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창의인성 역량 강화를 위한 미술과 교수-학습 방법 연구 : 은유적 사고를 응용한 미적 체험을 중심으로

        김화은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goal of the research on arts and teaching-learning method for strengthening capability of creative personality, based upon the revised curriculum of 2015, is to enhance the ability to communicate with others and to enjoy the culture of art within life. In other words, this research focuses on developing a teaching-learning method to let learners strengthen the capability of creative personality through analysis and expression of formative language. Creative personality education is composed of ‘Creativity’ that lets one produce useful intellectual products, combined with aspects ‘Personality’ that helps to promote and manifest creativity. A Metaphor is a key mechanism that helps one to understand different problems through ones’ physical and social experiences. It forms ones’ perception and behavior while structuring the understanding of experiences. An occurrence of notion from experiences is open, which consists of every perspective. The metaphorical thinking applied aesthetic experiences exceeds the boundary of an academic curriculum, connecting the experiences of notions, ideas, emotions and so on, which makes it essential in the field of creative personality education. This research has developed and conducted a teaching-learning program for strengthening capability of creative personality by applying metaphorical thinking, targeting the first year students in high school. Based on the preliminary analysis of the research subjects, the program format was able to actively interpret and enjoy the symbolism and emotion of the formative language displayed in the artworks in consideration of the interests and diversity of the students. This study, which focuses on aesthetic experience activities, is characterized by providing opportunities for education to enhance aesthetic awareness by letting one to be able to participate regardless of aesthetic knowledge or expressive ability. The subjects of the program are “Intuitive appreciation of traditional painting ‘Long View - Short View’”, “Drawing a Buncheong with a metaphorical meaning by scratch technique”, “Installation art and Land art - Eye for beauty, Eye for the worl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provided opportunities to enjoy the various knowledge and diverse cultures, being able to develop an active attitude of self-expression. Second, the possibilities of creating valuable cultures such as attentive hearing and mutual convergence are shown. Third, metaphorical thinking can develop a colorful and balanced viewpoint and attitude in the process of appreciating and discussing artworks. Fourth, art is not limited to a handful of talented people, and everyone has a chance to experience the interaction and aesthetic qualities through aesthetic experiences. Thus, the lessons of experience, expression, and appreciation using metaphorical thinking in the art subject were able to obtain various educational benefits. In particular, the students showed much interest in their own artworks, and they appreciated the meaning of accomplished artworks that they thought were irrelevant to themselves. In addition, the achievements in developing the personal aspect of 'understanding' and 'respect', which are the key points of metaphorical thinking, were more than expected during discussion and presentation of learning activities. As a result, the aesthetic experience through metaphorical thinking has provided an open way for students accustomed to a society with competition to re-think and re-evaluate oneself and social community. In the arts curriculum, students naturally develop their own personality through various activities to develop their creativity. The result of this process is the fact that educational effect and value depends on a teacher 's competence. In order to strengthen the creative personality, it is necessary to practically apply different programs over educational curriculums. 창의인성 역량 강화를 위한 미술과 교수-학습 방법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준거로 삼아 조형언어를 매개로 타인과 소통하는 능 력, 삶 속에서 미술 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데 목표를 두고자 한다. 말하자면 학습자의 흥미와 다양성을 고려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육현장에서 학습자가 미술 작품에 나타난 조 형언어의 상징과 내용을 자기 주도적으로 해석하고 표현하게 함으로 써 창의인성 역량을 강화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창의인성교육은 독창적이면서도 유용한 산물을 산출할 수 있는 ‘창의성’과 도덕성을 넘어 창의성을 촉진하고 발현하는데 도움이 되는‘인성’이 합해진 것이며 이것은 독자적 기능과 역할을 강조하 는 동시에 유기적으로 상호통합 하여 재개념화 된 것이다. 은유는 우리의 물리적·사회적 경험을 바탕으로 삶에서 마주하는 다른 문제들을 이해할 수 있게 해주는 핵심적 기제로서 무의식중에 우리의 지각과 행위를 구성해주며 경험에 대한 이해를 구조화 해주는 것이다. 경험에서 발생하는 개념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고립된 개 념의 관점이 아니라, 모든 경험의 관점에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은유 적 사고를 응용한 미적 체험은 교과의 경계를 넘어 개념, 아이디어, 감정 등의 경험을 연결하는 것이기 때문에 은유적 사고는 창의인성교 육에서 중요한 요소라고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은유적 사고를 응용한 창의인성 역량 강화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에 대한 사전 분석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흥미와 다양성을 고 려하여 작품에 나타난 조형언어의 상징과 감동을 능동적으로 해석하 고 즐길 수 있게 구성하였다. 미적 체험 활동을 중심으로 한 본 연구 수업은 미술적 지식이나 표 현 능력에 상관없이 누구나 참여하여 미적 안목을 증진 시킬 수 있는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는 특징이 있다. 프로그램의 주제는 “전통회화의 직관적 감상‘짧게보기-길게보 기’”, “스크래치 기법으로 은유적 의미를 담은 분청사기 문양 그 리기”, “설치미술과 대지미술 – 미를 보는 눈, 세상을 보는 눈”이 다. 연구 수업 결과 분석에 따른 교육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많은 지식과 다양한 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 고 능동적인 자기표현의 자세를 기를 수 있었다. 둘째, 작품 제작 및 자유 발언 학습 활동에서 자신의 주장만 내세우 는 것이 아니라 경청과 상호융합 등 자신들의 가치있는 문화를 창출 하려는 가능성이 나타났다. 셋째, 작품을 감상하고 토론하는 활동에서 은유적 사고는 다채롭고 균형있는 시각과 태도를 함양 할 수 있었다. 넷째, 미술은 탁월한 재능을 가진 소수에게 국한되지 않으며 누구나 미적 경험을 통해 상호작용과 미적 안목을 키울 수 있는 가능성을 엿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미술교과에서 은유적 사고를 응용한 체험, 표현, 감상 연 구 수업은 다양한 교육적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특히 학생들은 세 세하게 표현한 자신의 작품에 많은 흥미와 관심을 보였고, 자신과 상 관없다고 생각하였던 기성 작품들을 본 수업을 계기로 의미있게 받아 들였다. 또한 토론과 발표 학습 활동에서 은유적 사고의 핵심인‘이 해’, ‘존중’등 경험의 효과가 기대 이상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외적이고 사실적인 아름다움에 다수의 가치를 두고 경쟁하는 사회에 익숙해진 학생들에게 은유적 사고를 통한 미적 체험은 자신과 공동체 의 가치를 생각하고 이해해 볼 수 있는 열린 방법이 되었다. 미술 교과에서 학생들은 여러 가지 가변적인 활동을 통해 자연스럽 게 자신만의 의미를 창출해 내면서 창의인성 역량을 키운다. 이러한 과정의 결과는 교사의 역량에 따라 교육적 효과와 가치가 달라진다. 창의인성 역량을 강화시키는 교육을 위해서는 전반적 학교생활에서 다양하고 실질적인 프로그램이 종합적으로 이루어져야 더 큰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연(蓮)을 소재로 한 은유적 회화작품 제작 연구

        김화은 群山大學校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Modern art is leading to the direction that regards various media as a kind of formative language, and puts emphasis upon the artist’s insight. In the history of East and West art, the subject-matter of lotus has been long emerged as a pivotal rendering means in different classes and cultures. From the cave paintings in prehistoric age to modern paintings, its type innumerably varies. In that respect, the subject-matter of lotus must be a very important object of expression. This research was expanded into the realm of religious, historical, hermeneutic, art-sociological significance, etc. of lotus on the basis of its linguistic meaning. And, finally, I have attempted to analyze that the image as such in our modern painting is reflected upon in a somewhat viewpoint by dint of the artworks by several artists. As a result, it became vivid that the subject-matter was utilized as a means for expressing emotional richness or metaphorical, satirical, didactic image owing to its significant symbol in modern Korean painting. Thus, under the conviction that it was possible for representing man’s feelings metaphorically by that subject-matter, I have launched to create metaphorical paintings with a subject-matter of lotus. As a result, I finished to make Tale of You and Me by composing with simplicity, exaggeration and combination the lotus, lotus lake, and tea cup objet as motifs of the artwork. The general characteristic of these series implies a kind of modern painting, destroying stereotyped art form, and various colors of pigments that were acquired by experimental attempts of combination can be defined as constructing an identity as a creative artist out of a simple introduction of traditional meaning of five primary colors. My creative idea immersed into that making process is as follows : Firstly, lotus series that were led to a homogeneous kind of creation by combiningwith man, nature, and heterogeneous objets to have suggested wide possibilities of metaphor as a plastic language; Secondly, in a research of making Korean paintings that were focused upon metaphorical representation, the incarnation of aesthetic attribute through lotus was come true; and thirdly, the series with a subject-matter of lotus made me possible for being transformed towards a sincere introspection upon my life as well as a balanced one. 현대미술은 여러 매체를 조형언어로 간주하고 작가의 직관을 중시하는 경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동서양 미술사에서 연(蓮)이라는 소재는 오랫동안 다양한 계층과 문화속에서 주요한 표현수단으로 등장해왔다. 선사시대의 동굴벽화부터 현대회화에 이르기까지 그 유형은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다. 그러한 점에서 연(蓮)이라는 소재는 매우 중요한 표현 대상이었음에 틀림없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蓮)의 어원적 의미를 토대로 종교적, 역사적, 해석학적, 예술사회학적 의미 등으로 연구를 확대해나갔다. 그리고 마침내 그러한 이미지가 우리나라의 현대회화에서는 어떠한 시각으로 투영되고 있는지를 여러 대표 작가들의 작품들을 대상으로 분석해보았다. 그 결과 그 소재는 현대회화에서 그 중요한 상징성 때문에 정서적인 풍요로움이나 아니면 사회나 여타 대상에 대한 은유적, 풍자적, 교훈적 이미지를 표현하는 도구로 활용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그 소재를 활용하여 인간의 희로애락을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판단 아래서 연(蓮)을 소재로 한 은유적인 회화작품의 제작에 임하게 되었다. 그 결과 작품의 모티브인 '연(蓮)'과 '연지(蓮池)', 그리고 '찻잔' 오브제를 단순, 과장, 결합의 구성을 통해 "너와 나의 이야기"를 완성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연작의 전체적인 특징은 진부한 작품형식을 파괴한 현대적 회화형식을 구사한 것이며, 또한 실험적 배합에서 얻어진 다양한 안료의 색체는 오방색의 전통적인 의미의 단순한 수용에서 벗어난 창작을 염두에 둔 정체성을 갖춘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그 창작과정에 배어 있는 본 연구자의 창작이념은 첫째, 인간과 자연물, 그리고 이질적 오브제를 결합하여 동질적인 창작을 이끌어낸 연(蓮)은 조형언어로서의 은유라는 폭넓은 가능성의 제시, 둘째, 은유적 표현을 중심으로 한 회화작품의 제작에 대한 연구에서 연(蓮)을 통한 심미성의 현현(顯現), 그리고 셋째, 연(蓮)을 소재로 한 연작이 본 연구자의 삶에 대한 진지한 반추와 더불어 균형 잡힌 삶으로의 전환도 가능하게 했다는 점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