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개인적 특성과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 학교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혜성(Hae Sung Kim),김혜련(Haer Yun Kim),박수경(Sook Yung Park) 한국아동복지학회 2006 한국아동복지학 Vol.- No.21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로부터 학대를 경험한 청소년과 경험하지 않은 청소년 간에 학교부적응이 어떻게 차이가 나는가를 규명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개인적 특성(성별, 연령, 주관적 경제지위, 주관적 학업성취도)과 사회적 지지 변인(부모로부터 사회적 지지, 친구로부터 사회적 지지, 전문가로부터 사회적 지지)들을 중심으로 이들 변수들이 양 집단의 학교 부적응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 살펴보았다. 조사대상자는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중학생 또는 고등학생으로 326명을 포함하였다. 조사대상자의 43.9%(143명)가 부모로부터 학대 경험이 있는 것으로, 56.1%(183)는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 부모로부터 학대 받은 경험이 있는 청소년의 경우 주관적 학업성취도가 높을수록 학교부적응이 감소하고, 부모의 사회적 지지와 전문가의 사회적 지지가 낮을수록 학교부적응이 증가하였다. 부모로부터 학대경험이 없는 청소년의 경우, 나이가 들수록 학교부적응이 증가하였고, 주관적 경제지위가 `하`라고 인식할 경우 학교부적응이 증가하였으며, 부모의 사회적 지지가 낮을수록 학교부적응이 증가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제한점과 함의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compared the impact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support characteristics on school maladjustment in 2 groups of adolescents aged 17-22: 143 maltreated adolescents and 183 non-maltreated adolescents. For individual characteristics, it included gender, age, perceived economic status, and perceived school performance. For social support, it included parental support, peer support, and professional support. Using mulitiple regression analyses, it was determined that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support had different impact on school maladjustment between groups. Parental support and perceived school performance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 predicting school maladjustment in maltreated adolescents. Conversely, for non-maltreated adolescents, age and perceived economic statu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 predicting school maladjustment. Parental support was a consistent predictor of school maladjustment in both maltreated group and non-maltreated group. It was concluded that for maltreated adolescents, enhancing school performance and extending social support, especially professional support can be effective strategies to prevent this population from school maladjustment. Also, since low parental support was found to be a consistent predictor of school maladjustment in both groups, the need to develop supportive family services as well as parental education programs was emphasized.

      • KCI등재
      • KCI등재

        Lonely Deaths among Elderly People in the Aging Korean Society

        Hae Sung Kim(김혜성)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8

        본 연구는 노인 고독사 현상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미디어 자료를 사용하여 고독사 사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질적 연구방법으로 사례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고독사 사례는 2007년부터 2017년 초까지 보도된 미디어 자료를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인터넷 검색 엔진을 사용하여 수행하였으며, 총 47사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60대 21사례, 70대 17사례, 80대 이상 9사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성별은 남성 22사례, 여성 17사례, 성별미상 사례 8사례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고독사 사례에서 나타난 주요 위험요인으로는 빈곤과 경제적 곤경, 만성질환, 정신건강 문제, 사회적 고립, 가족 및 이웃과의 관계 절연, 실업, 1인 가구, 독신 혹은 이혼, 그리고 대도시 거주 등으로 파악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예방 전략에 대한 논의를 제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lonely-death phenomenon and to understand the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lonely-death cases among elderly people by examining the articles on such phenomenon and the media reports of such cases. The cases of lonely death reported from 2007 to 2017 were used. Case analysis was conducted, and the news articles that described the lonely death cases were identified using an internet search engine. Forty seven cases were analyzed. Several risk factors emerged from the data obtained, such as economic hardship, chronic illness, mental health problems like alcohol addiction, social isolation, disconnection from family members or the neighborhood, unemployment, single household, unmarried or divorced status, and living in an urban area. Based on the findings, prevention strategies were address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청소년의 학대경험과 자살성에 관한 연구

        김혜성(Kim Hae Sung)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9 社會科學硏究 Vol.25 No.1

        자살은 전 세계적인 관심사로 조기 예방이 강조된다. 자살예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서구의 경우, 자살로 인한 사망률감소와 같은 좁은 의미의 접근에서 확장되어 자살과 관련된 다양한 위험 양상에 초점을 두어 이를 감소시키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학대 경험은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자살과 밀접한 연관성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양한 학대 유형이 자살성 경험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에 불구하고 유형별로 단편적으로 연구되어, 통합적인 이해가 부족한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대 경험이 청소년의 자살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아 예방적 접근에서의 유용한 함의를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서울지역에 위치한 중학생과 고등학생 2791명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살성은 K-YSR 항목 중 지난 6개월간에 자살사고나 자살시도 중 하나라도 경험한 경우는 ‘1’값을 주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0’을 주어 더미변수화 하였다. 주요 관련요인으로는 성별, 학년, 주관적으로 인식한 경제적 지위, 자존감 등을 포함하였다. 학대 유형 요인은 가정에서의 학대경험(부모간 폭력, 부모로부터의 폭력)과 성학대 경험을 포함하였다. 전체 조사 대상자 중자살성 경험자는 29%로, 이 중 남자청소년의 경우 25.9&, 여자청소년의 경우는 33.4%로 나타났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여자청소년일 경우, 자존감이 낮을수록 자살성 경험을 할 확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대유형에서는 ‘아버지가 어머니에게 행하는 신체 폭력’과 ‘아버지가 청소년에게 행하는 신체폭력’은 청소년 자살성 경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로부터의 정서적 폭력 경험이 있을 경우와 성학대 경험이 있을 경우에도 자살성 경험을 할 확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buse experience and suicidality and whether the association differs by abuse types, 2731 middle and high school youths residing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completed self report survey which included measures of suicidality(using two items of suicidal attempts from K-YSR), abuse types (emotional abuse, physical violence from parents, sexual abuse) and other related variables (gender, glade, perceived economic status, self-esteem). Nearly one-thirds of participants reported suicidality. Results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being female and low self-esteem increased the likelihood of suicidality. With relation to abuse types, father's physical violence toward mother, father's of physical violence toward adolescents, and mother's emotional abuse towards adolescents increased the likelihood of suicidality. Sexual abuse experience increased the likelihood of suicidality.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were addressed based on the findings.

      • KCI등재

        청소년의 혼란스러운 식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혜련(Hae Ryun Kim),박수경(Soo Kyung Park),김혜성(Hae Sung Kim) 한국아동복지학회 2008 한국아동복지학 Vol.- No.25

        본 연구는 성별에 따른 혼란스러운 식이행동의 발생과 관련 변수를 살펴보고, 각각의 집단에서 혼란스러운 식이행동에 대한 개입 시 고려해야 할 함의를 모색해보는 데 목적을 둔 탐색적 연구이다. 본 연구는 서울시내에 거주하는 중·고등학생 2,795명을 대상으로 혼란스러운 식이행동과 관련 변수들을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여자 청소년의 34%, 남자 청소년의 15.3%가 혼란스러운 식이행동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를 보면, 여자청소년의 경우 중학생보다는 고등학생이, 약물을 남용할 가능성이 있을수록, 우울하고 불안할수록, 자신의 체중에 만족하지 않을수록 그리고 친구들이 구체적인 외모에 대하여 비판할수록 혼란스러운 식이행동을 보일 가능성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남자청소년의 경우는 중학생보다는 고등학생이, 우울하고 불안할수록, 자신의 체중에 대한 만족도가 낮을수록 혼란스러운 식이행동을 보일 확률이 높았다. 흥미로운 연구결과는 주관적인 경제적 상태와 친구와의 대화는 남녀 청소년 모두에서 혼란스러운 식이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여자 청소년의 혼란스러운 식이행동에 친구로부터의 외모에 대한 비판이 영향을 미친 반면 남자 청소년에게는 영향을 미치지 않아 여자 청소년이 외모문화로부터 더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는 점이다. 이는 고등학교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는 혼란스러운 식이행동 예방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성별에 따른 차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evalence of disordered eating behaviors among school based adolescents and gender differences in socio-demographic factors, individual factors, and appearance culture factors associated with disordered eating behaviors. The sample consisted of 2,795 adolescents for grade 7 to 12 living in Seoul. Results showed that 34% of female and 15.3% of male met the criteria of the disordered eating behaviors, which scored 3 more on the scale. Result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for female adolescents, grade, weight satisfaction, risk for substance abuse, depression/anxiety, and appear criticism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isordered eating behaviors while for male adolescents, grade, weight satisfaction, and depression/anxiety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isordered eating behaviors. Thus, policy makers and practitioners need to be aware of the critical nature of adolescents` disordered eating behaviors and gender differences in factors associated with this growing social concern. Futhermore, school-based preventive intervention programs are urgently needed in order to prevent their high risk-taking behavi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