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도지적장애 성인의 간접화행을 사용한 언어문제해결력에 관한 연구

        김화수 ( Kim Whasoo ),임소연 ( Lim Soyeon ),이지우 ( Lee Ji Woo ),우혜진 ( Woo Hye Jin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1 No.3

        [목적] 경도지적장애 성인을 대상으로 간접화행을 사용한 언어문제해결력을 알아보고 지도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데 있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만 19-23세이면서 언어연령은 10-12세에 해당하는 경도지적장애 성인 15명과 언어연령 일치 비장애 학생 15명으로 총 30명이었다. 간접화행(문장유형, 언표내적 행위)과 언어문제해결력(원인이유, 해결추론, 단서추측)이 포함된 검사도구를 개발하여 간접화행을 사용한 언어문제해결능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자료처리는 독립표본 t-검정, 일원변량분석,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두 집단을 비교했을 때 3가지 경우(전체 점수, 의문문, 평서문) 모두에서 경도지적장애 성인 집단에 비하여 언어연령 일치 비장애 학생 집단의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경도지적장애 성인 집단이 비장애 학생 집단보다 오반응률이 높으며 오류 유형에서도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4가지 상황별 차이 결과, 특히 친구 상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경도지적장애 성인 집단의 어휘능력과 간접화행을 사용한 언어문제해결력 간 연관성이 있는지 살펴본 결과, 3가지 조건 간에서 뚜렷한 양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대화체로 이루어진 간접화행 문장을 이용하여 경도지적장애 성인의 간접화행 및 언어문제해결력을 파악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고 사료되며 언어적 개입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verbal problem solving ability using indirect statements on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and to use the findings as basic data in the guidance.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 total of 30 people of 15 adults aged 19-23 and 10-12 of language age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and 15 age-matched group of general children.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verbal problem solving ability using indirect statements by developing a testing tool that includes indirect speech acts(sentence category, illocutionary act) and verbal problem solving ability(causal reason, inference of solution, supposition of clues). For data processing, this study conducted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When comparing the two groups, in all three cases (total score, interrogative sentence, declarative sentence), the score of the non-disabled student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adults group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Next, the group of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showed a higher rate of incorrect responses than the group of non-disabled students and the error type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Also,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our different situations, in particular, it was shown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text of friends. Last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investigating a correlation between vocabulary ability and language problem solving ability using indirect statement of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It was identified that there is a distinct quantitative correlation between 3 different condition. [Conclusion]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have a significance in that this study has identified indirect statements and verbal problem solving ability of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using indirect statement sentences composed of dialogue, and hope to use these findings as a basis of verbal intervention.

      • KCI등재

        촉각 촉진 기반 자기점검중재가 시각중복장애 고등학생의 순대포장 직무기술에 미치는 효과

        김영준(Kim, Youngjun),김화수(Kim, Whasoo)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22 시각장애연구 Vol.38 No.1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촉각 촉진 기반 자기점검중재가 시각중복장애 고등학생의 순대포장 직무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에 있다. 연구방법: 연구 대상은 저시력과 지적장애가 수반된 시각중복장애 고등학생 세 명으로 구성되었다. 독립변인(중재 프로그램)은 참여자들이 목표행동의 수행에 사용하는 도구와 재료에 대해 촉각 촉진을 제공받은 후 목표행동을 수행하는 상황과 맥락에 따라 다중 자기점검 절차에 참여하는 것으로 구성되었다. 종속변인(목표행동)은 참여자들이 식품 제조 사업체에서 직접 순대와 내장을 포장하는 수행으로 정의된다. 연구결과: 참여자들은 중재를 통해 목표행동을 효과적으로 습득 및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촉각 촉진 기반 자기점검중재를 시각중복장애학생에게 적용할 시 물건 분류의 직업기초 성격과 기능이 반영된 직무기술을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다는 상호 유의미한 기능적 관계를 결론지을 수 있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tactile prompt-based self-monitoring intervention on the sundae packaging job skills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multiple disabilities. Method: The study participants consisted of three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multiple disabilities accompanied by low vision and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independent variable (intervention program) consisted of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multiple self-monitoring procedures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context in which they perform target behaviors after being provided with tactile prompt of tools and materials used to perform target behaviors. The dependent variable (target behaviors) is defined as the performance of participants packing sundae and intestines directly in the food manufacturing businesse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participants effectively acquired and maintained target behaviors through intervention. Conclusion: When applying intervention consisting of tactile prompt-based self-monitoring to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multiple disabilities, there can be a meaningful functional relationship that job skills reflecting basic job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such as object classification could be effectively acquired.

      • KCI등재

        컴퓨터 기반 그림 및 언어 조합을 통한 다중 직무 탐구 학습 전략이 그룹홈 거주 지적장애인의 조리직무기술에 미치는 효과

        김영준 ( Kim Youngjun ),김화수 ( Kim Whasoo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2 No.4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컴퓨터 기반 그림 및 언어 조합을 통한 다중 직무 탐구 학습 전략이 그룹홈 거주 지적장애인의 조리직무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방법] 연구 참여자는 미취업의 상태로 그룹홈에 1년째 거주 중인 지적장애인 세 명으로 구성되었다. 실험 환경은 그룹홈 내 학습실과 식당 사업체 내 조리실로 구성되었다. 연구 설계는 단일대상연구의 대상자간 중다간헐 기초선 설계 기법이 사용되었으며, 이에 따른 실험 조건은 기초선, 중재, 유지, 일반화와 같이 네 가지로 구성되었다. 독립변인으로 구성된 중재 프로그램은 컴퓨터 기반의 온라인 콘텐츠로 볼 수 있으며, 그림과 언어를 조합하여 조리직무기술의 수행 내용을 다중적으로 탐구하는 절차를 포함한다. 종속변인으로 구성된 조리직무기술은 어묵우동을 메뉴로 하는 식당의 조리실에서 어묵우동을 직접 조리하는 수행으로 정의되며, 과제분석을 통해 총 10가지의 하위 단계로 역시 구성되었다. [결과] 세명의 참여자들은 중재 프로그램을 통하여 조리직무기술을 효과적으로 습득 및 일반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통해,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의 상호 유의미한 기능적 관계가 타당하다는 측면을 결론지을 수 있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multiple job exploration learning strategies through computer-based pictures and language combinations on cooking job skills of adults with ID living in group homes. [Method] The study participants consisted of three adults with ID who have been living in the group home for a year without employment. The experimental environment consisted of a learning room in the group home and a cooking room in the restaurant business. In the study design,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participants technique of a single subject study was used, and the experimental conditions consisted of four types: baseline, intervention,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The intervention program composed of independent variables can be viewed as computer-based online contents, and includes a procedure for multiple exploration of the performance of cooking job skills by combining pictures and languages. The cooking job skills consisting of dependent variables is defined as the performance of cooking fish cake udon directly in the cooking room of a restaurant with fish cake udon as a menu, and it was also composed of a total of 10 sub-steps through task analysis.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three participants effectively acquired and generalized cooking job skills through intervention programs. [Conclusion] Through the above results, it was possible to conclude that the meaningful func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dependent variable is valid.

      • KCI등재

        발달장애인 맞춤형 학령기 전환교육 연계 성인기 평생교육 중점 모델 형성: 기초 연구

        김영준 ( Youngjun Kim ),김화수 ( Whasoo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 맞춤형 학령기 전환교육 연계 성인기 평생교육 중점 모델을 기초적 원론의 수준에서 형성하는 데에 목적을 두어 실시되었다. 연구 방법은 발달장애인의 성인기 평생교육 모델 구축을 위해 학령기 중심의 전환교육 연계 관점을 강조한 선행 연구문헌을 분석하는 절차와 함께 이를 근거로 연구 내용을 구체화할 수 있는 전문가 회의로 구성되었다. 연구 내용은 발달장애인의 학령기 특수교육을 기반으로 한 전환교육을 통한 교육과정 및 관련 서비스와 연계하여 성인기 평생교육 차원에서 구축될 수 있는 제반 적용방안의 구성요소들이 모델화되어 제시되었다. 연구 결과, 발달장애인의 성인기 중점 평생교육 모델은 학령기 중심의 특수교육 분야에 구축된 전환교육과 연계해 개별 맞춤형의 수준으로 구체화될 수 있는 측면이 분석되었다. This study aims to form a model for lifelong education in adulthood linked to school-age transition education tailored to the developmental disabled at the level of basic principles. The research method consists of a process of analyzing the preceding studies that emphasized the viewpoint of linkage of transition education centered on school-age in order to build a lifelong education model for the developmental disabled, and an expert meeting that can specify the research contents based on this. The contents of this study were modeled and presented the components of various application methods that can be constructed in the dimension of adult lifelong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curriculum and related services through transition education based on school-age special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al disabled. As a result, the aspect that the lifelong education model focused on adulthood of the developmental disabled can be embodied at the level of individual customized in connection with the transition education established in the special education field centered on school-age was analyzed.

      • KCI등재

        자폐범주성장애의 사회적 의사소통 중재연구 분석

        이근용 ( Rhee Kunyong ),김화수 ( Kim Whasoo ),이상진 ( Lee Sangjin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1 No.4

        [목적] 본 연구는 사회적 의사소통 관련 자폐범주성장애 아동 중재연구의 사용된 매체, 중재 기법, 종속변인으로 설정한 사회적 의사소통 기능을 분석을 통해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시사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해 2009년부터 2019년까지의 발행된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사회적 의사소통 중재연구 48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 번째로 연도와 출판유형에 따른 현황과 연구대상의 일반적인 정보를 살펴본 결과 연도별게재 수는 2019년도가 가장 많았으며, 학술지 게재보다 학위논문이 많았다. 다음으로 연구대상의 일반적인 특징에서 대상자 연령은 학령전기가, 중증도는 경증-중간을 나타낸 연구가 많았으며, 또한, 1명 또는 3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비중이 높았다. 두 번째로 연구대상의 중재 환경으로 장소는 치료실에서 실시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중재자 유형은 연구자 비중이 높았다. 또한, 중재 기간은 11-15회기, 16-20회기가 많았다. 세 번째로 중재목표인 사회적 의사소통을 가르치기 위해 사용된 매체 분석 결과 놀이활동, 컴퓨터 및 기계사용, 그림글자카드 순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중재기법은 보완대체의사소통(AAC), 가족이 참여한 중재, 스크립트 중재, 환경중심언어중재 순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의사소통 별 분석은 요구하기가 가장 많은 중재 목표로 나타났고 보완대체의사소통(AAC)과 상당 부분 중복되었다. [결론] 중재 기법에 따른 사회적 의사소통 분석으로 요구하기를 가르치기 위해 사용된 기법은 AAC중재와 스크립트 중재가 많았으며, 자발화는 상황이야기 스크립트 중재와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많았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research trends and examine the corresponding implications through an analysis of intervention media, intervention techniques, and the social communication skills in a range of publications on social communication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Method] Forty-eight studies on social communication intervention of children with ASD published from 2009 to 2019 were included in the meta-analysis. [Results] A review of recent publication trends on this topic by year and type show that there was the highest number of publications in 2019, master’s thesis being more abundant than academic papers. Participant composition of the reviewed studies reveals that most case studies involved pre-school children with mild to moderate levels of autism, comprising a sample size of 1 or 3. As for the environment of intervention, the most common physical setting in which treatment took place was the therapy room. Treatment was typically administered by the researcher over the course of 11~15 or 16~20 sessions. The most popular media employed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e interventions―improving participants’ social communication skills―were play activities, technology-mediated activities, and visual flashcards. The most adopted intervention methods were, in descending order,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family-mediated intervention, social story intervention, and Milieu teaching. The ability to make requests was the target social communication skill in the majority of reviewed studies, with a substantial overlap with AAC. [Conclusion] An analysis of social communication evaluation criteria by intervention method demonstrates that AAC and social story intervention methods were mainly used to enhance the capability for making requests, while social story intervention and Milieu teaching were used to induce more spontaneous speech from children with ASD.

      • KCI등재

        음운재부호화 및 음운부호화 처리과정에 대한 능력 비교 연구

        이숙(Suk Lee),김화수(Whasoo Kim) 한국언어치료학회 2014 言語治療硏究 Vol.23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rrange the criterion reference of phonological re-coding and coding processing in 5- to 9-year-old normal children. Phonological re-coding and coding, together with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are factors that influence prediction while reading. Methods: 1,002 normal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ubject who participated in study was 5 years old (N=201), 6 years old (N=199), 7 years old (N=199), 8 years old (N=200), and 9 years olds(N=202). The recoding test consisted of rapid object naming, rapid color naming, rapid digit, and rapid letter naming. The coding test consisted of memory for digits and nonword repetition. Results: The performance of the phonological re-coding test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roups. The performance of the phonological coding test also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roups.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a criterion reference for phonological re-coding and coding processing was show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