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풋귤 수요증대가 제주 노지감귤 산업에 미치는 파급영향

        김화년(Hwa-Nyeon Kim),고성보(Seong-Bo Ko),김배성(Bae-Sung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4

        풋귤은 노지온주 감귤의 미숙과로 최근 카로티노이드, 펙틴, 비타민 C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건강증진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제주지역에서 2월에서 녹색이다가 3-4월 노란색으로 착색되는 재래종 청귤품종과는 구분된다. 이 연구는 노지감귤 미숙과인 풋귤의 수요증대가 노지감귤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1989-2017년 노지감귤 수급자료를 이용하여 노지감귤 부분 수급모형을 구축하였다. 수급모형은 노지 감귤 부분에 대한 수급균형모형으로 풋귤 수요확대에 따른 파급영향 계측을 위해 동태 축차적인 구조로 구성하였다. 구축된 수급모형에 대한 수급 예측력 검토를 시행하였고, 최종 모형을 이용하여 2018-2030년에 대한 풋귤 수요확대에 따른 파급영향을 시뮬레이션하였다. 시뮬레이션 분석결과, 풋귤 수요확대에 따라 노지감귤 재배면적이 초기에는 2022년까지 생산부문에 대한 영향에 큰 변화가 없으나 2023년 18㏊, 2025년 52㏊, 2030년 142㏊의 재배면적이 증대되고, 2021-2030년 연평균 약 77.5억원의 조수입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계측되었다. Green colored citrus is the immature fruit of the field citrus crop in Jeju, and its demand has been growing recently as it is known to contain a large amount of carotinoid, pectin, and vitamin C. It differs from the traditional varieties of blue tangerine, which are green in February and turn in yellow in March-April.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the increased demand in green citrus on the field citrus industry. For our analysis, a partial equilibrium supply-demand model was established with a dynamic recursive structure using data from 1989-2017. Model calibration was also conducted to determine the best supply-demand model and then, the impacts of increasing demand for green immature citrus in Jeju for 2018-2030 was simulated.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impact on the producing area prior to 2022, but there is a distinguishable increase of 18㏊ in 2023, 52㏊ in 2025, and 142㏊ in 2030. It was also predicted that revenue would increase by KRW 7.75 billion on average from 2021-2030.

      • KCI등재

        과채음료 시장의 특징 및 트렌드 분석과 시사점

        김화년(Hwa-Nyeon Kim),김배성(Bae-Sung Kim),고성보(Seong-Bo Ko)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7

        한국 과채음료의 소매 시장규모는 2012년~2019년의 기간 중 연평균 5.0% 감소해 6,635억원으로 축소되었다. 가공음료 시장의 위축은 생과의 가격 등 농업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음료 소매시장 데이터의 연별매출 변화, 판매채널별 규모와 비중, 계절별 차이 등의 요인을 파악하여, 전반적인 과채음료 시장의 특징과 트렌드를 분석하고, 향후 과채 가공음료 시장이 회복되기 위한 토대를 제시하고자 한다. 최근 국내 과채음료 시장에는 배음료와 자몽음료를 제외하고 현저한 판매 감소세가 나타나고 있고, 편의점 판매 비중이 높지 않고 성수기인 여름에 선호가 약한 특징이 있다. 과채음료 시장의 국내외 트렌드 중 첫 번째는 신선, 고급 주스 선호가 증가한다는 점이다. 두 번째는 저가 주스판매점 확대가 가공음료에 부정적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이고, 세 번째 트렌드는 냉기법 활용 제품시장이 커지고 있다는 점이다. 네 번째는 기능성 제품이 인기를 끌고 있다는 점이고, 마지막 트렌드는 특산물을 원료로 한 가공음료의 증가이다. 과채음료 시장의 회복을 위해서는 프리미엄 제품과 기능성 음료의 확대 등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국내 생과 산업도 성장할 수 있는 모멘텀이 될 것이다. The retail market size of Korean fruit and vegetable juices fell 5 percent annually to 663.5 billion won during the 2012-2019 period. The contraction in the processed juice market also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agricultural sector and raw fruit prices.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the fruit and vegetable beverage market by identifying factors such as annual sales changes, size and proportion of sales by sales channel, and seasonal differences using beverage retail market data and also presented a basis for the recovery of the processed fruit beverage market in the future.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decline in sales in the domestic fruit juice market, excluding pear and grapefruit juices. Fruit and vegetable juices show a relatively low proportion of convenience store sales and weak consumer preference in peak summer. The first of the domestic and global trends in the fruit juice market is that preference for fresh and high-quality juices is increasing. The second trend is that the expansion of low-cost juice stores is negatively affecting the processed juice market, and the third trend is that the market for products using the cold process is growing. The fourth is that functional products are gaining popularity, and the last trend is the increase in processed juices demand based on local specialty products. The recovery of the fruit beverage market requires the expansion of premium products and functional beverages, which will also serve to add momentum to the growth in the demand for domestic raw fruits.

      • KCI등재후보

        Technical Analysis of the Crude Oil Price Super-cycle Using Asymmetric Band-Pass Filtering

        김화년(Hwa-Nyeon Kim) 제주대학교 관광과경영경제연구소 2020 産經論集 Vol.40 No.1

        Purpose – International crude oil prices have shown the super-cycle which indicates dramatic upswings and downswings with multi decade periods. Crude oil prices have been stabilizing with downward trend since the second half of 2014, and the downward period of the current super-cycle has also been in progr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en the downward trend would be converted to upturn and how strong the expected upswings would b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crude oil price data used in the study was the monthly average of WTI, Brent, and Dubai oil prices. In addition to the historical prices, the forecasts of oil prices from 2020 to 2030 given by World Bank in October 2019 are added to the final data set to be analyzed. Thus the data of real oil prices run from 1960 to 2030 with 852 observations. The quantitative model applied in this study is the asymmetric band bass filtering which is one of time-series analysis with various advantages to identify a super-cycle after filtering out the cyclical components. Result - According to the results conducted by the asymmetric band pass filtering, the peak of the current super-cycle was formed in 2009 and the downward trend was analyzed to last until 2024. In other words the upcoming ascending phase of the cycle is expected to take place from 2024. However, the strength of the rise of oil price cycle is likely moderate compared to the previous rising periods. 3 reasons why the upward cycle will be moderate are development of extraction technique to stabilize the supply, demand substitution by eco-friendly automobiles, and higher competition among oil producing countries. Conclusion - It is shown that the current downward cycle will end in 2024. Because the upswing will be moderate in the upward phase of the upcoming super-cycle, it will help Korea’s economy in general by stabilizing inflation and the amount of imports. However, because oil producing countries, especially in Middle East, which highly rely on oil for their fiscal revenue may continue to suffer, there is a need to maintain a conservative view for the investment to these oil producing countries.

      • KCI등재

        금융위기 이후 투기 거래가 원자재 가격에 미친 영향

        김화년(Hwa-Nyeon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5

        본 연구에서는 금융위기 이후 투기적 성향의 거래가 원자재 가격 상승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음을 구조적 벡터자기 회귀(SVAR: Structural Vector Auto Regressive) 모형을 이용해 정량적으로 증명했다. SVAR 모형을 추정 후 충격반응 분석과 분산분해 결과에서 금융위기 이후 투기 거래가 원자재 가격에 미친 영향력이 금융위기 전 보다 3~6배 커진 것으로 분석되었 다. 또한 금융위기 이후 급증한 글로벌 유동성도 원자재 가격에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위기 이전에는 산업생산 등 수요와 경기 요인이 원자재 가격에 크게 영향을 주었으나 금융위기 이후에는 그 영향력이 감소했다. 따라서 금융위기 이후 원자재 가격 반등은 유동성 확대에 따른 투기 거래 증가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미국은 2015년 12월 금리 인상을 시작했고 향후 금융 긴축 기조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되어 글로벌 유동성이 감소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금융 위기 이후 원자재 가격이 금융 변수의 영향을 크게 받았기 때문에 향후 유동성이 감소한다면 투기 거래가 위축되고 원자재 가격의 하락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This study verifies whether speculative trading in commodity markets acted as the primary cause of the increase in commodity prices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using the Structural Vector Autoregressive (SVAR) model. The effects of speculative trading on commodity prices increased by a factor of 3 to 6 after the crisis compared to those before the crisis. Although the demand related variables, such as industrial production, affected commodity prices significantly before the crisis, their effects decreased after the crisis. Consequently, the rebound of commodity prices after the crisis was mainly caused by the increase in speculative money, fortified by the expansion of the global liquidity supply. The global liquidity may well increase in the future, because the U.S. Federal Reserve Board is likely to continue to increase its interest rate. This study claims that when global liquidity shrinks as a result of a change in the Fed's monetary policy stance, speculative trading will slow down, leading to a decline in commodity prices.

      • KCI등재

        A Simulation Analysis on the Economic Impact of U.S. Tangerine Importing in the Korean Citrus Industry

        Bae-Sung Kim(김배성),Hwa-Nyeon Kim(김화년),Man-Keun Kim(김만근),Seong-Bo Ko(고성보)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7

        미국의 탄저린 감귤귤 재배면적은 2009년 19,000ha에서 2016년 27,000ha로 급격히 증가하여 7년 동안 42% 증가했다. 최근 일본으로의 수출이 급증함에 따라 향후 약 6 ~7천 톤의 수출량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본연구의 목적은 미국 탄저린 수입이 감귤산업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다양한 시나리오를 통해 시뮬레이션 분석을 하는데 있다. 미국 탄저린감귤의 수입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미국 감귤이 수입된 적인 없기 때문에 미국 탄저린 감귤의 일본 수출 단가가 사용되었다. 감귤류는 재배 방법과 품종에 따라 노지감귤, 하우스감귤, 한라봉 등 만감류(월동 온주 포함)로 분류하였다. 노지와 하우스감귤의 생산시즌을 고려해 보면, 미국 탄저리감귤의 수입량은 2021년 약 4,700 톤에서 2027년에는 10,000톤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탄저린감귤의 수입은 국내산 노지와 하우스감귤의 생산량과 품질뿐만 아니라 미국산 탄저린감귤의 생산량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그렇지만, 미국 탄저린감귤의 관세율이 50% 이하로 떨어지는 2021년 이후에는 수입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The acreage of tangerines in the U.S. sharply rose from 19,000 ha in 2009 to 27,000 ha in 2016, an increase of 42% in 7 years. Considering the recent surge in tangerine exports to Japan, the export volume of 6-7 thousand tons is highly likely to increase in the futur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conomic impact of U.S. tangerine imports on the Korean citrus industry under various scenarios. In order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imports of U.S. tangerines, the unit price of U.S. exports to Japan was used since U.S. tangerines are not imported to South Korea. Citrus fruits are divided into field citrus, house citrus, and late-maturing citrus (including winter season citrus) based on the cultivation method and variety used to analyze. Considering both the field and house seasons, the import volume of U.S. tangerines can be expected to rise from roughly 4,700 tons in 2021 to 10,000 tons in 2027. Imports of U.S. tangerines may be pushed up or delayed depending not only on the harvest method and quality of domestic field and house citrus but also on the harvest of U.S. tangerines. However, it is necessary to note that tangerines could be imported after 2021, when the tariff rate on U.S. tangerines will fall below 5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