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70세 이상 고령의 고관절부 주위 골절 발생의 위험인자

        고덕환 ( Duk Hwan Kho ),김형준 ( Hyeung June Kim ),김응식 ( Eung Sik Kim ),김동헌 ( Dong Heon Kim ) 대한고관절학회 2008 Hip and Pelvis Vol.20 No.3

        목적: 고령에서 발생한 고관절부 골절과 관련된 여러 요인들을 분석하여 예측 가능한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1월에서 2007년 1월까지 낮은 에너지 손상에 의한 고관절부 골절로 내원한 70세 이상의 환자 172(A군)명을 대상으로 골밀도, 동반질환, 비만도, ADL 평가 지수를 분석하였다. 대조군(B군)으로 나이와 성별을 고려하고 골절의 과거력이 없는 환자 180명을 비교하였다. 결과: 다변량의 로지스틱 회귀분석상에서 여성, 낮은 골밀도, 높은 일상생활 의존도, 뇌혈관 질환, 슬관절염이 고관절부 골절과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결론: 여성, 낮은 골밀도, 높은 일상생활 의존도가 고령의 고관절부 골절의 고 위험인자이며, 또한 슬관절염과 고관절부 골절과의 통계학적 중요성은 낙상과 관련되어 또 다른 독립된 위험인자로 사료된다. Purpose: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case-control study to evaluate the factors predictive of hip fractures in elderly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We studied 172 patients age 70 years or older who sustained hip fractures with minor injuries between January 2002 and January 2007. We analyzed bone mineral density, comorbidities, body mass index, and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scale. One hundred eighty patients (control subjects) with no history of fracture were matched to the study subjects with respect to age and sex. Results: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showed that female sex, low bone mineral density, high ADL scale, cerebral vascular attack, and knee osteoarthritis were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incidence of hip fracture. Conclusion: Female sex, low bone mineral density, and high ADL scale were related to hip fractures in the elderly. Knee osteoarthritis should be regarded a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fractures because of an increased risk of falling.

      • KCI등재

        고령의 대퇴 경부 골절 환자에서 시행한 양극성 반치환술

        신주용 ( Ju Yong Shin ),김형준 ( Hyeung June Kim ),김응식 ( Eung Sik Kim ),김동헌 ( Dong Heon Kim ) 대한고관절학회 2008 Hip and Pelvis Vol.20 No.3

        목적: 고령의 대퇴 경부 골절 환자에 대한 양극성 반치환술 후 추시 관찰한 결과를 분석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3월부터 2005년 3월까지 75세 이상 대퇴 경부 골절 환자 중, 양극성 반치환술 시행 후 2년 이상 추시가능하였던 18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84.3(75~99)세였고 남자가 48예(26%), 여자가 138예(74%)였으며 추시 기간은 68.4(24~113)개월이었다. Modified Harris 고관절 점수, 보행능력, 일상 생활 활동력, 합병증, 골다공증 등을 분석하여 임상적 평가와 방사선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결과: Modified Harris 고관절 점수는 89.2(74~95)점이었고 보행시작 시기는 6.5(3~9)일이었다. 163예(87.6%)에서 수상 전보행능력을 회복하였으며 159예(85.4%)에서 수상 전 일상 생활 활동력이 가능하였다. 비구컵의 전이 3예, 무균성 해리 3예가 시멘트형 주대에서 발생했고, 대퇴부 동통은 시멘트형 주대 8예, 무시멘트형 주대 4예에서 발생하였다. 결론: 고령의 대퇴 경부 골절 환자에 시행한 양극성 반치환술은, 추시 결과상 안정된 주대 및 견고한 골절부 고정으로 조기보행, 합병증 감소와 낮은 사망률을 나타내므로 적절한 주대 선택과 숙련된 기술로 시행된다면, 골다공증과 분쇄 골절이 심한 고령의 환자에 유용한 치료방법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evaluate outcomes after treatment of femoral neck fractures in patients 75 years of age or older.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the records of 186 patients 75 years of age or older who underwent bipolar hemiarthroplasty between March 1995 and March 2005 and who were followed for more than two years after surgery. The mean patient age was 84.3 years (range 75~99 years). Forty-eight patients were men, and 138 patients were women.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68.4 months (range 24~113 months). We evaluated the results by analyzing modified Harris hip score, walking ability, activities of daily living, complications, osteoporosis, and radiologic findings. Results: The mean Harris hip score was 89.2 (range 74~95). Walking ability was recovered in 87.6% of cases (163 cases),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were achieved in 85.4% of cases (159 cases). There were 3 cases of acetabular erosion or proximal migration and 3 cases of aseptic loosening in a cemented stem. Thigh pain occurred in 8 cemented stems and in 4 cementless stems. Conclusion: We believe bipolar hemiarthroplasty is a useful treatment in elderly patients with femoral neck fractures and severe osteoporosis, especially in view of the stable and rigid fixation of the femoral stem, early ambulation, and the low rate of complications and death, even if the operation is technically very difficult.

      • KCI등재

        나비형 골편을 동반한 상완골 간부 골절에서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과 금속판 고정술의 결과 비교

        고덕환 ( Duk-hwan Kho ),김형준 ( Hyeung-june Kim ),김병민 ( Byoung-min Kim ),황현룡 ( Hyun-ryong Hwang ) 대한스포츠의학회 2016 대한스포츠의학회지 Vol.34 No.2

        First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results of the intramedullary nail fixation and plate fixation for the management of humeral shaft fracture with butterfly fragments. Second aim of this study was to appraise the necessity of anatomical reduction and fixation for butterfly fragment in humeral shaft fracture. Thirty-one patients with comminuted humeral shaft fracture were treated by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with intramedullary nail or plate. The criteria for inclusion were AO classification type B, follow-up period more than 12 months, diaphyseal fracture without involvement of joints. Eighteen patients underwent intramedullary nail fixation and 13 by plate fixation. The outcome was assessed in terms of the union rate, union time, incidence of complications, and functional outcome of shoulder joint. The union rate was 94.4% in intramedullary nail group and 100% in plate group. The average union time was found to b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score and range of motion of shoulder and elbow joint between the two groups in last follow-up (p>0.05). The union rate and average union time and functional outcome of shoulder joint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intramedullary nail fixation and plate fixation for the management of humeral shaft fracture with butterfly fragments. It is recommended to select skillful technique to avoid technical errors rather than technique to fix of butterfly fragments.

      • KCI등재

        고령의 고관절부 골절 환자에서 대퇴거 대치형 주대를 사용한 양극성 반치환술

        고덕환 ( Duk Hwan Kho ),김기환 ( Ki Hwan Kim ),김형준 ( Hyeung June Kim ),김동헌 ( Dong Heon Kim ) 대한골절학회 2008 대한골절학회지 Vol.21 No.3

        목적: 고령의 고관절부 골절 환자에서 대퇴거 대치형 주대를 사용한 양극성 반치환술 후 추시 관찰한 결과를 분석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3월부터 2005년 3월까지 75세 이상 고관절부 골절 환자 중 대퇴거 대치형 주대를 사용하여 양극성 반치환술 시행 후 2년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68예 (66명)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퇴 경부 골절은 하경부 골절 32예를 대상으로 하였고 전자간 골절은 Evans 분류상 불안정성 골절인 3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Modified Harris 고관절 점수, 보행 능력, 일상 생활 활동력, 합병증, 골다공증 등을 분석하여 임상적 평가와 방사선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걸과: Modified Harris 고관절 점수는 대퇴 경부 골절에서 88.3 (69~95)점, 전자간 골절에서는 83.5 (63~91)점이었다. 56예 (82.3%)에서 수상 전 보행능력을 회복하였으며 56예 (82.3%)에서 수상 전 일상 생활 활동력이 가능하였다. 술 후 합병증으로는 대퇴부 동통, 수직 침강, 해리, 응력방패 (Stress shield) 현상 등이 나타났으나 임상적 의의는 없었다. 결론: 대퇴거 대치형 주대를 사용한 양극성 반치환술은 추시 결과상 안정된 주대 및 견고한 골절부 고정으로 조기보행과 합병증 감소를 가능하게 하므로 숙련된 기술로 시행된다면 골다공증과 분쇄 골절이 심한 고령의 환자에 유용한 치료방법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results of bipolar hemiarthroplasty using calcar replacement stem for hip fractures in elderly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March 1995 and March 2005, the clinical records on 68 cases more than 75 years old who underwent the bipolar hemiarthroplasty using calcar replacement stem and followed minimum 2 years were reviewed. We evaluated the results by modified Harris hip score, walking ability, activity of daily living, complications, osteoporosis and radiologic findings. Results: The mean postoperative modified Harris hip score was 88.3 (69~95) in femoral neck fractures and 83.5 (63~91) in femoral intertrochanteric fractures. Walking ability was recovered in 82.3% (56 cases)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was achived in 82.3% (56 cases). Complications were thigh pain, infection, femoral stem subsidence, stress shield, dislocation. Conclusion: We consider bipolar hemiarthroplasty using calcar replacement stem for unstable hip fractures in elderly patients with severe osteoporosis is the useful treatment in view of the stable and rigid fixation, early ambulation and the low rate of complications, even if the operation is technically very difficult.

      • KCI등재

        고령의 단계적 양측 고관절부 골절의 임상적 형태분석

        고덕환(Duk-Hwan Kho),신주용(Ju-Yong Shin),김형준(Hyeung-June Kim),김동헌(Dong-Heon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4 No.3

        목적: 고령의 환자에서 시간적 차이가 있는 양측성 고관절부 골절 환자에 있어서, 단계적 양극성 반치환술 시행 후 임상적 형태를 분석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3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시간적 차이가 있는 양측성 고관절부 골절로 단계적 양극성 반치환술을 시행한 75세 이상 고령의 환자 중, 2년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21명을 대상으로 보행능력, 일상생활 활동능력, 골절 원인 및 형태, 동반 질환 및 관절 증상 등을 분석하여 임상적 평가와 방사선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결과: 선행 골절 18예, 이차 골절 14예에서 수술 전 보행능력을 회복하였고, 기본 생활 활동능력은 선행 골절 14예, 이차 골절 14예에서 가능하였다. 이차 골절의 수상 원인은 실족 20예, 낙상 1예였다. 동반 관절 증상은 요통 14예, 내반 변형 슬관절염 11예, 견관절염 8예, 무지 외반증 5예였고, 동반 질환은 심혈관계 질환 16예, 당뇨 11예, 뇌혈관 질환 8예, 폐질환 3예였다. 다른 선행 골절 병력은 요추 압박 골절 11예, 족관절 골절 6예, 요골 원위부 골절 5예, 골반 치골지 골절 2예였다. 결론: 고령의 시간적 차이가 있는 양측성 고관절부 골절의 임상적 형태 연구에서 실족과 낙상의 예방이 중요하였고, 이를 위해 치료 가능한 동반 질환 및 동반 관절 증상에 대한 예방적 치료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Purpose: We wanted to evaluate the clinical features after treating of bilateral sequential hip fractures in the elderly.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the clinical records of 21 patients who were older than 75 years and who underwent bilateral bipolar hemiarthroplasty for sequential hip fractures between March 1999 and November 2005. The minimum follow up period was 2 years. We analyzed the results by conducting radiological and clinical evaluations such as assessing the patient's walking ability,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e mechanism of fracture and the associated medical conditions and arthritis. Results: Walking ability was recovered by 18 cases of primary fracture and by 14 cases of sequential fracture. Return to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was achieved by 14 cases of primary fracture and by 14 cases of sequential fracture. The fracture mechanism was a fall/slip in 20 cases and a fall from a height in 1 case. The associated arthritis was in the spine in 14 cases, the knee in 11 cases, the shoulder in 8 cases and Hallux valgus in 5 cases, and the associated medical conditions were mainly urge incontinence in 17 cases and cardiovascular disease in 16 cases. The other previous fractures were spine compression fracture in 11 cases, ankle fracture in 6 cases, distal radius fracture in 5 cases and pelvic ramus fracture in 2 cases. Conclusion: Preventing recurrent falls plays a role in preventing bilateral sequential hip fractures. We think that the treatment of curable associated medical conditions and arthritis is necessary to prevent recurrent falls.

      • KCI등재

        고령의 불안정성 대퇴 전자부 골절 환자에서 대퇴거 대치형 주대를 사용한 인공 고관절 반치환술

        고덕환 ( Duk Hwan Kho ),남경모 ( Kyoung Mo Nam ),강대명 ( Dae Myung Kang ),김형준 ( Hyeung June Kim ) 대한고관절학회 2013 Hip and Pelvis Vol.25 No.3

        목적: 고령의 불안정성 대퇴 전자부 골절 환자에서 대퇴거 대치형 주대를 사용한 인공 고관절 반치환술 후 추시 관찰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3월부터 2008년 3월까지, 불안정성 대퇴 전자부 골절로 대퇴거 대치형 주대를 이용하여 인공 고관절 반치환술을 시행하고 전자부 분쇄 골절에 대해 8자 및 원형 강선술을 시행한 75세 이상의 환자 중, 24개월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79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82.4세(75-92세)였고 추시 기간은 평균 68개월(24-92개월)이었다. 결과: 술 후 modified Harris 고관절 점수는 82.1점(62-92점)이었고, 56예(71%)에서 수상 전 보행 능력을 회복하였다. 최종 추시 시, 대퇴 주대의 고정상태는 골성고정 70예(89%), 섬유성 안정고정 9예(11%)를 나타냈고, 응력 방패현상은 21예(27%)에서 나타났다. 전자부의 불유합은 3예(4%)에서 나타났고 전자부 유합 후 3예에서 강선 파열이 관찰되었다. 전자부 골절의 평균 골유합 기간은 16.3주 (12-38주)였다. 1예에서 무균성 해리가 관찰되었고 2예에서 골두의 비구돌출이 나타났다. 결론: 고령의 불안정성 대퇴 전자부 골절 환자에 시행한 대퇴거 대치형 주대를 이용한 무시멘트 인공 고관절 반치환술은 추시 결과 만족스러운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나타내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esults of bipolar hemiarthroplasty using calcar replacement stem for comminuted intertrochanteric fracture in elderly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March 1998 and March 2008, the clinical records of 79 cases who were older than 75 years of age and underwent bipolar hemiarthroplaty, using calcar replacement stem with figure of eight and cerclage wiring, were reviewed. Their mean age was 82.4 years(75-92 years) an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68 months(24-92 months). Results: The mean postoperative Harris hip score was 82.1(62-92), and preoperative walking ability was recovered in 56 cases(71%). Bony ingrowth fixation was achieved in 70 cases(89%), and fibrous stable fixation was in 9 cases(11%). Stress shields were revealed in 21 cases(27%). Nonunion of trochanter was found in 3 cases(4%), and wire fixation breakages were in 3 cases after bony union. The mean duration of bony union was 16.3 weeks(12-38 weeks). Aseptic loosening was observed in 1 case and protrusio acetabuli were in 2 cases. Conclusion: The result of clinical and radiological evaluations of bipolar hemiarthroplasty, using calcar replacement stem with figure of eight and cerclage wiring, were satisfactory in elderly patients with comminuted intertrochanteric fracture.

      • KCI등재

        고령의 고관절부 골절 환자에서 인공 고관절 반치환술 후 사망률 분석

        고덕환 ( Duk Hwan Kho ),남경모 ( Kyoung Mo Nam ),오성학 ( Sung Hak Oh ),김형준 ( Hyeung June Kim ) 대한고관절학회 2013 Hip and Pelvis Vol.25 No.4

        목적: 고령의 고관절부 골절환자에서 인공 고관절 반치환술 시행 후 발생한 사망률과 관련된 인자를 분석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3월부터 2010년 3월까지 고관절부 골절로 인공 고관절 반치환술을 시행한 75세 이상의 환자 246명 278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연령은 83.7세(75-103세)였다. 연령, 성별, 골절 형태, 동반 질환, ASA 등급, 골밀도, 수술 시기, 보행능력, 거주형태를 조사하여 수술 후 1년 내사망과 관련이 있는 인자들을 사망군과 비사망군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후 1년 사망률은 17.2%(48예)였고, 술 후 3개월까지 9.7%(27예), 4개월에서 6개월까지 5.4%(15예), 7개월에서 1년까지 2.1%(6예)였다. 수술 후 1년 사망률은 지연된 수술, 높은 ASA 등급, 보행능력, 거주 형태 등의 영향을 받았으나 연령, 성별, 골밀도, 골절 형태 등과의 유의한 관계는 없었다. 결론: 고령의 고관절부 골절 환자에서 양극성 반치환술 후 사망률 연구에서 ASA 등급, 수술 시기, 보행 능력, 거주형태가 중요한 인자로 나타났다.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the rate of mortality and analyzed the associated risk factors in elderly patients treated with bipolar hemiarthroplaty for the hip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March 1994 and March 2010, the clinical records of 246 patients(278 cases) older than 75 years of age who underwent bipolar hemiarthroplaty after hip fractures were reviewed.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83.7 years(75-103 year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toperative one year mortality and the related factors (age, gender, type of hip fractures, the timing of surgery, the associated medical condition, ASA grade, osteoporosis, walking ability and residence type) were analyzed.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e dead group and survivor group. Results: The mean postoperative mortality rate within 1 year was 17.2%(48 cases). The highest mortality rate was observed at postoperative 3 months(9.7%, 27 cases), followed in order by between 4 and 6 months(5.4%, 15 cases) and 7 and 12 months(2.1%, 6 cases). The postoperative mortality rate within 1 year was affected by the timing of the operation, ASA grade, patient`s walking ability, and residence type,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other factors, such as age, gender, osteoporosis, and type of hip fractures. Conclusion: The ASA grade, timing of the operation, walking ability, and residence type ar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mortality rate in elderly patients with hip frac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