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연경관을 고려한 농어촌마을 환경색채계획

        김현선(Kim hyun-sun),주정희(Joo Jung-hee),윤혜진(Yun hye-jin),김나라(Kim na-ra),김미숙(Kim mee-sook) 한국색채학회 2012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6 No.4

        농어촌경관은 인공경관과 자연경관의 복합으로 나타나며 자연경관과 건축물이 동시에 인지되는 특징을 가진다. 그러나 70년대 이후 개발 위주의 계획으로 무분별한 건축물이 세워 졌고 원색적인 색이 주를 이루는 도료의 발달로 우리나라의 농촌은 지역의 특성과는 조화롭지 못한 무질서한 색채로 도색되어왔다. 최근 들어 경관계획이 이루어지고는 있으나 지역의 총체적인 경관을 계획하는 과정에서 색채는 가이드라인을 세우는 정도에서 언급되고 있다. 변화가 많고 빠르게 변하며 외장재의 종류도 다양하고 복잡하여 구체적인 색채계획이 불가능한 도시에 비해 농촌은 느리게 변하며 사용외장재도 일정한 패턴을 보이는 풍경으로 인식되므로 구체적인 색채계획을 수립하는 게 아름다운 농촌을 만드는데 더 효과적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최대의 휴양지이며 농촌경관의 특징을 모두 가진 제주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대표성 있는 대상지 세 곳(바다, 산, 항구)을 선정하여 자연경관과 조화로운 색채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을 연구하였다. 사례로는 제주특별자치도와 유사한 섬들을 대상으로 자연경관과 조화로운 색채계획의 사례, 오랜 역사자원의 소재 색이 이어져 온 사례를 조사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통일감 있는 지붕의 색, 자연경관, 특히 해변의 색과 조화가 필요함을 도출하였다. 각각의 대상지에 대해 자연환경과 인공환경으로 나누어 색채를 조사, 분석하였으며 대부분 자연환경의 색보다 높은 채도와 무질서한 색의 사용이 경관의 질을 훼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대상지의 정체성을 대표하는 자연요소에서 색을 추출하여 색채 팔레트를 구성하는 근간으로 삼았으며 지정학적 특성상 섬거주에 대한 자부심이 강하고 마을공동체 운영이 활발하며 단독가구가 주를 이루는 주택의 특징, 개개인의 아이덴티티를 중요시하는 주민의 특성을 고려하여 옆집과 다른 자신만의 아름다운 집의 색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농촌의 색채계획은 자연경관과의 조화를 우선시하며 일방적인 계획이 아닌 거주자의 선택이 가능해야 하며 시간의 변화에 따라 혹은 거주자의 변화에 따라 전체적인 조화 안에서 건축물의 색채도 변해야 색채계획이 지속될 수 있음을 알리고자 한다. The landscape of a rural village is a complex of artificial and natural sceneries and contains a characteristic that buildings and natural sceneries are perceived at the same time. Besides, it has more low-story buildings than a cityspace and is often viewed from a high place because mountains take a large por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fter 1970s, however, most artificial structures had been built without planning due to the rapid industrialization, and rural villages had been painted to disorderly colors, ignor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Even though the landscape planning has been recently introduced, coloring still remains merely as a guideline in a process of planning the overall landscape in a region. Compared to a city where a detailed color planning is impossible due to rapid changes in a city and a variety and complexity of exterior materials, a rural village changes slowly and exterior materials can be viewed as a scenery of a constant pattern. Therefore creating a concrete color plan can effectively lead a rural village into a beautiful place. This study selected three representative sites (sea, mountain, and harbor for each) from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which is the best vacation spot in Korea and contains all characteristics of rural landscapes, and conducted research o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color plans harmonious with the natural landscapes of the sites.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examples of harmonious color plans with natural landscapes on similar islands of Jeju and examples in which material colors of historic resources are kept alive. Through this process, those examples draw a conclusion that an unified color of the roofs and the harmony with natural landscapes, especially with the color of seashores are crucial.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coloring by seperating the natural landscape and the artificial landscape for each site, and the result was that using a higher saturation than natural colors and chaotic colors destroys the quality of the landscape.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chose colors extracted from the natural elements as the identity of the corresponding site to become the basis of the color palette, and let people to freely choose their own colors of their beautiful house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island village people that they have a strong pride in living in the island, have an active local community, live in single houses, and think individual identities important. This study points out that color planning will last only if color plannings in rural villages importantly consider the harmony with natural landscapes and give freedom of choice to the residents, and if the colors of buildings must harmoniously change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time and residents.

      • LED 조명의 색온도 변화에 따른 색보임에 대한 주관적 반응 평가

        김현선(Hyun-Sun Kim),김유신(Yu-Sin Kim),최안섭(An-Seop Choi)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10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9월

        As a new light source, LED has lately came into the spotlight worldwide, and there is a lot of research to apply the indoor space considering characteristic of the LED. But studies on the color appearance by LEDs are lacked. The LEDs has low correlated color temperature in comparison with the fluorescent lamp which is existing illumination. So, LEDs causes a difference of reaction of the human sensitivity and visual work. Therefore more various evaluation researches are required at the time of an application in an indoor space, according to visual work by a kind. Consequently, this study analyzed a difference of the color appearance which is occurred through the fluorescent lamp existing illumination and a correlated color temperature change of the LEDs.

      • KCI등재

        서비스디자인을 통한 원도심활성화 디자인 전략에 관한 연구

        김현선(Kim, Hyun Su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6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2 No.4

        도시 삶의 중심지였던 원도심은 경제, 사회, 문화적 응집력을 상실하는 문제에 봉착하였다. 이는 급속한 도시화와 외곽지역의 개발이 도시공간을 확산시켰고, 기반시설의 노후화로 인한 지역상권의 쇠퇴와 매력저하에 원인을 두고 있다. 원도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시재생, 도심재생 등의 다양한 활성화 전략과 연구들이 선행되어 왔다. 그러나 큰 성과를 거두기보다 낡고 노후화된 기반시설을 보수하고 정비하는데 급급한 경향이 있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원도심의 단기적, 즉흥적 활성화가 아닌 도시 삶의 질적 향상을 수반하고 도심 노후화에 적절히 대응하는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디자인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원도심 재생과 디자인활성화 관련 문헌 및 이론,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연구대상지인 인천의 송림 6동의 쇠퇴의 원인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실질적인 주민들의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지역의 안전지도/두려움지도 맵핑 및 주민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또한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인천시 송림 6동의 범죄예방, 유니버설, 주민참여, 지속가능한 디자인을 반영한 서비스디자인적 관점을 통한 원도심활설와 디자인전략을 도출하였다. 첫째, 안전지수 강화전략으로 경제성과 효율성 확보와 안전디자인을 제시하였다. 둘째, 영역성 강화 전략으로 애착심 증진과 자연감시자 확보, 커큐니티아트도색 등의 환경 개선을 제시하였다. 셋째, 커뮤니티 강화 전략으로 주민들의 자긍심 고취, 애착심 증대와 지속가능성 도모, 유니버설 디자인이 적용된 안전한 보행길 조성, 유후공간 활용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이 인천의 원도심 송림 6동의 원도심 쇠퇴분석과 문제 진단을 통해 서비스디자인을 통한 디자인 활성화 전략을 도출하였다면, 후속적인 연구에는 보다 개별적이고 구체적인 사업 모델을 제시하는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Original downtown, where used to be a hub or city life has now faced with a problem of losing its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cohesiveness. It is caused from rapid urbanization and development of suburban area, which has expanded the city place. Additionally, deterioration of its infrastructure has led to a fall, and decrease of appealing factor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original downtown, numerous measures have been conducted such as rejuvenation of the city and the downtown. However, it had a tendency of merely repairing the old infrastructure. This study will attempt to plan a Design Strategy that can handle the deterioration and bring qualitative improvement of urban life, rather than short-term, improvised activation of the original downtown. In order to accomplish the objective, researchers have considered previous studies upon theories regarding rejuvenation of original downtown and design activation. Furthermore, they had interview residents of the subject region and mapped the area for safety map/fear map in order to apprehend the request of habitants. From this analysis, they have concluded a strategy of designing and recovering the original downtown of Song Lim 6th Dong through prevention of crime, the universal, resident participation and sustainable design. First of all, it suggests security of economy and efficiency with safe designing for an enhancement of safety index. Additionally, they propose improvement of the environment such as establishment of ‘Nature Guard’, Community Art Fare, and increasing affection to the area, in order to enhance regionality. Finally, to reinforce the community, they suggest to utilizing non-operating area, and constructing safe pedestrian walkaway with the universal design, in order to make the residents feel proud and have more affection. If this study can conclude design reactivation strategy through service design by analyzing the deterioration of original downtown of Song Lim 6th Dong, Incheon city, further studies shall present individual and detailed model.

      • KCI등재SCOPUS
      • KCI등재

        청년스타트업 공간지원 서비스디자인에 관한 연구

        김현선 ( Hyun-sun Kim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6 한국디자인포럼 Vol.51 No.-

        연구배경 지식기반 산업으로서 스타트업은 혁신의 전제로서 다양성과 대면접촉의 기회와 복잡한 생산시설이 아닌 다소 적은 면적을 요하며, 다양한 기능과 결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중요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최근 대두대고 있는 청년 스타트업 분야에서, 서비스디자인을 통한 공간지원에 성공한 국내외 사례를 바탕으로 국내외 스타트업 공간지원 서비스디자인 도입 현황을 살펴보고 성공의 원인을 비교 분석하여 시사점과 발전방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스타트업과 성장생태계 및 서비스디자인의 개념을 정의하고, 서비스디자인을 도입하고 있는 현황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 청년스타트업에서 서비스디자인을 통한 혁신이 가능하려면 청년스타트업 공간은 지자체의 지원과 전문가와 기업들의 참여로 선순환적인 생태계를 구성하여 운영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청년스타트업 공간은 정보에 대한 접근성이 높고, 빠른 조직구성과 변화속도에 맞는 유연한 점유공간 활용이 선호되었다. 그리고 의사소통과 대면접촉의 편의를 위하여 열린건축 평면과 다목적 공간 형성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결론 이번 연구를 통해 스타트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이 기대되는 가운데 공간지원 서비스디자인은 앞으로 이 분야에 반영되어야하는 필수적인 요인으로 예상된다. Background This study focuses on deducting a development direction of implications through an analysis of introduction status, which is domestic start-up space support service design based on successful space support case in domestic and foreign by service design in the field of recently issued young people`s foundation and start-up, and success reason. Methods For that, firstly we defined the concept of start-up, growth ecosystem and service design, and then we analysed the reason of introducing service design. Result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can understand that youth start-up space is needed local government`s support and participation of exports and enterprises, and it should be operated with composition of virtuous circle`s ecosystem if the innovation is possible through service design in the youth start-up. Also we know that the youth start-up space is needed to classify center function, in which happens activities of curator and education, and center role when the space is designed. ConclusionIn other words we examined that it could be more effective if it is used with composition of detail program(contents needed enterprise growth) based on several support theme(support theme followed enterprise growth), with expert group(expert network) and user group(local government infra) as the center.

      • KCI등재

        서울의 지역색 추출에 관한 연구

        김현선(Kim Hyun Sun) 한국색채학회 2010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4 No.4

        이 연구는 도시의 역사 문화 인공요소에 나타난 풍토색측정을 통해 지역색을 추출해내는 과정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여름을 제외한 3계절의 색을 추출하였으며 역사적 가치를 지닌 색을 추출하기 위해 역사문헌에 대한 조사를 실행하였다. 또한, 서울을 대표하는 색과 상징색을 선정하기 위해 다양한 계층의 서울시민을 상대로 한 의식조사를 실행하였다. 그 결과로 서울의 시공간을 그대로 보여주는 ‘서울현상색 250’을 찾고, 서울만의 고유성을 가장 잘 나타낸다고 여겨지는 ‘서울지역색 50’을 추려내어, 최종적으로 서울을 대표하는 10개의 색 ‘서울대표색10’을 선정하였다. 추출된 배경과 연관된 색명으로 이름 지어진 "서울대표색 10"은 도시 디자인의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서울의 궁과 붉은 악마를 상징하는 빨간색을 ‘서울상징색’으로 한강을 상징하는 백색을 ‘서울기조색’으로 선정하였다. 도시의 과거에서 현재까지를 아우르는 독창적인 색채추출과정을 통해 지역색을 추출해내는 것은 도시의 독자성을 찾아내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풍토에 기인한 도시색은 도시의 미래상을 고유한 이미지로 이끌 수 있다. This paper discusses finding out endemic color through measuring city color related historical, cultural and artificial elements and aims at searching symbolic color of city existed in city dweller"s thought. For this, Collecting the season"s color except summer is preceded by measuring especially natural color and the valuable historical color was selected and extracted from measuring instrument. Also historical documents are referenced in order to search city"s endemic color. Before deciding seoul"s representative color and symbolic color personal question is carried out for reflecting inhabitant thought. As a result "Seoul Colors 10" is selected by Seoul Local Colors 50, which is extracted from 250 phenomenon colors of Seoul. Each color in "Seoul Color 10" has name related to its extracted backgrounds and applied to various city design areas. Also "Seoul-red" is selected from color sources of palace and Red-devil symbol. Through this process for making city"s identity, which has been existed for a long time from past and distinguished from other cities, the basic study of endemic color is the most effective way and could make a extensive sympathy. Because of endemic color could succeed inherent image when it is applied to city in the future.

      • KCI등재

        고령화 사회를 위한 도시디자인연구 -보행환경을 중심으로

        김현선 ( Hyun-sun Kim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8 한국디자인포럼 Vol.23 No.3

        연구배경 고령 인구의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것은 이동의 자유로운 삶으로 그 주된 원인은 교통과 연계된 보행환경에서의 안전과 소통 공간에서의 안전문제로 인한 사회적 고립, 스마트기기 확대에 따른 정보의 고립이다. 현재 국토의 도시디자인, 공공디자인에 고령 인구에 대한 배려가 없고 이로 인한 고령 인구의 소외감이 그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준다. 연구방법 직접체험, 설문조사, 워크숍을 통해 현재 고령인이 느끼는 불편함과 미래 고령인이 바라는 도시의 이미지,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고령 친화 도시디자인 기본방향을 제시한다. 연구결과 조사결과 거리와 공원에서 모두 안전에 관한 내용이 주를 이룬다. 보행환경에서 횡단보도, 교차로 등 차량과의 접점에 대한 검토와 개선이 우선 시급하며 공원은 일반 사용자를 위한 공원과 차별화된 공원디자인이 필요하다. 전문가 워크숍 결과 고령화 시대 도시환경에서 느끼는 소외감의 문제와 도시이용의 문제, 도시기능 인지의 문제, 도시정보와 자신과의 소통단절 문제를 가장 큰 문제로 인식하고 있었다. 결론 현재 디자인개발을 하는 주요 세대가 젊은 층이고 그들은 고령화에 대해 실제로 예측하기에 한계가 있다. 보행환경, 공원에서의 안전의 문제와 소외감을 극복하기 위한 소통의 장소인 공원에 대해 새로운 ‘맞춤형 설계’가 필요하다. Background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population is freedom of movement. it's main cause is social isolation resulting from safety problems and communication space in traffic and gait environment and information due to social isolation due to the expansion of smart devices. At present, there is no considera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in urban design and public design in the country. and the alienation of the aged population affects their quality of life. Meth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asic direction of Age-friendly city design through actual-experience, surveys and workshops. It base on inconveniences of the elderly and the images and ideas of city for future. Result As result of a survey of research, the content main is safety and in streets and parks. In the walking environment, it is urgent to review and improve the contact points with the vehicles such as pedestrian crossings and intersections. the park needs to design differentiated of public users. Result of the expert workshop, it recognized that the problems of alienation and urban use in the urban environment, the problem of urban functioning, and the problem of disconnecting communication with city information were the biggest problems. Conclusion Currently, the main generation of design development is young, and they have limited realistic predictions about aging. A new 'customized design' is needed for the park, which is a place for communica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of walking environment and safety in parks and alienation.

      • KCI등재
      • KCI등재

        색온도별 LED 조명에 의한 색상별 색보임에 대한 주관평가 연구

        김현선(Hyun-Sun Kim),김유신(Yu-Sin Kim),최안섭(An-Seop Choi)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11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Vol.25 No.2

        LED lighting may cause different sensation and color appearance due to the different spectral power distributions compared to those of conventional lightings. Particularly, the CCT (Correlated Color Temperature) of LED lighting has a major effect on color appearance so that this study conducted an experiment through a subjective evaluation and luminance measurement for effective color appearance in a space. This study performed a subjective evaluation under the seven different LED CCT conditions, and color appearance was evaluated with major five colors in a customized lighting box. In addition, luminance measurement was conducted for each CCT and color condition to compare the results from a subjective eval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help to select a proper LED CCT for specific color conditions.

      • KCI등재

        한국체류 조선족의 밀집거주 지역과 정주의식 : 서울시 구로 · 영등포구를 중심으로

        김현선(Kim Hyun-Sun) 한국사회사학회 2010 사회와 역사 Vol.0 No.87

        이 논문은 한국사회에 거주하는 조선족의 정착화 현실을 밀집지역의 분포와 사례를 통해서 살펴보았다. 조선족의 최대 밀집거주 지역인 구로구와 영등포구 지역을 배경으로, 집중거주 지역의 분포현황 및 인구, 생활 및 의식을 통계자료와 설문조사 및 면접 등의 현지조사를 통해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거주 조선족의 인구는 2000년을 즈음하여 급증하였고, 현재 서울에만 25만 명 정도가, 구로구와 영등포구에만 5만 명 내외의 조선족이 밀집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가리봉동과 대림동, 구로동의 일대에만 적어도 4만 명 정도가 집중 거주하는 것으로 추산되는데, 이러한 인구의 증대와 밀집경향은 불과 4, 5년 이내에 급속히 변화한 현상이다. 둘째, 구로와 영등포구 지역의 인구밀집은 결과적으로 이 일대 전체 지역주민의 인구구성과 생활모습을 변모시키고 있다. 가리봉동과 대림동을 중심으로 이 일대에 새로운 ‘조선족 거리’가 생겨나 조선족을 대상으로 하는 각종 사무실과 가게 등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서 조선족은 과거와는 다른 새로운 이국적인 공간을 서울에 만들어가는 한 집단으로 대두하고 있다. 셋째, 이 지역에 거주하는 조선족은 지인을 통해서 이주해 오는 연쇄이주 경향이 발견된다. 또 그들도 가능하다면 한국사회에 계속 살고 싶은 높은 정주의지를 보이고 있다. 조선족의 국내정착 의지는 현실적 여건에 따라 유동적인 점이 있어 단언하기는 어렵지만, 적어도 현시점에서 발견되는 조선족의 국내 정착 의지에서 단순히 경제적인 이점만이 아니라 생활문화의 종합적인 비교를 통해서 자발적으로 선택한다는 점이 주목된다. 위의 결과를 통해서 볼 때, 일시적인 ‘돈벌이’가 아니라 조건이 허락한다면 삶의 영구 선택지로 한국을 선택하는 조선족의 유형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측된다. 현재까지 조선족에 대한 한국의 태도가 개방적이거나 우호적이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최근 10년 이래 조선족의 인구와 정주화 경향은 꾸준히 증가해 왔다. 이러한 사실은 주류 한국사회의 태도 역시 조선족을 임시적이거나 관리의 대상이 아닌, 지역사회의 구성원의 관점에서 적극적이고 평등하게 관계를 맺어갈 필요를 시사한다. This essay examines the realities of Chosunjok(Korean-chinese)’s residential region and settlement through a fieldwork at Guro-gu and Yeongdeungpo-gu in Seoul.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s as described below: First, the Chosunjok in Seoul tends to live aggregately centered at the Guro-region following their increasing numbers, especially since the 2005 year. In accordance with this crowded residence, the so-called ‘Chosunjok town’ is made at Darim-dong and Garibong-dong, where there are various restaurants, shops, offices and so on, needed for their lives in Korea. Second, the Chosunjok who resides in Guro-region has a high intention for living permanently in Korea. The Chosunjok decides to their permanent place of life voluntarily, in comparison with China. A major reason for this thought at settlement in Korea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they consider Korean society better not only in an economic conditions but also the social, cultural life than the China. In short, it is expected that the long residents of Chosunjok in Korean society are to increase gradually, specially in Guro-region. On the other hand, they already do work as a member in a contemporary Korean society in the various sects, like local community, industry, labor and so on. Therefore, this means that the Chosunjok in Korea is not the objects for control but members in Korean society, who we should make a relation openly each o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