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金笠의 作品性向 硏究

        김형중(Kim Hyungjoong) 한국언어문학회 2007 한국언어문학 Vol.62 No.-

          This research references existing research for bard Kim-rip and his poem, examined his work tendency in detail. His work can divide to satirical poem, Hangul poem, word amusements(破字戱詩), descriptive poem, love poem, spiritual being poem(詠物詩), animal(insect) poem etc. Recognized his writer mind through his work world that did literature activity through poem of various genre in addition.<BR>  Kim-rip was Andong-Kim"s descendants who is best nobility pedigree, but his parentage fell because of Hong-gyeongrae"s rebellion. He satirical inconsistency of society system and hypocrisy of control class fluently present age through his poem. It is as result that his surrounding environment that could not but give up own learning and knowledge that learn to take part in politics on groundwork of these work is reflected.<BR>  Critical sight for Kim-rip"s satire and jest, hypocrisy of control class is expressed well at his Hangul poem and word amusements. These work that mix Chinese character and Hangul properly, express subject by pronunciation sometimes, to Chinese character meaning sometimes. He understood by principal parts genre of Hangul poem and word amusements that a maid of honor and peoples enjoyed and Chinese poem that the nobility class enjoys the age.<BR>  Kim-rip created descriptive poems that praise the Korean famous mountain and nature sceneries that witness by oneself through life of wandering beautifully. Also, he created much love poems that exchange with kisaeng or various women for tiring wandering period. His descriptive poems showed superior artistic talent of delicate and brand new scenery delineation with sense of beauty which is polished for nature. His love poems sought sense of freedom about instinctive love of human which was prohibited in restraint of feudalism.<BR>  Spiritual being poem, animal(insect) poem used thing which can find easily in our surrounding to site of work. For example, there were the domestic animals such as a dog and rooster, parasite such as a louse and flea, life articles such as chamber pot, brazier, pipe and so on. He escapes conservative view of the world which the nobility culture has and expressed civilianization"s life in his work. Such his work tendency produced result that only the nobility class magnifies Chinese poem that enjoyed by public"s life.

      • 농업용수 수질개선을 위한 침강지의 수질정화 특성

        김형중,김동환,Kim, Hyungjoong,Kim, Donghwan 한국관개배수위원회 2014 한국관개배수논문집 Vol.21 No.1

        A sedimentation basin for agricultural water quality improvement was researched to analyze the water quality purification characteristics. The sedimentation basin constructed at the inlet of Gamdon reservoir in Muan-gun, Jeollanam-do was selected as the research field of this study. The surface area of the sedimentation basin is $34,000m^2$, volume is $122,000m^3$, and hydraulic retention time is 0.3hr~7.3day. The average influent loading of SS was 156.6kg-SS/d, and the effluent loading was 67.5kg-SS/d with the average removal rate of 56.9%. The average influent loadings of BOD and COD were 33.0kg-BOD/d and 60.3kg-COD/d respectively, and the effluent loadings were 26.4kg-BOD/d and 48.6kg-COD/d with the average removal rate of 20.1% and 19.3% respectively.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a sedimentation basin can purify SS and organic matters. The average influent loadings of T-N and T-P were 28.7kg-TN/d and 2.97kg-TP/d respectively, and the effluent loadings were 16.3kg-TN/d and 1.41kg-TP/d with the average removal rate of 43.0% and 52.6%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 overall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a sedimentation basin is a feasible alternative to purify organic matters and nutrients.

      • 지하흐름 인공습지를 이용한 마을하수 방류수 정화

        김형중 ( Hyungjoong Kim ),김호일 ( Hoil Kim ),김완중 ( Wanjoong Kim ) 한국농공학회 2015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5 No.-

        농어촌지역에 설치된 마을하수도는 고도처리시설을 갖춘 경우가 많지 않아 방류수는 질소·인과 같은 영양염류의 농도가 높기 때문에 저수지로 직접 유입되면 녹조발생 등 수질악화의 원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영양염류 농도가 높은 마을하수 방류수(600㎥/d)를 정화하기 위해 설치한 지하흐름 인공습지를 대상으로 2013 ~ 2014년에 정화효율을 분석하였다. 지하흐름 인공습지의 제원은 폭 2 m × 길이 14 m × 깊이 1.2 m이고, 계획체류시간은 2시간이다. 지하흐름 인공습지에 채운 접촉여재의 직경은 8 mm ~ 12 mm이고, 공극율은 약 60 %이며, 지하흐름 인공습지 내에서 혐기성과 호기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상하흐름형으로 구성하였다. 조사기간동안 수온은 유입수가 22.5±3.5 ℃인데, 유출수는 21.9±4.6 ℃로 별 차이가 없었다. pH도 유입수가 7.5±1.0이고 유출수는 7.6±0.8로 별 차이가 없었다. EC는 유입수가 521.5±43.9 μS/㎝인데, 유출수는 506.4±52.9 μS/㎝로 다소 낮아졌다. DO도 유입수가 6.0±1.7 mg/L, 유출수는 5.3±2.3 mg/L로 다소 낮아졌다. 이와 같이 DO는 대부분 유입수에 비해 유출수에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습지를 지나는 동안 미생물이 오염물질을 분해하면서 용존산소를 소비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유입수와 유출수 모두 농업용수 수질기준인 2.0 mg/L 이상을 유지하고 있었다. SS는 유입수가 5.9±4.6 mg/L이었는데, 유출수는 7.2±5.3 mg/L로 유출수에서 높아졌다. 이와 같이 유출수에서 SS농도가 높아진 것은 하수처리수 방류수이기 때문에 유입수 자체의 농도가 매우 낮고, 또한 접촉여재를 채운 직후에는 접촉여재 부스러기가 유출되기도 하여 유출수에서 다소 높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인공습지 유출수의 SS농도가 모두 농업용수 수질기준인 15 mg/L 이하이기 때문에 농업용수로 이용하는데 문제가 없는 수준이다. SS정화효율을 살펴보면 유입수 자체의 농도가 매우 낮아 유입부하량이 4.1 kg/d로 낮았는데, 유출부하량은 4.6 kg/d로 높아졌다. 유기물 지표 중 하나인 BOD는 유입수가 3.4±1.4 mg/L, 유출수가 2.8±1.9 mg/L로 유출수에서 낮아졌다. BOD 정화효율을 살펴보면 유입부하량은 2.1 kg/d, 유출부하량은 1.7 kg/d로 20.2 %의 정화효율을 보였다. COD는 유입수가 10.6±2.8 mg/L였는데, 유출수는 9.0±3.3 mg/L로 낮아졌고, 부하량도 유입부하량이 6.6 kg/d이고, 유출부하량이 5.6 kg/d로써 14.7 %의 정화효율을 보였다. T-N은 유입수가 10.3±3.1 mg/L, 유출수가 7.6±3.3 mg/L로 유출수에서 낮아졌다. T-N 정화효율을 살펴보면, 부하량은 5.8 kg/d가 유입되고 4.7 kg/d가 유출되어 19.8 %의 정화효율을 보였다. T-P는 유입수가 1.93±0.94 mg/L였는데, 유출수는 1.45±0.80 mg/L로 낮아졌고, 부하량은 유입수가 1.02 kg/d인데, 유출수는 0.91 kg/d로 낮아져 10.2 %가 정화되었다. 이와 같이 지하흐름 인공습지가 유기물 및 영양염류를 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계획체류시간이 2시간으로 짧기 때문에 정화효율이 낮다. 본 지구는 지표흐름 인공습지, 침강지 등을 4개소, 지하흐름 인공습지를 1개소 설치하였는데, 지하흐름 인공습지에서 이 정도 정화되면 저수지가 목표수질을 만족하는 것으로 예측되어 체류시간을 2시간으로 계획하였으므로 타 지구에 적용시에는 체류시간을 충분히 검토하여야 한다.

      • 인공습지를 이용한 농어촌지역 소규모 하수처리시설

        김형중 ( Hyungjoong Kim ),권태영 ( Taeyoung Kwun ) 한국농공학회 200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9 No.-

        농어촌지역의 하수를 처리하기 위하여 계단형 상하흐름 인공습지를 개발하고, 충청남도의 농촌지역에 설치하였다. 계단형 상하흐름 인공습지는 바닥을 계단형으로 구성하여 단계적으로 낮아지도록 함으로서 상하류의 수두차에 의해 하수가 잘 흐를 수 있도록 하였다. 질소제거효율을 높이기 위해 호기성조건과 혐기성조건이 연속적으로 조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하흐름형으로 구성하였다. 하수가 인공습지의 표면을 흐를 때에는 대기와의 접촉에 의한 재폭기가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식물의 기공과 뿌리를 통하여 근권에 산소가 공급되기 때문에 표면부에는 호기성상태가 유지되어 질산화가 이루어진다. 하수가 바닥 쪽으로 내려가면 산소의 공급이 없어 혐기성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탈질작용이 일어난다. 또한 물이 상하로 흐르도록 함으로서 접촉여재와 물이 접촉하는 길이를 길게 하여 여과효율을 높일 수 있다. 충청남도의 SW마을과 SP마을에 계단형 상하흐름 인공습지를 설치하고 유입수와 유출수의 수질을 모니터링하였다. SW마을하수도의 유입수농도는 BOD가 126.5mg/L, COD가 82.5mg/L, SS가 121.6mg/L, TN이 46.0mg/L, TP가 4.6mg/L, 대장균군이 85,080마리/mL이었다. 유출수는 각각 5.4mg/L, 10.4mg/L, 3.1mg/L, 16.4mg/L, 2.2mg/L, 340마리/mL로서 모두 1일 하수처리용량 50㎥ 미만인 소규모 하수처리시설의 방류수 수질기준을 만족하였다. 이때 항목별 정화효율은 BOD가 95.7%, COD가 87.4%, SS가 97.4%, TN이 64.4%, TP가 52.8%, 대장균군이 99.6%이다. SP마을도 처리수는 BOD가 4.7mg/L, COD가 5.2mg/L, SS가 1.2mg/L, TN이 13.2mg/L, TP가 1.6mg/L, 대장균군이 53마리/mL로 낮아져 모두 방류수 수질기준을 만족하였다. The up-and down-constructed wetlands were developed for rural wastewater treatment. According to the monitoring results the effluent concentrations of SS, BOD, TN, and TP were 3.1mg/L, 5.4mg/L, 16.4mg/L and 2.2mg/L, respectively. Therefore, removal efficiencies of SS, BOD, TN and TP in this system were 97.4%, 95.7%, 64.4% and 52.8%, respectively.

      • 이동저수지 유역의 강우시 수질특성

        김형중 ( Hyungjoong Kim ),오승태 ( Seoungtae Oh ),홍대벽 ( Daebyuk Hong ) 한국농공학회 200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9 No.-

        경기도 용인시에 위치한 이동저수지 유역에서 강우시 조사기간 동안에 총 46.4mm의 강우가 내렸는데, 7시간 경과한 후에 유량이 15.0㎥/s로 1차 피크를 보인 후 감소되었다. 그 후 13시간 경과한 후에 19.8㎥/s의 2차 피크를 보였다. 강우가 시작되면서 씻김 현상에 의하여 SS농도가 높아져 유량의 1차 피크시 SS농도도 피크를 보이고 강우가 소강상태일 때에는 다시 급격히 낮아졌다. 그 뒤 다시 강우가 시작되면서 급격히 높아져 2차 유량 피크 1시간전에 SS도 2차 피크를 보이고 급격히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COD도 SS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강우에 의해 토양표면이 박리되고 물의 흐름에 의해 씻겨 내려오는 토사의 이동 때문이다. TN의 경우는 강우가 시작되면서 농도가 낮아져 유량의 1차 피크시에는 더욱 낮아지고, 유량의 2차 피크시에도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유량증가에 따른 희석효과로 판단되며, TN은 유량의 변화와 큰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N중에서 차지하는 태별 비율이 88.4%로 가장 높은 NO<sub>3</sub>-N이 토양에 잘 흡착되지 않아 토사와 같이 유동하지 않는 특성 때문이다. TP는 유량의 변화와 같은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토양에 잘 흡착되어 토양과 함께 유동하는 PO<sub>4</sub>-P의 성질 때문이다. 즉, TP중 82.1%로 대부분을 차지하는 PO<sub>4</sub>-P는 토양에 잘 흡착되기 때문에 SS성분의 유출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다. 강우시 부하량은 유량의 변화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유량과 부하율의 관계는 SS는 L(kg/hr) = 40.587Q<sup>1.3623</sup> 이고 R<sup>2</sup>=0.4433, COD는 L(kg/hr) = 15.103Q<sup>1.12</sup>이고, R<sup>2</sup>=0.7756, TN은 L=7.6575Q<sup>0.9046</sup>이고 R<sup>2</sup>는 0.9807, TP는 L=0.1375Q<sup>1.3838</sup>이고 R<sup>2</sup>=0.773을 나타냈다.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investigation into water quality and quantity in Idong reservoir watershed during rainfall it has demonstrated that concentration of SS, BOD, COD, and TP showed a similar change tendency to discharge, but TN had hardly interrelationship with discharge.

      • 인공습지의 수질정화특성 분석

        김영경 ( Yeongkyung Kim ),김형중 ( Hyungjoong Kim ),함종화 ( Jonghwa Haam ) 한국농공학회 200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9 No.-

        충남 당진군 석문간척지에 위치한 인공습지에서 식재식물에 따른 수질정화 효과를 실험하였다. 인공습지 식재 식물로는 갈대와 애기부들을 이용하였으며, 개방구역과 식생구간을 조합하여 시험포를 구성하였다. 식재습지 각 셀 규모는 910㎡ (13m×70m)이며, 단독시험포는 무식재, 갈대, 애기부들구간으로 구성하였으며, 복합시험포는 갈대+애기부들, 무식재+갈대, 갈대+무식재구간으로 구성하였다. 2001년 습지 조성이후 식생식물을 인공적으로 제거하지 않고 인공습지를 운영하고 있다. 인공습지 유입수는 당진천으로부터 하천수를 펌핑하여 이용하였으며, 2008년 유입수 수질 평균값은 COD 9.0㎎/ℓ, SS 24.1㎎/ℓ, T-N 3.387㎎/ℓ, T-P 0.184㎎/ℓ이다. 단독형시험포에서 COD 처리효율은 식재식물종간 차이는 없었으나 식재여부에 따른 유의적 차이가 나타났다. 단독시험포에서 TN처리효율은 평균 59.4%로 비교적 높은 제거효율을 나타냈으나 식재여부나 식재 식물종에 따른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TP제거효율도 식재여부나 식재식물에 의한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미식재구간에서 산술적으로 약간 높았다. SS처리효율도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수질정화효율과 인자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COD처리효율은 체류일수와 유의적 상관관계가 있었다(Peason 상관계수 0.474). 복합시험포에서 TN은 수생식물 배열에 관계없이 60%이상의 안정적인 제거효율을 나타냈다. TP 처리효율은 미식재구간이 후반부에 있는 처리구에서 57.8% 가장 높았으며 식생배열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SS는 모든 처리구에서 80%이상 높은 처리효율을 나타냈으며 식생배열에 따른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전체 처리구간에서 유출수 COD 농도는 유입수 농도보다 높았다. 총질소 처리효율은 55.5~76.8%, 총인 처리효율은 39.8~57.0%, 부유물질 처리효율은 63.1~92.0%였다. 무식재구간이 있을 경우 유출수의 용존산소량이 유의적 수준에서 높았다. 단독시험포와 복합시험포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오염물질제거효율과 인자들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유의적 수준에서 COD처리효율은 체류일수와 상관관계(상관계수 -0.910)가 있었고, 총질소 처리효율은 갈대구간체적과 상관관계(상관계수 0.818)가 있었으며, 총인 처리효율은 식재구간체적과 상관관계(상관계수 -0.871)가 있었다. 식생식물과 식생배열에 수질정화효율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각 오염물질 제거효율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COD제거효율 = -13.299 + 0.035 X<sub>1</sub> -0.035 X<sub>2</sub> (X<sub>1</sub> : 미식재구간체적(㎥), X<sub>2</sub> : 체류일수(day), R<sup>2</sup> : 0.928), 총질소제거효율 = 54.996 + 0.056 X<sub>1</sub> + 0.016 X<sub>2</sub> + 0.437 X<sub>3</sub> (X<sub>1</sub> : 갈대식생체적(㎥), X<sub>2</sub> : 애기부들식생체적(㎥), X<sub>3</sub> : 체류일수(day), R<sup>2</sup> : 0.969), 총인제거효율 = = 51.992 + 0.018 X<sub>1</sub> -0.046 X<sub>2</sub> (X<sub>1</sub> : 미식재구간체적(㎥), X<sub>2</sub> : 식재구간체적(㎥), R<sup>2</sup> : 0.935), SS제거효율= 51.370 + 0.127 X<sub>1</sub> + 0.051 X<sub>2</sub> -1.230 X3 (X<sub>1</sub> : 식생식재체적(㎥), X<sub>2</sub> : 미식재체적(㎥), X<sub>3</sub> : 체류일수(day), R<sup>2</sup> : 0.935). 4종의 오염물질에 대한 다중회귀분석결과가 얻어졌으므로 그 식을 이용하여 체류시간과 유입량을 일정 수준으로 설정하여 각오염물질에 대한 제거효율과 단위면적당 제거량을 추정하였다. 추정된 수질정화효율과 제거량을 근거로 복합시험포의 무식재+갈대처리구와 길대+무식재 구간에서 가장 효율이 좋음을 알 수 있었으며, 유출수의 용존산소량까지 고려한다면 길대+무식재구간이 가장 바람직한 식재 방법이라 판단된다.

      • 장기간 운영된 인공습지의 비점오염저감효율 분석

        김준식 ( Joon-sik Kim ),윤춘경 ( Chun-gyeong Yoon ),손영권 ( Yeongkwon Son ),김형중 ( Hyungjoong Kim ),정지연 ( Jiyeon Jung ) 한국농공학회 2011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1 No.-

        농지배수를 처리하기 위해 조성된 인공습지에서 구조 및 계절에 따른 인공습지의 유입수 및 유출수의 질소 농도 및 처리효율을 장기간에 걸쳐 분석하였다. 연구대상 지역은 충청남도 당진군 석문면에 위치한 자유수면형 인공습지이며, 인공습지를 이용한 비점오염원 제어효율을 검증하기 위해 2001년에 습지와 유수지를 각각 4개씩 조성하였다. 인공습지의 유입수는 간척농지 배수 및 석문담수호로 유입되는 하천수를 펌핑하여 사용하였으며, T-N과 T-P의 평균 유입수 농도는 각각 4.67 mgㆍL<sup>-1</sup>와 0.43 mgㆍL<sup>-1</sup>를 나타내었다. 습지의 수심은 웨어를 이용하여 생장기(3∼11월)와 동절기(12∼2월)에 각각 0.3 m와 0.5 m로 유지하였으며, 체류시간은 습지와 유수지에서 각각 2∼10일과 1∼5일을 유지하였다. COD<sub>Mn</sub>의 농도는 유수지와 습지에서 유사하게 유지되었으며, 시스템에 따른 처리효율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5번 시험포를 제외한 모든 시스템에서 유출수의 농도는 10 mg/L 전후를 유지하고 있어, 습지의 배경농도로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높은 농도의 유입수가 유입된다면 처리효율이 높아질 것으로 판단된다. T-N의 경우 2010년 인공습지 시스템의 처리효율은 1, 2, 3, 4번 시험포가 각각 62.6%, 61.9%, 64.5%, 60.2%로 높은 처리효율을 보였으며, 2009년은 각각 75.8%, 57.0%, 57.4%, 51.3%로 습지-유수지 시스템 또는 유수지-습지 시스템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2010년의 경우에도 각 시험포가 74.5%, 68.2%, 69.4%, 73.8%로 높은 처리효율을 보였으며, 장기간 운영된 인공습지에서 습지바닥에 이탄층이 적절히 조성되었을 경우 높은 질소처리효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P의 2010년 전체 인공습지 시스템의 처리효율은 개방수역을 설치하지 않은 1번, 2번 습지의 경우 -25.4%와 -23.9%의 처리효율을 보였으며, 설치한 3번과 4번 습지의 경우 각각 50.1%와 14.2%의 처리효율을 보였다. 습지의 처리효율은 1, 2, 3, 4번 습지가 각각 -73.4%, -6.2%, 22.8%, 15.9%로 측정되었으며, 유수지의 처리효율은 27.7%, -16.7%, 35.4%, -2.0%로 나타났다. 개방수역을 설치하지 않은 1번과 2번 시험포의 경우 습지가 장기간 운영되면서 습지 수체내의 용존산소부족으로 인한 인의 재부유로 인하여 처리효율이 낮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에 개방수역을 설치한 3번과 4번 시험포의 경우 적절한 DO농도 유지를 통한 인의 용출을 억제한 것으로 판단된다.

      • 반월저수지에서 Chl-a와 영향인자간의 상관성 및 조류발생 특성

        이태호 ( Taeho Lee ),김형중 ( Hyungjoong Kim ),김미리내 ( Mirine Kim ) 한국농공학회 2014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4 No.-

        농업용 저수지에서 조류발생 특성 및 영향인자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반월저수지를 대상으로 2013년도에 조사를 실시하였다. 반월저수지에서 자기상관함수 그래프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보아 Chl-a 시계열 데이터는 추세성을 가지나 계절성은 갖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1일 전·후의 자료 간에 가장 상관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고, 편자기상관분석 결과 1차의 편자기 상관계수만이 큰 것으로 나타나 1일 전의 값이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Chl-a와의 상관성이 높은 영향인자를 살펴보기 위하여 수온, EC, pH, DO, 탁도, 수위와 Chl-a간 교차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EC, pH, DO가 Chl-a와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Chl-a와 EC, pH, DO는 1~2차의 교차상관계수가 큰 것으로 나타나 1~2일의 차이를 두고 변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Chl-a와 기상인자간의 상관성을 살펴보면 일사량, 풍속, 습도가 다른 기상인자에 비해 Chl-a와 다소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월저수지의 조류발생 특성을 살펴보면 4월에는 갈편모조류가, 5월에는 녹조류가 우점한 반면 남조류는 출현하지 않았다. 6월에도 녹조류가 우점하였으나 남조류도 많아지기 시작하여 8월과 9월에는 남조류가 우점하였다. 총조류수는 4월이 1,360 cells/mL이었는데, 이후 5월에는 2,640 cells/mL, 6월에는 12,500 cells/mL로 증가한 뒤, 8월에는 115,280 cells/mL로 피크를 보이고 9월에는 27,720 cells/mL로 줄어들었다. 시기별 종조성을 보면 4월에는 갈편모조류인 Rhodomonas sp.가 920 cells/mL로 우점하였고, 다음으로 녹조류인 Scenedesmus spp.와 Nitzschia spp.가 같은 160 cells/mL이고 남조류는 출현하지 않았다. 5월에도 남조류는 출현하지 않고, 녹조류인 Micractinium pusillum가 1,000 cells/mL로 우점하고, 다음으로 같은 녹조류인 Pediastrum duplex가 많이 출현하였다. 6월에는 녹조류인 Scenedesmus spp.가 5,600 cells/mL로 우점하였다. 다음으로 앞에서는 출현하지 않았던 남조류가 출현하였는데, 종은 Microcystis sp.가 4,000 cells/mL로 많이 출현하였다. 조류가 가장 많이 출현한 8월에는 남조류인 Microcystis sp.가 107,200 cells/mL로 우점하였고, 다음으로 같은 남조류인 Oscillatoria sp.가 7,440 cells/mL 출현하여 남조류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그 외 갈편모조류인 Rhodomonas sp.가 320 cells/mL, Cryptomonas ovata가 80 cells/mL, 규조류인 Navicula spp.가 160 cells/mL 출현하였다. 9월에도 남조류인 Microcystis sp.가 24,000 cells/mL로 우점하였으나, 다른 시기에 비해 다양한 조류가 출현하였다. 출현종으로는 남조류인 Anabaena sp.가 480 cells/mL, 갈편모조류인 Cryptomonas ovata가 120 cells/mL, Rhodomonas sp.가 120 cells/mL, 녹조류인 Eudorina elegans가 960 cells/mL, Golenkinia radiata가 120 cells/mL, Pediastrum duplex가 480 cells/mL, Scenedesmus spp.가 480 cells/mL, 규조류인 Aulacoseira ambigua가 360 cells/mL, Nitzschia spp.가 240 cells/mL, Stephanodiscus sp.가 240 cells/mL 등 다양하게 출현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