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동의 발달 특성과 정서성 및 어머니의 자기효능감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김헤라,진경 한국보육지원학회 2012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8 No.3

        이 연구는 아동의 발달 특성과 정서성 및 어머니의 자기효능감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아동의 발달 특성과 정서성이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어머니의 자기효능감이 아동의 발달 특성 및 정서성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매개특성으로 작용하는가를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여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한국아동패널의 일반 조사 대상 가구 중 1차년도 조사에 참여한 2078명의 신생아 가구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동의 발달 특성과 정서성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의 발달 특성과 정서성은 어머니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영향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가중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 발달, 아동의 기질에 대한 어머니의 지식을 확장시키기 위한 다양한 부모 교육 프로그램과 어머니 자신의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보육교사의 과학교육지식 및 과학에 대한 태도가 과학교수 불안에 미치는 영향

        김헤라,채진영 한국보육지원학회 2014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0 No.3

        이 연구는 보육교사가 지닌 과학교육지식과 과학에 대한 태도가 과학교수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보육교사 259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는 PASW 18.0과 AMOS 7.0을 이용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분석과 구조방정식을 통해 분석되었고,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과학교육지식, 과학에 대한 태도 및 과학교수 불안 정도는 모두 중간수준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과학교육지식, 과학에 대한 태도는 과학교수 불안과 상관이 있었다. 셋째, 보육교사의 과학교육지식은 과학에 대한 태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과학교육지식의 영향을 받은 과학에 대한 태도는 과학교수 불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과학교수지식과 과학에 대한 태도가 과학교수 불안에 미치는 영향은 전체 분산의 57%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교사의 과학교수 불안 수준을 낮추기 위해서는 보육교사의 과학교육지식, 과학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켜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지렛대 현상에 대한 유아의 ‘많은 것이 더 많은’편향과 지식 변화 과정

        김헤라 한국보육지원학회 2013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young children's ‘more means more' bias and knowledge change process regarding a lever phenomenon, especi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eight of an object and the strength of force and between the length of a lever and the strength of force. Subjects, who were presented with the tasks, were eight young children 5 years of ag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ings. First, most of the subjects have a 'more means more' bia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eight of an object and the strength of force and between the length of a lever and the strength of force regarding a lever phenomenon. This meant that young children have similar concepts about a lever phenomenon regardless of whether it is right or wrong physically. Second, young children tried to make sure of their knowledge during experiments. They chose the evidence which confirmed their knowledge. But they tried to change their knowledge, when the evidence presented did not correspond to their knowledge.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understanding young children's 'more means more' bias and knowledge change process about a lever phenomenon and can be used in preschool science education programs and curriculums.

      • KCI등재후보

        전래놀이 활동을 통한 유아들의 친사회성 향상 방안 탐구

        김헤라,오수진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18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11 No.2

        This study was designed to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al play activity and pro-sociality of young children in an unstructured environ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observation, we also wanted to find ways to improve pro-sociality in children.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the research study, we choose to conduct the study at J Kindergarten, which collects abundant data on traditional play and is focused on pro-sociality between peers and observed the environment and activities of 13 3-year-old children. Children's activities were recorded and analyzed by collecting observations, holding discussions among researchers and by taking photographs. The research showed that young children became closer and comforted one another as they opened their hearts to each other. They also showed understanding and empathy for their friends and pro-sociality in which they tried to console and help each other. As the game continued, young children tried to share what they were trying to do with their friends and to play with each other while cooperating. Based on the aforementioned results, the study concluded that the use of traditional pla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pro-sociality in children and the development of teaching skills that allow young children to enjoy traditional play in a natural way. 본 연구는 비구조적인 환경 속에서 자유로움과 즐거움을 바탕으로 한 전래놀이 활동과 유아들의 자연스러운 친사회성 발달 간의 연관성을 알아보고 유아의 친사회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래놀이 자료가 풍부하고 또래 간 친사회적 행동을 중점교육으로 삼아 운영되는 J유치원 만3세 나무반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유아 13명의 전래놀이 환경과 활동을 관찰하였다. 유아들의 전래놀이 활동은 동영상 촬영을 실시하였으며 연구자의 관찰 일지, 연구자 간의 토의, 사진 등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래놀이 활동을 통해서 유아들은 서로의 마음을 열어가면서 친밀해지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친구의 마음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모습과 친구를 위로하고 서로에게 도움이 되고자 노력하는 친사회적 행동을 나타냈다. 셋째, 전래놀이가 지속되면서 유아들은 자신의 것을 나누면서 친구와 함께 하고자 하는 모습을 보였고 서로 협력하면서 놀이를 즐기고자 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전래놀이의 활용은 유아의 친사회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고 다양한 교수환경을 구성하고 유아가 함께 교수환경을 활용하면서 자연스럽게 전래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교수학습방법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물체의 수중낙하에 대한 아동 및 청소년의 사전생각과 사후생각 형성

        김헤라,유안진 대한가정학회 2002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Vol.40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rior thinking and posterior thinking forma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sinking objects. The subjects consisted of twenty eight, 9- and 11-year old children and fourteen, 13-year old adolescents selected from one elementary school and two middle schools. The transcripts were analyzed to classify children and adolescents' prior thinking and posterior thinking frequency, reasoning response(evidence based response, idea based response) and reasoning method(valid method, invalid method).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il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 test, ANOVA.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ings: 1. Children and adolescents have already had prior thinking in sinking objects. 2. Children and adolescents applies their prior thinking to posterior thinking formation process.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posterior thinking formation process, especially choices in objects and reasoning methods depending on age. 4.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reasoning response depending on presented evidences types. 5. Through the experimentation, children and adolescents' prior thinking was different from their posterior thinking.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fferences between the prior thinking and posterior thinking depending on age.

      • KCI등재

        유아의 빛과 그림자 현상에 대한 지식의 변화

        김헤라,이순형 한국유아교육학회 2009 유아교육연구 Vol.2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hanges in young children's knowledge about light and shadow, specifically the relation of object size to shadow's size and the relation of base length to shadow's size. The subjects, 169 young children ranging from 4 to 6 years of age, were presented with related tasks.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mean, χ2, t-test and logistic regression using the SPSS Win 13.0 progra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ajority of subjects initially recognized the positive relation between object size and the shadow size, while only approximately 30% of the subjects recognized the negative relation between base length and shadow size.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ior knowledge according to age. Thus, children have similar concepts about light and shadow regardless of age and they easily understand the concept of perceptual predominance or familiar phenomena. 2) Though we provided the evidence to subjects by means of actual experimentation, only the 6-year-old children showed an increase in post-test scores. This means that children's prior knowledge is not easily changed, but young children can alter their pre-existent knowledge as they grow when evidence is presented to them. 3) Subjects' age, result interpretation('the shorter the base is, the larger the shadow is') and predictions ('the shorter the base is, the larger the shadow is' and 'the larger the object is, the larger the shadow is') influence their posterior knowledge. The effect of subjects' result interpretations('the shorter the base is, the larger the shadow is') is greatest on posterior knowledge. In conclusion, the process of result interpretations and prediction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knowledge.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young children's learning processes, specifically, regarding knowledge of light and shadow, and can be used in preschool science education programs and curriculums. 이 연구의 목적은 빛과 그림자 현상에서 ‘물체의 크기와 그림자의 크기’, ‘물체와 광원 간 거리와 그림자의 크기’의 관계에 대한 유아의 사전지식을 조사하고, 실험을 통한 예측, 증거제시, 결과해석의 과정을 반복하면서 사전지식이 어떻게 변화되었는가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만 4~6세 유아 169명으로 대상으로 일대일 실험 면접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평균, χ2 분석, t-검정, 순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주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 유아의 대부분은 물체의 크기와 그림자의 크기가 비례관계라는 것을 알고 있었고, 조사대상 유아의 약 30%는 물체와 광원 간 거리와 그림자의 크기가 반비례관계라는 것을 알고 있었으며 이는 연령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만 4, 5, 6세 유아의 빛과 그림자 현상에 대한 이해는 연령에 관계없이 유사한 것으로 지각적 특성이 우세하고 유아에게 친숙한 ‘물체의 크기와 그림자의 크기’ 관계에 대한 이해도는 높은 반면, 그렇지 못한 ‘물체와 광원 간 거리와 그림자의 크기’ 관계에 대한 이해도는 높지 않게 나타났다. 둘째, 실험을 통해 증거를 제시한 후 유아의 사후지식은 사전지식과 크게 달라지지 않았으나 만 6세 유아의 ‘물체와 광원 간 거리와 그림자 크기’에 대한 사후지식은 사전지식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사전지식은 쉽게 변화되기 어렵지만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유아는 자신의 지식과 제시되는 증거를 조정할 수 있게 되었다. 셋째, 연령뿐 아니라 예측과 결과해석이 유아의 사후지식의 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다. 특히 ‘물체와 광원 간 거리가 짧을수록 그림자가 크다’는 결과해석과 예측이 사후지식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유아의 사전지식과 일치하지 않는 증거가 지식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빛과 그림자 현상에 대한 유아의 지식과 유아의 사고가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이해하는 데 기여하며, 이를 토대로 과학현상에 대한 보다 발달적이고 교육적인 유아과학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보육교사의 교사적성과 과학태도가 과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헤라 한국보육지원학회 2014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0 No.1

        이 연구는 보육교사의 교사적성, 과학태도가 과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어린이집 교사 297명이었으며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Instruments, Inventory of Science Attitudes, 보육교사적성 도구를 사용하여 연구자료를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earson의 적률 상관계수와 단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먼저 보육교사의 적성은 과학교수 개인효능감, 과학교수 결과기대감, 과학교수효능감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과학태도 중 과학에 대한 흥미와 과학의 사회적가치는 과학교수 개인효능감, 과학교수 결과기대감, 과학교수효능감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러나 과학과 과학자에 대한 인식 자체는 과학교수 개인효능감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과학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보육교사적성과 과학태도를 살펴본 결과, 과학교수 개인효능감에 대해 과학에 대한 흥미와 긍정적 정서가 영향을 미치고, 과학교수 결과기대감에대해서는 과학의 사회적 가치, 과학과 과학자에 대한 인식, 대인관계능력이 영향을 미쳤으며, 과학교수효능감에 대해서는 과학에 대한 흥미, 과학의 사회적 가치, 긍정적 정서, 대인관계능력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가 보육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을 증가시켜 영유아교육 현장에서 바람직한 과학교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기초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해 본다.

      • KCI등재

        과학에 대한 태도 및 과학교육지식이 유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헤라 ( He Ra Ki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연구 Vol.33 No.2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에 대한 태도 및 과학교육지식이 유아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어린이집 만 3-5세 유아반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 122명이었으며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s, Inventory of Science Attitudes,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도구 중 일부를 사용하여 연구자료를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earson의 적률 상관계수와 일원분산분석, 단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과학에 대한 태도에 따라 과학교수효능감은 차이가 있었다. 교사의 과학에 대한 태도가 높을수록 과학교수효능감도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과학교육에 대한 지식에 따라 과학교수효능감은 차이가 있었다. 교사의 과학교육에 대한 지식이 높을수록 과학교수효능감은 높게 나타났다. 셋째, 과학교수효능감에 영향을 예측할 수 있는 변수는 과학에 대한 흥미,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지식, 과학의 사회적 가치, 학습자에 대한 지식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보다 발달적이고 효과적인 유아과학교육을 위한 교사 양성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efficacy in teaching science of attitude toward science and knowledge about science education. Subjects were 122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orking at the day care center. The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three questionnaires(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s, Inventory of Science Attitud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bout Science). The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Anova, and step-wis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attitude toward science and self-efficacy in teaching sci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higher score of attitude toward science, the higher score of self-efficacy in teaching science.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knowledge about science education and self-efficacy in teaching sci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higher score of knowledge about science education, the higher score of self-efficacy in teaching science. Third,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self-efficacy in teaching science were interest in science, pedagogical knowledge, social value of science, and knowledge about young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develop effective teacher training programs for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