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방도시의 도심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 아산시 온양동을 중심으로

        김한직 경원대학교 산업환경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우리나라는 1960년을 시작으로 하여 급속한 도시화·산업화를 겪어왔다. 그로 인하여 대도시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중소도시는 무분별한 도시 확장과 함께 도심 기능이 외곽으로 분산되고, 상주인구 감소, 산업활동 위축 등 도심쇠퇴현상이 나타났다. 도심쇠퇴는 도심만이 가지고 있는 특성의 소멸, 지역의 물리적 쇠퇴의 지속, 생활환경 악화에 따른 지역인구 기반의 감소, 경쟁력의 약화에 따른 경제중심지로서의 위상의 약화 등의 도시문제를 파생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에 관한 대책은 부분적이거나 단편적인 처방에 그치고 있다. 1990년부터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의 관점에서 도심을 활성화함으로써 도시의 부흥을 도모하기 위한 정책적 전환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도시성장관리의 측면에서 도심지역을 활성화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과 기법들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으나 일회성으로 끝나고 있다. 따라서 과거의 급속한 도시화로 인한 고성장과 효율지향적인 외곽신시가지 개발위주의 도시정책에서 벗어나 도시의 모든 지역이 활력을 가질 수 있도록 도시정책을 전환해야 한다. 이러한 인식하에 본 연구는 중소도시에서 진행되고 있는 도심쇠퇴에 대한 개선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지속가능한 도시를 구축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범위와 연구방법을 설정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첫째, 도심의 쇠퇴와 도심재생에 관한 이론적 고찰에서는 도시지역의 개념과 기능을 정의하여 도심재생을 위한 접근방법을 살펴보고 외국의 관련 사례를 검토하여 시사점을 도출한다. 둘째, 도심쇠퇴의 양상과 구체적 원인을 분석한다. 셋째, 도심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기본방향과 전략을 도출하고, 구체적인 도심활성화를 위한 정책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으로 아산시 온양동 일대를 선정하였다. 온양동 일대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한 이유는 아산시는 KTX 및 일반전철의 2008년말 개통과 더불어 탕정·둔포지역에는 대규모 산업단지조성, 협력업체의 공장건설, 아산신도시건설이 진행되고 있으며, 배방지역에는 대규모 아파트단지 조성 등 시외곽의 활발한 도시건설이 진행되고 있고, 내부에서는 정비사업을 통해 주거환경 및 재개발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온양동은 아산시의 오랜 역사를 보유하고 중심성을 지닌 도심권에도 불구하고 상업지역기능을 대응하는 기반시설 미비로 인하여 생활, 문화, 중심상업기능 저하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도심 상권의 이동과 인구유출현상도 보이고 있다. 온양동 일대는 장래 주변지역과의 성장을 감안하여 원도심으로서의 기능재생이 필요하다. 연구의 방법은 이론적 고찰과 대상지역에 대한 실증분석을 하였다. 실증 분석에 있어서는 기존의 통계자료와 대상지역을 분석하고, 설문조사를 병행하였다. 시민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도심쇠퇴에 대한 인식과 도심의 여건을 분석하였고, 조사내용은 도심의 위상, 주민형태, 발전방향, 도심지역의 기능성과 쾌적성 등이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거쳐 도출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온양동이 쇠퇴하는 원인은 외곽지역의 개발에 따라 시가지가 확산되었고 이에 따라 도심의 중심성이 약화되었다. 둘째, 도심에서는 대부분의 필지가 소규모로 분할되어 있어 기반시설이 적절한 시기에 정비하지 못하고 노후 불량한 상태로 방치되었다. 그리고 외곽지역 택지개발 지구에 근린생활시설을 비롯하여 상업시설이 입지하고 외곽간선도로가 정비됨에 따라 중대형 할인점이 입지함으로써 도심의 중심기능이 쇠퇴하게 되었다. 또한 노후한 상권환경과 지역성을 살리지 못한 문화·관광시설로 인하여 지속적으로 관광객이 감소하고 있어 도심쇠퇴를 촉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심 기능의 활성화를 위해 지역성을 살린 문화·관광시설 구축, 정주환경의 개선, 상업기능의 활성화를 제시하였고, 쾌적성 증진을 위해 물리적 환경의 정비, 쾌적한 도심환경 정비, 공영주차장 및 주차안내시스템의 확보 등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도심쇠퇴의 개선을 위해서는 공간 구조차원에서 도심과 외곽기능간의 적절하고도 모순되지 않는 분담과 각각의 역할이 정립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도심활성화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도시전체상황을 충분히 반영하는 도시활성화 종합계획 등의 계획적인 수단이 갖추어져야 하고 다양한 주체들이 참여하여 실질적인 도심활성화의 의사결정권을 갖는 조직이 설립되어 사업의 특성에 따라 조화 있게 시행·관리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도심문제에 대한 종합적인 접근이 용이하기 위해서는 기존 법률과 보완적인 관계를 갖는 도심활성화지원법의 제정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도심은 환경변화에 부합하는 기능을 수용하여 활성화하는 한편, 개성 있고 쾌적한 도심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도시전체의 발전을 이끌어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지방자치단체와 시민들이 상호 파트너십을 발휘해야 할 것이다. Korea has experienced rapid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since the 1960s. Therefore, many metropolitan cities and most local cities have been expanded recklessly and have lost their original functions to the suburbs. The number of urban residences has decreased and industrial activities have been depressed in urban centers. Degeneration of urban centers has caused various urban problems, such as extinction of original characteristics of urban cities, physical degeneration of certain regions, decrease in local population with poor living environments, and weakening authority as economic centers. However, there are only partial or one-time solutions to these problems. Various policies and measures have been applied since the 1990s to revitalize the urban centers for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and urban growth management, but these policies and measures have not been consistent. Urban policies should no longer pursue high growth and efficiency-oriented suburban development for fast urbanization, but need to be updated for all urban regions to regain energy. In this respe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sent possible improvement measures to prevent urban degeneration in local cities to contribute to sustainable urban growth.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stablished the following scope and methodologies. The scope of this study was focused on three aspects: first, the concept and functions of urban regions were defined to approach urban regeneration and discuss foreign cases in the theoretical study of urban degeneration and regeneration. Second, urban degeneration was described and specific reasons were analyzed. Third, fundamental directions and strategies to revitalize urban centers were derived and specific policy alternatives were suggested for urban rejuvenation. This study selected Onyang-dong of Asan. Onyang-dong was selected because Asan will open KTX and general subway routes at the end of 2008. In addition, Tangjeong and Dunpo regions are establishing large-scale industrial complexes, factories, and Asan New City and the suburban areas of Baebang are adding large-scale apartment complexes. The city has been improving and redevelop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s. However, Onyang-dong, despite that it has a historical, central urban area, lacks infrastructures to sustain the commercial zones. Its residential, cultural, and commercial functions have been decreasing and many of its commercial centers and populations have been lost. Onyang-dong must recover its functions as an urban center, considering the growth of surrounding areas in the future. This study employed theoretical studies and substantial analysis. For substantial analysis, existing statistics of given subjects were analyzed and surveys were conducted. The survey on local residents was analyzed to understand their awareness of urban degeneration and analyze urban circumstances. The survey considered dignity of urban center, residential types, development possibilities, functionality and pleasance of urban center. The following we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the reason why Onyang-dong was degenerated was because the urban area has expanded and decentralized with various development projects in the suburban area. Second, most lots in the urban center were small and not suitable for infrastructural development. Third, new neighborhood infrastructures and commercial zones were established near new residential zones in the suburbs and mid/large discount stores were situated along the suburban arterial roads. These new structures decentralized the urban center. Fourth, old commercial zones and undistinguished cultural/tourism facilities have failed to attract tourists. This study suggested localized cultural/tourism facilities, improved residential environment, and revitalized commercial zones to rejuvenate the urban center. To improve pleasance, improved physical environment, pleasant urban landscaping, and public parking lots with parking guide system were suggested. To prevent urban degeneration, it would be important to assign appropriate and non-conflicting roles to urban areas and the suburbs. For systemized urban rejuvenation, there must be a comprehensive urban rejuvenation plans for every section of the city and a decision- making organization shall be established to make actual decisions for balanced execution and management of urban rejuvenation. To make a comprehensive approach to urban issues, it is also necessary to enact urban rejuvenation act that supplements existing laws. Urban centers shall revitalize various functions for environmental changes and create unique and pleasant urban spaces for sustainable urban growth. In order to do so, the local government and residents shall form a mutual partnership to work toge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