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령의 불안정성 대퇴 전자부 골절 환자에서 대퇴거 대치형 주대를 사용한 인공 고관절 반치환술

        고덕환 ( Duk Hwan Kho ),남경모 ( Kyoung Mo Nam ),강대명 ( Dae Myung Kang ),김형준 ( Hyeung June Kim ) 대한고관절학회 2013 Hip and Pelvis Vol.25 No.3

        목적: 고령의 불안정성 대퇴 전자부 골절 환자에서 대퇴거 대치형 주대를 사용한 인공 고관절 반치환술 후 추시 관찰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3월부터 2008년 3월까지, 불안정성 대퇴 전자부 골절로 대퇴거 대치형 주대를 이용하여 인공 고관절 반치환술을 시행하고 전자부 분쇄 골절에 대해 8자 및 원형 강선술을 시행한 75세 이상의 환자 중, 24개월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79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82.4세(75-92세)였고 추시 기간은 평균 68개월(24-92개월)이었다. 결과: 술 후 modified Harris 고관절 점수는 82.1점(62-92점)이었고, 56예(71%)에서 수상 전 보행 능력을 회복하였다. 최종 추시 시, 대퇴 주대의 고정상태는 골성고정 70예(89%), 섬유성 안정고정 9예(11%)를 나타냈고, 응력 방패현상은 21예(27%)에서 나타났다. 전자부의 불유합은 3예(4%)에서 나타났고 전자부 유합 후 3예에서 강선 파열이 관찰되었다. 전자부 골절의 평균 골유합 기간은 16.3주 (12-38주)였다. 1예에서 무균성 해리가 관찰되었고 2예에서 골두의 비구돌출이 나타났다. 결론: 고령의 불안정성 대퇴 전자부 골절 환자에 시행한 대퇴거 대치형 주대를 이용한 무시멘트 인공 고관절 반치환술은 추시 결과 만족스러운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나타내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esults of bipolar hemiarthroplasty using calcar replacement stem for comminuted intertrochanteric fracture in elderly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March 1998 and March 2008, the clinical records of 79 cases who were older than 75 years of age and underwent bipolar hemiarthroplaty, using calcar replacement stem with figure of eight and cerclage wiring, were reviewed. Their mean age was 82.4 years(75-92 years) an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68 months(24-92 months). Results: The mean postoperative Harris hip score was 82.1(62-92), and preoperative walking ability was recovered in 56 cases(71%). Bony ingrowth fixation was achieved in 70 cases(89%), and fibrous stable fixation was in 9 cases(11%). Stress shields were revealed in 21 cases(27%). Nonunion of trochanter was found in 3 cases(4%), and wire fixation breakages were in 3 cases after bony union. The mean duration of bony union was 16.3 weeks(12-38 weeks). Aseptic loosening was observed in 1 case and protrusio acetabuli were in 2 cases. Conclusion: The result of clinical and radiological evaluations of bipolar hemiarthroplasty, using calcar replacement stem with figure of eight and cerclage wiring, were satisfactory in elderly patients with comminuted intertrochanteric fracture.

      • KCI등재

        고령의 고관절부 골절 환자에서 인공 고관절 반치환술 후 사망률 분석

        고덕환 ( Duk Hwan Kho ),남경모 ( Kyoung Mo Nam ),오성학 ( Sung Hak Oh ),김형준 ( Hyeung June Kim ) 대한고관절학회 2013 Hip and Pelvis Vol.25 No.4

        목적: 고령의 고관절부 골절환자에서 인공 고관절 반치환술 시행 후 발생한 사망률과 관련된 인자를 분석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3월부터 2010년 3월까지 고관절부 골절로 인공 고관절 반치환술을 시행한 75세 이상의 환자 246명 278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연령은 83.7세(75-103세)였다. 연령, 성별, 골절 형태, 동반 질환, ASA 등급, 골밀도, 수술 시기, 보행능력, 거주형태를 조사하여 수술 후 1년 내사망과 관련이 있는 인자들을 사망군과 비사망군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후 1년 사망률은 17.2%(48예)였고, 술 후 3개월까지 9.7%(27예), 4개월에서 6개월까지 5.4%(15예), 7개월에서 1년까지 2.1%(6예)였다. 수술 후 1년 사망률은 지연된 수술, 높은 ASA 등급, 보행능력, 거주 형태 등의 영향을 받았으나 연령, 성별, 골밀도, 골절 형태 등과의 유의한 관계는 없었다. 결론: 고령의 고관절부 골절 환자에서 양극성 반치환술 후 사망률 연구에서 ASA 등급, 수술 시기, 보행 능력, 거주형태가 중요한 인자로 나타났다.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the rate of mortality and analyzed the associated risk factors in elderly patients treated with bipolar hemiarthroplaty for the hip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March 1994 and March 2010, the clinical records of 246 patients(278 cases) older than 75 years of age who underwent bipolar hemiarthroplaty after hip fractures were reviewed.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83.7 years(75-103 year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toperative one year mortality and the related factors (age, gender, type of hip fractures, the timing of surgery, the associated medical condition, ASA grade, osteoporosis, walking ability and residence type) were analyzed.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e dead group and survivor group. Results: The mean postoperative mortality rate within 1 year was 17.2%(48 cases). The highest mortality rate was observed at postoperative 3 months(9.7%, 27 cases), followed in order by between 4 and 6 months(5.4%, 15 cases) and 7 and 12 months(2.1%, 6 cases). The postoperative mortality rate within 1 year was affected by the timing of the operation, ASA grade, patient`s walking ability, and residence type,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other factors, such as age, gender, osteoporosis, and type of hip fractures. Conclusion: The ASA grade, timing of the operation, walking ability, and residence type ar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mortality rate in elderly patients with hip frac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