KCI등재

        고정관념과 편견의 근원을 찾아서

        조현희(Cho, Hyun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8

        본 연구는 자신이 가진 고정관념과 편견의 근원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과 경험을 통해 문화적비판의식의 발달 양상 및 관련 요인들을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수도권 지역 K대학에 개설된 다문화교육 강의에 참여한 예비교사 31명의 자기성찰 보고서를 내러티브 탐구의 절차와 방법에 따라 수집,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들이 인식한 고정관념과 편견의 근원은 (1) 타인과의 직접적인 만남과 경험, (2) 가정, 학교, 지역사회 등 자신이 속한 집단이나 미디어를 통한 학습, (3) 고정관념과 편견을 생산, 유통한 주류집단 등 개인적, 사회적인 수준에 걸쳐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근원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유형화함으로써 문화적비판 의식 발달 양상이 도출되었다. 둘째, 가정, 학교, 미디어 등을 통해 기존의 고정관념과 편견에 도전하는 정보나 사례를 접한 경험, 역위치성(소수화)의 경험, 자기성찰 경험 등은 고정관념과 편견의 근원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확장시키며 이들의 문화적비판의식 발달을 촉진하였다.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향후 다문화교사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sheds light on South Korean prospective teachers’ cultural critical consciousness by exploring how they perceive origins of their stereotypes and biases and how these conception are related to their prior experiences. Guided by narrative inquiry, I analyzed data collected from 31 prospective teachers’ self-reflection notes. The findings highlight that the prospective teachers attributed their stereotypes and biases to (1) their face-to-face experiences with others, (2) the sites or paths of socialization such as home, school, community, and mass media, and/or (3) the agents of socialization; and by combining each of the different attributions three patterns of cultural critical consciousness were emerged. The findings also revealed three interconnected experiences tha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deepening the prospective teachers’ cultural critical consciousness: facing counter-cases within/through home, school, and/or mass media; experiencing reversed power dynamics (being marginalized); and being involved in self-reflections. Recommendations for teacher education were also provided.

      • KCI등재

        다문화가정학생 지도에 나타난 타자윤리

        조현희(Cho, Hyun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4

        With a growing demographic diversity, an increasing influx of postmodernism has contributed to created and continued conversation and scholarship regarding an ethics of difference in South Korea. This study unravels how the ethics of difference is embedded in teachers’ perceptions of and interactions with culturally marginalized students. Through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of 34 exemplary mulicultural education cases selected by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National Center for Multicultural Education over three years (2014-2016), this study illuminates that the teachers’ guiding strategies for culturally marginalized students were dependent upon their beliefs toward universalism, toleration, or recognition. Each ethics of difference was incorporated into racing to the mainstream; engaging the students with a tourist curriculum and individualized instructions; or making the students’ cultural identity development more cental in the overall process of teaching and guiding, respectively.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teacher education were also provided. 국내 인구다양성이 증가함에 따라 타자 혹은 타집단을 어떻게 이해하고 대할 것인지에 관한 학문적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학생에대한 교사들의 인식이 어떠한 타자윤리관에 기반하고 있으며, 교사들이 가진 타자윤 리관이 다문화가정학생을 지도하는 데 어떠한 모습으로 구현되는지 실제 다문화가정학생을 지도한 교사들의 사례를 통해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3년간교육부와 중앙다문화교육센터의 주관으로 이루어진 다문화교육 우수사례 공모전에 당선된 34개 사례의 수기들을 질적 내용분석의 방법과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다문화가정학생들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한국인중심주의와 탈한국인중심주의, 그리고 결핍지향관점와 차이지향관점 사이에서 보편주의(universialism), 관 용(tolerance), 인정(recognition)의 윤리관으로 구별되어 나타났으며, 각 윤리관에서의 다문화생활지도는 ‘따라잡기식 교육’, ‘여행자 교육과 개별화 교육’, ‘문화적 정체성 계발을 중심으로 한 총체적인 교육’이라는 모습으로 구현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 들을 바탕으로 향후 다문화 교사교육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통합교과 교육과정에 관한 논의 및 개선 방향 탐색

        조현희(Hyunhee C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6

        본 논문은 통합교과 교육과정에 관한 국내 선행연구들과 2015개정 통합교과 교육 과정이 학습자들의 집단 간 문화다양성을 반영하고 있는지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모든 학습자에게 평등하고 유의미한 학습경험을 제공하는 통합교과 교육과정 설계 방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은 첫째, 집단 간 문화다양성에 대한 인정이 정의롭고 평등한 교육을 실현하는 데 필수불가결한 원리임을 설명하였다. 둘째, 집단 간 문화다양성을 중심으로 제4차 교육과정부터 2011개정 교육과정까지 지속된 통합교과 교육과정에 관한 주요 논의들과 2015개정 통합교과 교육과정을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 (1) 통합교과 교육과정에 관한 논의에서 학습자들의 집단 간 문화다양성에 관한 논의가 간과되어 왔으며 (2) 2015개정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내용체계 및 성취기준, 교수학습 및 평가 방향 전반에 걸쳐 집단 간 문화다양 성이 표면적인 수준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문화감응교육(culturally responsive teaching)과 지식자본(funds of knowledge) 이론을 기반으로 학습자들의 집단 간 문화다양성을 섬세하게 고려한 통합교과 교육과정 설계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이 ‘모든 학습자를 위한 통합교과 교육과정’ 개발 및 실행에 관한 후속 논의들을 확장하고 지속하는 촉진제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integrated curriculum which has made progress in a dialect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leaner discourse and the discipline discourse with continuous efforts for defining its identity for the last three decades currently encounters another issue: What should an integrated curriculum for all students look like? Located in the context of education efforts for multicultural democratic society, this study begins with the assumption that recognizing cultural differences among people from diverse groups is a key for promoting social justice and equity in education. Second, based on the concept of group differences, this study critically analyzed existing studies on the integrated curriculum, and found that issues of cultural differences have been at the margin of the existing studies. In addit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2015 nation-level integrated curriculum dealt with the concept of cultural diversity at a superficial level. Finally, based upon major principles of culturally responsive teaching and funds of knowledge this study suggested strategies for creating a culturally relevant integrated curriculum in which cultural diversities among different groups of people composing South Korean society are deeply recognized throughout its nature, goals, content, standards, instruction, and evaluatio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extending conversations and scholarship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curriculum for all students.

      • KCI우수등재

        OECD Education 2030에 내재된 학생 주도성의 다면적 의미: 신자유주의에 대한 비판적 관점들을 중심으로

        조현희(Hyunhee Cho),홍원표(Won-Pyo Hong)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6

        본 연구에서는 주도성(agency) 개념을 둘러싼 다양한 윤리적, 철학적, 이념적 논의를 토대로 OECD Education 2030 프로젝트에서 제안한 학생 주도성(student agency)의 의미를 규명하고, 이를 기반으로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추구해야 할 학생 주도성의 의미와 실천방향을 모색하였다. 연구결과, OECD가 제안한 학생 주도성 개념은 ‘주체성’과 ‘선택’, ‘책임’에 대한 비판적 입장들을 일부 인정하면서도 신자유주의의 관점과 입장을 견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프로젝트의 예비연구보고서와 직전보고서에서 논의된 주도성에 대한 풍부한 담론이 프로젝트의 최종 포지션페이퍼와 개념노트에서는 상당 부분 축소되고 단편화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발생한 이념적 모순들이 얇은 수사학적 장치로 덮여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주도성에 대한 다양한 관점과 OECD Education 2030 프로젝트에서 이를 해석하고 적용한 방식이 2022 개정 교육과정에 주는 시사점을 주체성에 대한 학습, 선택에 대한 책임의 사회적 공유, 학생 주도성의 실천을 위한 평가 방안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Drawing upon diverse ethical, philosophical, and ideological approaches to human agency, this study sought to unravel the multiple meanings of student agency proposed in the OECD Education 2030 project. Through this effort, this paper suggests how student agency should be interpreted and connected to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Major findings reveal that the concept of agency proposed by the OECD partially recognizes critical views on subjectivity, choice, and responsibility but mostly maintains a neoliberal perspective and ideas. In particular, the rich meanings of student agency discussed in the preliminary research report and the next-to-final report were largely neglected in the project's final position paper and conceptual notes, and some contradictions derived from this process were thinly covered with rhetorical devices. Finally, this study discusses implications for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relation to diverse perspectives on the meaning of agency and the OECD's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concept.

      • KCI등재

        Transnational Funds of Knowledge: A New Line of Inquiry into the Experience of Migrant Workers in South Korea

        조현희(Hyunhee C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7

        세계화의 확산과 함께 국경 너머의 새로운 삶을 추구하며 이동하는 초국적 이주노동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이주노동자들의 삶에 깃든 경험과 지식은 초중고 학생들이 이주노동의 의미와 관련 이슈들을 보다 심층적이고 실질적인 수준에서 학습하도록 돕는 유용한 교수학습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주노동자들의 이러한 경험과 삶이 학교교육과정 및 수업의 실질적인 자원으로 활용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이주노동자들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지식자본(funds of knowledge)의 관점에서 종합, 분석함으로써, 이들 지식과 경험이 지닌 교수학습적 가치를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 이주노동자의 삶을 분석한 11편의 선행연구를 통합적 문헌분석(integrative literature review)의 방법과 절차에 따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이주노동자들은 이들이 처한 경제적, 사회정치적 현실과 협상하는 과정에서 초국적 경험과 지식을 축적해왔으며, 이러한 경험과 지식은 ‘이주노동의 구조적 환경’, ‘개인-가족-구조 간 역학’, ‘다문화적 감수성 및 역량’ 등 이주노동과 관련하여 그간 학계에서 논의되어 온 다양한 현안과 개념, 견해 등과 긴밀히 연계되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이주배경 학생들의 학습 기회와 결과의 향상을 즉각적으로 도모하고, 세계화 시대를 살아가는 모든 학생에게 필요한 지식, 태도, 기술 등을 함양하기 위해 국내 이주노동자들의 지식, 경험, 관점 등이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교육과정과 수업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More people than ever are crossing international borders, pursuing employment outside their home countries. Though the lived experience of international migrant workers is a great resource for engaging K-12 students in an authentic and deeper understanding of international labour migration and related issues, it is rarely recognized as such, even in countries with a large and rapidly growing migrant worker population. Focusing on the context of South Korea, this study sought to understand the knowledge and experiences of international migrant workers by integrating existing literature from the funds of knowledge perspective. The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supported by a basic qualitative study approach was used in collecting and analyzing eleven empirical studies on foreign workers in South Korea. The findings reveal that the migrant workers’ transnational experiences of dealing with economic and sociopolitical realities involve diverse issues, concepts, and ideas that have been broadly discussed in the academic world, such as structure-level conditions of labour migration, the dynamics of individual, family, and structure, and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competency. The discussion highlights the potential for using the knowledge, experiences, and perspectives of migrant workers as instructional resources to promote migrant students’ learning opportunities and outcomes, and to help all students acquire more knowledge, attitudes, and skills needed to live in the age of globalization.

      • KCI등재
      • KCI등재

        초등 영어교사의 개인적 실천 지식의 형성과 사용

        조현희(Cho, Hyunhee)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구 영남영어교육학회) 2011 영어교육연구 Vol.23 No.2

        This study aimed at discovering what personal practical knowledge elementary English teachers employed in their teaching practice and how they formed and used it in the constraints and conflicts that surrounded their teaching. Four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and a retrospective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individual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eachers had the knowledge of instruction in common: The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students’ interest in English by making them be engaged in the instruction. The teachers tended to believe that they should teach what they thought was necessary for the students, regardless of the textbook and the curriculum. In this case, their instruction took the form of secret stories, as opposed to sacred stories and cover stories. The secret stories were used in the process of dealing with the constraints and conflicts that surrounded their teaching practice. The teachers also had the knowledge about their contexts of teaching English, which they didn’t find to be supportive of their teaching. This study has implications for researchers and teacher educators.

      • KCI등재

        초등 예비교사의 영어 언어유희 텍스트에 대한 반응과 인식

        조현희(Cho, Hyunhee) 언어과학회 2021 언어과학연구 Vol.- No.99

        This study inquired about primary pre-service teachers" responses to reading children"s English language play texts and explored the implications for teaching English in primary classrooms. Seven primary pre-service teachers attending an educational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e study. A group interview and an individual interview with each of them comprised the data source. The analysis of the interview data revealed that first, the participants" recognition of the playful features of language was secondary to their comprehension of the literal meaning of words and sentences. Second, the forms of language play that the participants were most familiar to was rhyme and rhythm. Third, the participants" responses to language play texts were found to be somewhat related to their English learning experiences. The findings of the study has implications for English education and teacher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