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바울의 새 관점”의 루터에 대한 비판

        김홍만 ( Hong Man Kim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0 성경과신학 Vol.55 No.-

        ‘바울의 새 관점’(New Perspective on Paul, 이하 새 관점이라고 부른다)의 용어는 신약학자 제임스 던(James Dunn)이 1982년 Manson Memorial Lecture에서 사용하기 시작하였는데, 샌더스(E. P. Sanders)의 Paul and Palestinian Judaism(1977)으로부터 영향을 받아서 바울의 신학을 새롭게 보려는 시도이다.1 새 관점이라고 부르는 이유로 일찍이는 어거스틴, 그리고 본격적으로는 루터로부터 시작된 옛 관점이 바울과 그의 역사적 배경을 잘못 이해하였다고 보고, 그것을 대체하기 위한 목적으로 그렇게 부른다. 이렇게 시작된 새 관점은 영국의 신약학자인 토마스 라이트(Thomas Wright)에게 이르러서 더욱 확산되어서 오늘날 신학계에서 논쟁의 주제 중 하나가 되었다. 새 관점은 특별히 종교개혁자들의 바울에 대한 이해가 잘못되었는데 그러한 잘못된 가르침이 500년 가까이 계속되어 왔으며, 따라서 현대 교회는 복음을 오해하고 있다고 주장한다.2 새 관점의 출발은 1세기의 유대교가 공로를 근거한 종교가 아니었고, 항상 은혜의 종교이었다는 것에서부터이다. 그리고 인간의 순종은 그 은혜에 대한 응답으로 이해하며, 언약은 하나님에 의해서 주어지며, 율법은 언약 안의 삶을 위해 틀로 주어진 것이고, 율법을 행하는 것은 구원의 수단이 아니라 언약 안에 머물기 위한 수단이라는 것이다.3 따라서 바울이 유대주의자들과 싸웠던 것은 행위로 의로워지려는 것이 아니라, 교회의 이 방인들의 지위에 관한 것이었으며, 언약공동체의 일원이 되는 것에 대한 것이다, 라고 주장한다.4 새 관점은 1세기의 유대교의 이러한 해석에서부터 출발하여, 바울의 가르침을 재평가한다. 그런데 이러한 재평가를 시도하면서 종교개혁자들, 그 가운데서 특별히 루터는 칭의 교리를 잘못 해석해서 그 잘못된 가르침이 오늘날까지 내려왔다는 주장을 한다. 새 관점을 주장하는 대표적 신학자로서 제임스 던과 토마스 라이트는 루터의 바울에 대한 해석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강력하게 말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던과 라이트의 루터에 대한 비판을 살펴보고, 그들의 비판으로부터 그들의 신학적(theological) 정체성을 밝히는 것이다. As advocators of the “New Perspective on Paul,” D. G. Dunn and Thomas Wright assert that Luther`s discovery of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has distorted the truth and has blinded the church for centuries. They claim that justification is a future event that will occur at the final judgment. Their assumption is based on the view that God`s righteousness is actually God`s faithfulness to his covenanted people. God accepts his people without convicting people`s sins by his law. They maintain that God forgives those who believe of gospel message. However, when people believe in Christ, justification does not happen immediately. Instead, they will be justified at the final judgment. Their theory comes from a new understanding of first century Judaism. In their theological hypothesis, they actually deny the conviction of sin by the Holy Spirit, leaving no room for true repentance by the means of the Law. Moreover, they do not see the Law as a schoolmaster to lead sinners to Christ. Their understanding of repentance is very superficial. Therefore, they perceive that sinners can be received by believing of gospel message, without repentance. In addition, they claim that the law is a mere badge of the covenanted people. Thus, there is no principle or means for sanctification. They denounce Luther as antinomian, but they follow antinomianism by omitting the role of the Law for the sanctification of the believer. One of the aims of the New Perspective on Paul is to bring about unity among all the different churches. Wright mentions in his writings, his Anglican theological father, Richard Hooker, who argued that before the Reformation, in the Roman Catholic Church, there were people saved even without knowing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Wright supports Richard Hooker`s stress on the necessity of Protestants uniting with the Roman Catholic Church. The proponents of the New Perspective on Paul want to break down the barrier doctrine of justification that Luther emphasized. As a result of their premises, they reject cardinal gospel doctrines.

      • KCI등재후보

        한국장로교회의 신학적 뿌리에 대한 논쟁들

        김홍만(Kim, Hong Man) 개혁신학회 2012 개혁논총 Vol.22 No.-

        한국장로교회의 신학적 뿌리에 논쟁은 브라운 총무이래로 오늘날까지 계속되어왔다. 그 평가들은 4가지 범주들로 나눌 수 있는데, 때로는 평가들이 서로 충돌되기도 한다. 우선 근본주의라는 평가가 있는데, 이것은 미국 장로교내에서 일어난 근본주의 운동과 시간적 차이가 있으며, 단지 외형적으로 드러난 몇 가지 신학요소만을 고려한 것으로 바른 평가가 아니다. 다음으로, 보수적 복음주의의 관점이있다. 이렇게 평가하는 것은 선교사들의 복음을 전하는 태도에 따른 것인데, 정작 그들이 어떻게 복음을 전하였는가에 대한 평가의 누락으로 인하여 정확하지 않은 평가이다. 그 다음으로 가장 많은 신학자들이 평가하는 신학파 혹은 신학파적인 구학파의 관점이다. 그러나 이 평가는 구학파와 신학파의 신학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한 상태에서 이루어졌다. 특별히 구학파가 부흥을 반대하였다는 잘못된 자료로부터 출발하였기 때문에 평가 자체에 오류를 가지고 있다. 실제로 구학파는 참된 부흥을 추구하였으며, 개혁신학에 근거한 부흥신학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구학파 출신의 선교사들이 한국장로교회에서 부흥을 추구했던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따라서 선교사들의 부흥에 대한 태도로 인하여 신학파 혹은 신학파적 구학파라는 평가는 반드시 교정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장로교회의 신학적 뿌리를 청교도로 본 것은 브라운 총무로부터 시작되었다. 그리고 박형룡과 김인수가 강조하였다. 역사적 증인으로부터 내려진 평가로서 정확한 평가이다. 그러나 어떻게 해서 청교도 신학이 구학파와 관련되어 있으며, 또한 청교도 신학과 부흥과의 신학적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미약하였다. 한국장로교회의 청교도 신학은 신파와 구학파를 통해서 유입되었다. 따라서 한국장로교회의 신학적 뿌리는 구학파에 있는데, 청교도 신학과 복음전도와 부흥에 있어서 철저한 개혁신학에 근거를 두고 있는 것이다. There are four different views regarding the theological roots of Korean Presbyterian churches: Fundamentalism, Conservative Evangelicalism, New School and New School oriented Old School, and Puritanism. First, Fundamentalism could not have been the theological root because the missionaries of the Korea Mission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U.S.A. had already set up their mission sites and built up Korean Presbyterian churches before the prevailing of fundamentalism, which began in 1910. Second, the view that conservative evangelicalism, or the New School, gave rise to the theology of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es is also invalid because in the 19th century, the New School Presbyterian churches departed from Calvinism and accepted semi-Pelagianism. Unlike the New School Presbyterian churches, the missionaries in the early Korean churches held to reformed theology. Third, the argument that the New School and mixed Old School with New School birthed the theology of Korean Presbyterian churches is faulty. The reasoning is that only the New School pursued revivals while the Old School denied them. This is a misunderstanding of the Old School's revival theology. The Old School did in fact pursue genuine revivals. Most missionaries in Korea pursued revivals not based on the theology of Finney, but on reformed theology. Last, Puritanism is asserted as the true theological root of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This view came from A. J. Brown who was a secretary of foreign mission department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U.S.A. This view is correct. For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U.S.A started with Puritanism. Then, Puritanism was continued through two great Awakenings and in the Old School. Therefore, the missionaries who served in Korea came from the Old School, brought Puritanism and reformed revival theology to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 KCI등재후보

        19세기말 미국장로교회의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 개정 논의에 대한 고찰

        김홍만(Kim, Hong-Man) 한국개혁신학회 2010 개혁논총 Vol.14 No.-

        The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was composed to bring forth piety in the family. Because ignorance and doctrinal error prevailed in England during the mid 17th century, families and churches were impious. To remedy the situation, the Westminster Divines assembled to draft a confession that would hold forth sound doctrines and rectify errors. One of the errors at the time was Arminianism. In 1729, the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was adopted as a standard confession of the Presbyterian Church of the U.S.A. Since the Adoption Act (1729), all candidates for the pastoral office in the Presbyterian Church of the U.S.A. had to subscribe to the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However, after the Second Great Awakening, in 1837, the Presbyterian Church of the U.S.A. was assailed by Charles Finney's revivalism and semi-Pelagianism which divided the denomination into Old School and New School. As a New School theologian Finney especially attacked the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New School essentially followed Pelagianism which was a definite departure from Calvinism. Despite their differences in theological positions, Old and New School were reunited in 1869. After this reunion, Arminianism spread throughout the Presbyterian Church of the U.S.A. At this point, there were some who wanted to revise the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according to Arminianism and Modern theologies. Finally, in 1903, the Presbyterian Church of the U.S.A. revised the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The revision demonstrated that the Presbyterian Church of the U.S.A. had discarded Calvinism and had opened itself to error. Therefore, today's Korean Presbyterian Church should confirm its theological identity and take a firm stance against error. It must see the importance of the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and encourage its use.

      • KCI등재

        장공 김재준의 신학 여정

        김홍만 ( Hong Man Kim ) 한국개혁신학회 2013 한국개혁신학 Vol.38 No.-

        한국 신학계에서의 김재준의 평가는 긍정적인 것과 부정적인 것이 충돌한다. 긍정적인 평가로는 그가 근본주의와 싸웠으며, 민주주의를 위하여 독재와 싸우는 것 등으로 한국교회의 개혁자라고 부른다. 그러나 부정적인 평가도 적지 않은데, 주로 그를 자유주의 신학자, 신신학자라고 부른다. 물론 김재준의 신학에 대해서는 그를 반대하는 진영에서나 지지하는 진영에서 모두 신정통주의라고 말한다. 그의 생애를 통해서 볼 때, 그는 자유주의와 근본주의를 경험하였지만 그것에 회의를 가지고 있었으며, 바로 이때 그는 신정통주의를 만났고, 신정통주의를 생애 마지막까지 가지고 갔다. 그는 신정통주의가 세계 신학의 주류라는 확신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것과 함께 에큐메니칼 운동이 세계교회의 방향이라고 판단하였다. 이러한 그의 신학적 확신은 격동하는 한국교회에 그대로 반영되었다. 그래서 정통주의에 대해서 비판하였으며, 세계의 신학 동향을 따라가라고 하였다. 이러한 강조는 시대마다 다른 것으로 보이지만 사실은 일관성을 가진 것이었다. 그러나 그는 세계 신학의 동향에 대해서 주의를 기울이고 주류가 무엇인지 확인하고 그것을 따라가라고 강조한 것처럼 하지 못했다. 그의 시각은 신정통주의와 WCC에 국한함으로 인하여 또 다른 세계 교회 운동인 복음주의를 보지 못하였다. 더욱이 상대적 역사주의로 인하여 그는 개혁신학을 역사 속에서 사회적 현상으로 묶어두었다. There are both positive and negative evaluations of Jae Joon Kim`s influence in the Korean theological society. He is considered a reformer because he fought against fundamentalism and autocracy in Korea. On the other hand, conservative theologians view him as a liberal theologian. For identifying his theological position, his theological pilgrimage should be studied. During the 1920s, Kim cameacross both liberalism and fundamentalism. He criticized both of them. Then, he encountered neo-orthodoxy. He firmly followed neoorthodoxy throughout the rest of his life. In the 1950s, Kim introduced the ecumenical movement and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to Korean churches. He believed that these ecumenical movements would become the main theological stream in the world. In the 1970s and 1980s, Kim followed WCC`s theological trends. He used the terms humanization and liberation. His emphasis of ecumenism is based on his belief of neo-orthodoxy. Moreover, his view of church history was historical relativism which might come from Barth and Bultmann. Thus, it can be concluded that Kim was neo-orthodox theologia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존 웨슬리가 본 칼빈주의

        김홍만 ( Hong Man Kim ) 한국개혁신학회 2011 한국개혁신학 Vol.32 No.-

        웨슬리는 온건한 칼빈주의를 인정하였으며, 알미니안주의와 함께 공존 할 수 있다고 하였다. 분명히 웨슬리는 원죄를 인정하였으며, 하나님의 섭리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생각하였다. 웨슬리는 칭의 교리에 있어서 자신과 칼빈주의와 차이가 없다고 하였다. 그러나 한편으로 칼빈주의와 알미니안주의와의 분명한 차이가 있음을 말하였고, 더 나아가서 칼빈주의에 대해서 비판을 하였다. 웨슬리는 그 시대의 칼빈주의자들의 예정, 선택과 유기, 저항할 수 없는 은혜, 성도의 최종적 견인 교리에 대해서 비판하였다. 이러한 칼빈주의자들의 가르침은 도덕률폐기론 성향을 가지고 있어서 결국 성화를 무시하게 된다고 하였다. 웨슬리는 그 당시 칼빈주의 신학자인 존 길과의 논쟁에서 더욱 이러한 신학적 성향에 대해서 비판하였다. 그러나 웨슬리가 그 당시 이해하였던 칼빈주의는 하이퍼 칼빈주의이었다. 하이퍼 칼빈주의자들은 예정, 선택과 유기, 저항 할 수 없는 은혜, 성도의 최종적 견인 교리를 통하여 인간의 책임 부분을 완전히 제거해버렸다. 그러나 웨슬리는 이러한 하이퍼 칼빈주의를 칼빈주의로 오해하였던 것이다. 실제로 칼빈은 예정을 가르치면서 성화를 강조하였으며, 칭의와 성화가 불가분의 관계인 것과 성도의 견인에서 인간의 책임 부분이 있음을 말하였다. 따라서 웨슬리는 하이퍼 칼빈주의에 대한 비판을 한 것이다. 물론 하이퍼 칼빈주의는 잘못된 신학이며, 반드시 개혁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오늘날에도 웨슬리처럼 하이퍼 칼빈주의를 칼빈주의로 오해하고 성화를 무시하는 성향이 한국교회에 있다. 따라서 칼빈주의와 하이퍼 칼빈주의를 분명하게 구별하여 잘못된 가르침을 개혁해야 할 것이다. John Wesley acknowledged ``sober Calvinism`` which could be compatible with Arminianism. Wesley definitely admitted doctrine of original sin, and positively regard God`s providence. Even Wesley though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himself and Calvin in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However, Wesley said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Calvinism and Arminianism. Moreover, Wesley criticized Calvinism, especially doctrines of predestination, election and reprobation, irresistible grace, and final perseverance. Wesley thought that these doctrines caused believers to ignore their sanctification. Wesley debated with John Gill in regarding to predestination, election, perseverance. In this point, Wesley equated Calvinism with Antinomianism. However, John Gill was not a Calvinist, but a hyper-Calvinist. Hyper Calvinism was a sort of Antinomianism. In another word, Wesley confused Calvinism with hyper-Calvinism. Calvinism is totally different from hyper-Calvinism. Calvin asserted the importance of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 which he believed as its goal the sanctification of believers. Moreover, Calvin never said predestination as determinative doctrine. Calvin taught the relation of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Calvinism is not Antinomianism. Even today, in churches, confusions between Calvinism and hyper-Calvinism still exist like Wesley`s. On the other hand, hyper-Calvinism in Korean churches has brought to ignore sanctification in the believers. Therefore, firstly, there should be clear distinction between Calvinism and hyper-Calvinism, secondly, there should be taught that hyper-Calvinism is error.

      • KCI등재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과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서의 비교: 회심과 성화 용어를 중심으로

        김홍만 ( Hong Man Kim ) 한국개혁신학회 2013 한국개혁신학 Vol.40 No.-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서와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서는 교회사 속에서 개혁신학에 근거한 대표적인 교리교육서이다.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서는 종교 개혁의 제 3세대의 작품이며,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서는 청교도운동 가운데 작성된 것이다. 따라서 두 문서 모두 교회 개혁 가운데 작성된 문서들이다. 그래서 작성하였던 목적과 내용이 크게 다르지 않다. 그래서 두 문서 모두 진정한 구원의 은혜와 그 효과에 대해서 강조하고 있다. 왜냐하면 두 문서 모두 잘못된 가르침과 그것으로 인한 거짓 경건에 대해개혁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두 문서 구원의 은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런데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서 88번은 구원의 은혜의 증거로서 회심을 말하였고,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서 35번에서는 구원의 은혜의 실제적 효과인 성화를 말하고 있다. 같은 내용이지만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서에서는 회심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고,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서에서는 성화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이러한차이는 종교 개혁운동이 영국으로 넘어가고, 그 당시 영국교회에 알미니안주의 운동이 일어나서 구원의 은혜에 대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그리고 구원의 서정의 형식을 취함으로 인한 것이다. 물론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서에서도 구원의 서정의 틀이 있지만, 영국 교회의 상황 속에서 더욱 체계적으로 서술함으로 인하여 같은 내용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용어의 차이가 일어난 것이다. 그리고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서에서는 그리스 도와의 연합의 은덕에 참여하는 것으로 일어나는 성화라고 더욱 구체적으로 서술하여서,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서보다 더욱 분명하여 졌다. 이렇게 16, 17세기의 개혁신학에 있어 중요한 요리문답서는 20세기에 이르러서 오히려 피상적으로 가르쳐졌다. 성화 (회심)의 두 부분 (요소)에 대한 강조가 누락되기도 하였으며, 그리스도와의 연합교리 없이 구원의 서정만강조되었다. 따라서 오늘날 구원의 은혜의 증거가 강조될 필요가 있는데, 이렇게 왜곡된 가르침을 바로 잡아야 한다. 그리고 이 시대에 두 요리문답서가 다시 가르쳐져서 구원의 은혜의 진정성이 강조되고 증거되어야 한다. In church history, the Heidelberg Catechism and the Westminster Shorter Catechism have been received as standard Reformed catechisms. The Heidelberg Catechism was composed by Ursinus and Olevianus, third generation of Reformers. The Westminster Shorter Catechism was composed by the Divines of the Westminster Assembly in the puritan movement. Both catechisms were made for enlightening the ignorance while pursuing church reformation in Heidelberg and England. Both catechisms not only taught the way of salvation but also defined true faith. In particular, Heidelberg Catechism`s question 88 deals with the true evidences of repentance. This doctrine of conversion is also explained in Westminster Shorter Catechism question 35 under sanctification. Moreover, as background of Westminster Shorter Catechism question 35, questions 30, 31 are explained in light of union with Christ. The differences between how the catechisms approach this issue come from the different historical backgrounds in which they were drafted. When the Westminster Shorter Catechism was composed, the England church was defending Reformed theology against Arminianism. Thus, the divinities of the Assembly explained the order of salvation in more detail than the writers of the Heidelberg catechism. However, in the 20th century, the Reformed church could not trace these points in either catechism. They ignored the importance of sanctification and neglected the doctrine of union with Christ. Therefore, the Reformed church today must rediscover the teachings of both catechisms regarding conversion and sanctif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