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로시간이 공무원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업무자율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현정 ( Hyeonjoung Kim ),최서희 ( Seohee Choi )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8 行政論叢 Vol.56 No.2

        최근 근로기준법 개정을 통하여 그동안 뜨거운 논쟁의 대상이었던 근로시간 단축이 확정되었다. 그 배경에는 우리나라의 세계적으로 긴 근로시간이 가져오는 부작용이 있을 것이다. 실제로 많은 연구에서 장시간 근로가 유발하는 여러 부정적 영향이 보고되었는데 대표적으로 삶에 대한 만족도 저하를 꼽을 수 있다. 근로자의 낮은 삶에 대한 만족도는 낮은 생산성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조직 차원에서 이에 대한 관심과 관리가 필요하다. 특히, 이 연구는 그동안 행복연구에서 거의 논의되지 않던 공무원을 대상으로 높은 근로시간이 삶의 만족도를 저하시키는지를 경험적으로 분석하면서, 두 변수 사이에서 완충역할을 할 수 있는 변수로서 업무자율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해보았다. 분석 결과, 초과근로시간으로 측정된 근로시간이 길수록 공무원의 삶에 대한 만족도는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핵심인 업무자율성의 조절효과는 유의미하게 정(+)의 방향으로 나타나 업무자율성 제고가 근로시간과 삶의 만족도 사이에서 완충기제로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민간부문에 비하여 근로시간 단축이나 초과근로에 대한 외재적 보상 제공에 제약이 있는 공공부문에서 업무특성이나 관리방식의 변화를 통해 조직 구성원의 삶의 만족도 저하라는 부정적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공무원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려는 노력은 궁극적으로 정부의 생산성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제고와 함께 정부의 성과 관리를 위한 중요한 인적자원관리 수단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Korea has relatively longer working hours than other countries and there has recently been a debate in the political arena about reducing working hours.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many negative effects of long working hours, which may ultimately lead to a decrease in satisfaction with life. The low life satisfaction of workers can lead to low productivity, thus it is necessary to care for and manage them at the organizational level.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amines whether high working hours decrease the satisfaction of life for public officials, a topic that has not been discussed frequently in the study of happiness. Moreover,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whether the high job autonomy of public employee plays a moderating role in a positive way with the aim of determining the buffering role of job autonomy. The analysis shows that the longer the working hours (measured by overtime hours), the lower the public employees’life satisfac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autonomy, which is at the core of this study, appears to be positive and significant, suggesting that it can be used as a buffer between working hours and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negative effects of decreasing the life satisfaction of public employees can be reduced through work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methods, especially in the public sector where it is more difficult than in the private sector to shorten working hours or provide external rewards for overtime.

      • KCI등재

        소득불평등 인식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 계층상승 가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현정 ( Hyeonjoung Kim ) 한국정책학회 2016 韓國政策學會報 Vol.25 No.2

        본 연구는 소득불평등 인식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면서 계층상승 가능성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양자의 관계를 차별화시킬 가능성을 검증한다. 서울시민 대상의 설문조사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우선 소득불평등 인식은 행복 수준을 낮추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계층상승 가능성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이를 높게 인식하는 경우와 낮게 인식하는 경우를 구별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계층상승 가능성을 높게 인식하는 경우는 양자의 관계를 조절하는 효과가 발견되지 않았다. 반면에 이를 낮게 인식하는 경우에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는데 소득계층에 따라 상이한 방향으로 확인되었다. 저소득층의 경우, 낮은 계층상승 가능성은 양자의 부정적 관계를 가중시키는 방향으로 나타난 반면, 나머지 집단에 있어서는 부정적인 관계를 완화하는 방향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연구 결과는 계층상승 가능성에 대한 인식이 소득계층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작용함을 시사하며 향후 소득불평등 완화 및 계층상승 가능성 제고를 위한 정책 설계 시소득계층 간 시각의 차이를 고려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income inequality and happiness, in particular,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upward social mobility. By analyzing the result of ‘2014 Seoul Survey’, this study confirms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income inequality and happiness. In terms of the effect of perceived upward social mobility, the finding shows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for citizens who perceive the higher possibility of upward social mobility. By contrast, I fin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upward social mobility for citizens with the lower level of upward social mobility perception, moreover, the effects are different depending on one’s household income. For the lower income group, the lower level of upward social mobility negatively influenc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come inequality and happiness. However, for the higher income group, it affects in the opposite way the relationship. In other words, the lower level of perceived upward social mobility has contradictory effects for different income groups. Also, this study implies that it might be crucial for governments to take into account different perceptions of different income groups when making policy decision for tackling inequality through active social mobility.

      • KCI등재

        일반논문 : 지방정부서비스가 주민행복에 미치는 영향: 주거영역 삶의 질의 조절효과에 대한 검증을 중심으로

        김병섭 ( Byong Seob Kim ),강혜진 ( Hyejin Kang ),김현정 ( Hyeonjoung Kim )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5 行政論叢 Vol.53 No.3

        본 연구는 지방정부서비스 만족도가 주민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삶의 질의 조절작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정부서비스와 행복 사이의 관계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들은 양자의 관계에 있어서 직선관계를 가정하고, 개인들이 현재 누리고 있는 삶의 질의 수준에 따라서 관계의 강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하고 있다. 이스털린과 빈호벤의 효용에 대한 상대성과 절대성 논쟁은 바로 이 조절효과에 대한 논쟁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주거 상태 삶의 질 수준에 따라서 주거 관련 지방정부 서비스만족도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 지는지 여부를 전국 단위 서베이 자료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방정부 서비스만족도가 높을수록 주민들의 행복도가 올라가는 것과 함께, 삶의 질 수준이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에 비해서 지방정부 서비스만족도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절대적 효용이론과 상대적 효용이론이 모두 타당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며, 정부가 정책을 실시할 때 정책대상 집단에 따라서 개입의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데 대한 하나의 근거가 될 수 있다.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s of public service satisfaction on citizen happiness, focusing in particular on the moderating role of residential quality of life. Most studies are based on the assumption of a linear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ervice satisfaction and happiness and have not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possibility that the strength of the relationship can differ depending on a citizen’s quality of life. This study uses survey data to investigate the hypothesis that the effects of public service satisfaction are not equal among residents with different quality of life. This hypothesis is theoretically derived from the debate between Easterlin`s relative utility approach and Veenhoven`s absolute utility approach. The results show that citizens with higher satisfaction with public service are happier, on average. In addition, the effect of satisfaction with public service was found to be larger for citizens with lower residential quality of life. The latter finding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both theoretical approaches could be ambivalent. From a practical point of view, this finding also provides empirical evidence supporting the argument that government policies can be differentiated to enhance the happiness of different target grou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