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부산영화’로 보는 부산 공간의 의미

        김필남(Kim Feel-Nam)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9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2

        본 논문은 부산 공간을 재현하고 있는 영화들을 분석하고 있다. 먼저 곽경택 감독의 <친구>를 살핀다. 이 영화는 폭력적인 성향을 띠었음에도 부산을 알리는 데 큰 공헌을 한 아이러니 한 작품이다. 영화에 나타나는 부산 공간들을 통해 사람들에게 추억과 향수 등의 애틋한 감정을 전달하기 때문이다. 현재 부산을 다루는 영화들은 ‘해운대’로 공간을 변화 중이다. 남포동에서 해운대로 촬영지가 변경되었다는 것은 장소의 이동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도시를 스펙터클화 시키겠다는 의도이다. 여기서 영화<해운대>는 그이미지를 최대한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영화는 사람들의 다양한 삶의 모습을 보여주지 않는 점이 단점으로 지적된다. 다음으로 <성냥팔이 소녀의 재림>과 〈범일동 블루스>를 살핀다. <성소재림>에서 보여주는 방식이야말로 부산 공간을 사유할 때 필요한 작업이다. 그것은 부산 공간이 고정적이지 않고 다양하다는 것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범일동 블루스>의 경우 사람 사는 공간에 다양한 삶이 존재함을 알려준다. 이는 영화가 우리 삶에서 일어나는 구체적인 일들을 주시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즉 현실이 항상 유토피아적이지 않음을 자각한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부산을 다룬 영회들을 통해 부산이 이미지로 사유되어서는 안 됨을 지적하고 있다. 그로 인해 영화가 지향해야 하는 것은 공간의 다양성, 일상성, 구체성 등이며, 이것이 부산 공간을 다룰 때 필요한 작업이라는 것을 알게 한다. This thesis looks into ways of being thought by speculating the movies which reappear Busan's space. Firstly, the best movie which discussed among critics is 'The Friend' by Gwak Kyungtaek. This movie was successful in running, and also it is helpful to think about Busan even though its story is violent because it shows Busan people's memory and nostalgia. At the moment, the movie also reveals image of Busan such as sea and hillside slums. In early 2000, the movie 'The Friend' created Busan's image, in other hand, now the space moved to Haeundae, where is a cutting-edge city. Haeundae's image started from Gwangan Bridge includes spectacle. This spectacle made this city to develop among other cities. However, it doesn't mean just movement of place that the change of movie's shooting space from Nampodong to Haeundae. It means Busan will aim to future city instead of remaining in the past. In spite of this fact, the movie 'Haeundae' didn't catch more specific lives of Busan people. Next, this thesis looks into Busan's image through 'Resurrection of the little match girl'(2002) and 'Bumildong's blues'(2000). The first movie was shot all scenes at Busan, but we can't imagine Busan through the movie. However, the way to represent Busan by films is needed to think about this city since Busan's image is not regular but diverse. Movie 'Bumildong's blues' appears various lives of Busan. This means that some movies watch out details of our lives. It is possible because movie directors realize that reality is not always utopia. As following above, this thesis points out that Busan shouldn't be thought by just image. Movies should deal with diversity, routine, and concreteness.

      • KCI등재

        박탈과 증오의 바람 : 이만희 감독의 <휴일>(1968)을 중심으로

        김만석(Kim, Man-Seok),김필남(Kim, Feel-Nam) 한국문학회 2021 韓國文學論叢 Vol.88 No.-

        본고는 이만희 감독의 영화 <휴일>을 당대 사회의 반영이나 재현이 아니라, 정동(affect)의 차원에서 분석함으로써 영화가 이데올로기나 선전도구가 아니라 자율적인 영역을 구축했다는 점을 주장한다. 달리 말해 <휴일>은 서사 중심의 영화가 아니라, 인물들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힘에 주목하며, 어디로 나아갈지 모르는 카메라의 힘이 운동하는 방향에 주목하고 있는 독특한 구조로 흘러가는 영화임을 분석하고 있다. 먼저 영화는 ‘휴일’이라는 시간을 출발점으로 삼고 있지만 쉼이나 휴식이 아니라 자본주의 체제의 지속을 위한 재생산(reproduction)의 시간임을 인물들 간의 관계를 통해 보여준다. 주인공 ‘허욱’과 ‘지연’은 가난한 연인으로 커피 한 잔 사먹을 돈이 없어 공원에서 데이트를 하고, 아이를 키울 형편이 안 돼 낙태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모욕적인 상황을 마다하지 않는다. 허욱이 낙태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친구들을 만날수록 걷잡을 수 없는 한계 상황으로 내몰리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허욱의 친구들 또한 심심해서 처음 만난 여자와 섹스를 하거나, 술에 취해 있거나, 목욕을 여섯 번이나 하는 등 무기력하게 시간을 보내는 인물들로 그려진다. 그런 점에서 이 영화는 ‘휴일’이라는 시간이 진정한 휴식이 아니라 재생산을 위한 시간이며, 생산활동을 하지 않는 인물들은 극한의 상황에 내몰리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허욱은 휴일이 끝나갈수록 더 무기력해지고, 결국 혐오의 시선으로 자신을 바라보던 친구 ‘규제’로 인해 자기 파괴적인 증오의 감정을 표출하기에 이른다. 즉 영화는 허욱을 통해 휴일이라는 시간이 생산활동과 재생산의 세계를 파악하게 만든다. 마지막으로 본고는 사회적 불안정성이 증대되고 변동이 극심화 되어가는 1960년대 후반 기존에 자신이 누리던 지위나 위치를 상실할 경우 사회적으로 취약한 계급이나 계층은 무기력이나 증오의 감정에 더욱 취약할 수밖에 없음을 영화 속 관계들을 통해 분석하고 있다. In this paper, the movie, <A Day Off> directed by Lee Man-hee, was analyzed not as the reflection or reproduction of the society of those times, but at the level of stillness and movements, and it was argued that the film had established an autonomous area rather than had been used as the means of ideology or propaganda. In other words, it was analyzed that <A Day Off> was not a narrative- centered movie, but one focusing on the power generated in the relationships among the characters, and had a unique structure of paying attention to the direction of the camera s dynamic without knowing where it would head. First, the film begins with the time of ‘a day off’, yet it s revealed through the relationships among the characters that it is not rest or break, but the time of regeneration for the continuance of the capitalistic system. The main characters in the movie, ‘Heo Wuk’ and ‘Jiyeon’ are poor lovers, who have a date in the park because they don t have money for a cup of coffee and don t say no to insulting situations when they have to raise money for abortion because they can t afford to raise a child. We can see that the more Heo Wuk meets his friends to prepare to pay for abortion, the more he becomes forced into an uncontrollable critical situation. Heo Wuk s friends are also described as the figures spending time spiritlessly, having intercourse with a woman whom one meets for the first time because he is bored, being drunken, or taking a bath six times a day. In that sense, it can be proven that in this movie, ‘a day off’, doesn t mean true rest, but is just time for reproduction, and those not engaged in production activities are being driven into extreme situations. As the day off is drawing to its close, he becomes lethargic more and more, and ends up expressing the emotion of self-destructive hatred because of his friend, ‘Gyu-je’, who sees him with the eyes of disgust. That is to say, the film makes one figure out the time of a day off showing the world of production activities and reproduction through Heo Wuk. Lastly, in this paper, it was analyzed through the relationships in the movie that in the latter half of 1960s when social instability was increasing and changes were becoming severe, when one lost the position or status that one used to enjoy, the one belonging to the weaker class or rank in the society couldn t help but become more vulnerable to the emotions of lethargy or hatred and disgust.

      • KCI등재

        경계를 횡단하기 위한 서사전략 -장률 영화를 중심으로-

        강희철 ( Kang Hee-chul ),김필남 ( Kim Feel-nam ) 한민족문화학회 2021 한민족문화연구 Vol.76 No.-

        본고는 장률 감독의 영화 속 인물들이 ‘경계’에 서 있음에 주목한다. 대부분 장률 연구는 실존적 문제, 즉 디아스포라적 삶에 주목해 왔다. 하지만 그 분석의 틀은 특정한 양상이나 시기에 따른 구분 안에서 장률 영화를 살펴보고 있으며, 그의 변화하고 있는 영화 내용에 통시적 고찰과 분석을 할 수 없었다고 판단된다. 그로 인해 본고는 장률 영화들을 통시적인 관점으로 살펴보면서 각 영화 속 특이점을 다뤄보고자 한다.논문의 연구 방법론이 되고 있는 ‘경계’는 디아스포라를 구분하거나, 내부자들에 의해 폭력을 당하는 인물들을 보여 주는 데 그치지 않는다. 경계 자체에서 나타나는 여러 모습들을 통해 디아스포라에 대한 다양한 양상들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지점에서 장률 또한 중국 내에서 소수민족인 조선인이면서, 한국에서도 이방인이라는 특수성 안에서 존재하는 인물이기에 자신의 영화를 통해 경계를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하는 감독이라 할 수 있다.특히 장률은 이분법적으로 구분했던 ‘경계’가 우리의 삶에 어떤 영향력을 미치는지 보여준다. 그의 초창기 영화 <중경>이나 <이리> 등은 하나의 도시 안에 경계를 지어 그 속에서 살고 있는 인물들의 모호함을 재현하는데, 이는 탈북자ㆍ소수민족 등으로 ‘중첩된 경계자’들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경계의 모호함을 넘어서려는 실험으로 꿈과 죽음의 서사가 도입되는 <경주>, 그리고 경계 자체를 무화시키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환상적인 꿈 서사를 펼쳐나가는 <군산>과 <후쿠오카>까지 장률의 영화들에 나타나는 경계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더불어 경계 지점에서 도시는 무엇이며, 도시에 살고 있는 인물들의 모습 또한 관찰될 수 있을 것이다.이렇듯 장률의 영화를 통해 본고는 경계를 넘어서 다양한 상상적 가능성을 포착하고자 하며, 이 가능성이 꿈과 현실을 반복하는 단순한 몽환적 구조가 아니라, ‘꿈과 함께하기’라는 새로운 서사 방식을 열면서, 장률 감독의 ‘경계’에 대한 다양한 방식을 이해할 수 있게 만들 것이라 본다. In this paper, it was focused on that the characters in director Zhang Lu’s films stand on ‘a boundary’. In most of his movies, attention has been paid to existential matters, in other words, life of Diaspora. Yet, in such a frame of analysis, his movies have been examined only from a particular aspect or in a category depending on time, and the changing contents of his movies haven’t been considered or analyzed diachronically. Accordingly, in this paper, Zhang Lu’s films were investigated from a diachronic viewpoint and the singularity in the movies was examined. The meaning of ‘a boundary’ as the study methodology of this thesis is not limited in the simple dichotomous scheme of mere Diaspora and the violence committed by those outside. Through diverse aspects of a boundary itself, a variety of conditions of Diaspora were examined. Zhang Lu himself was a person who existed with the unique feature of having the identity of Joseon, one of minority groups in China, and being an alien in Korea, simultaneously, and was good at expressing it through his films. In particular, he shows what impacts ‘a boundary’, which has been divided dichotomously, has on our life. In his early films, such as < Iri >(2008) and < Chongqing >(2007), the ambiguity of the characters living in the boundary of a city is reproduced, through which, the ‘overlapped people on the boundary’, for example, North Korean defectors or members of minority ethnic groups, are seen. Next, from < Gyeongju >(2014), to which the narration of dreams and death was introduced as an experiment to overcome the ambiguity of a boundary, to < Ode to the Goose >(2018) and < Fukuoka >(2019), in which the narration of fantastic dreams was developed as a way to neuter boundaries themselves, the boundaries in Zhang Lu’s movies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what a city is on a boundary and how people live in the city could be observed. In this way, through Zhang Lu’s movies, diverse imaginative possibilities beyond boundaries were to be caught in this paper. These possibilities are expected to open the door to a new narrative way of ‘getting together with dreams’, not a simple dreamlike structure ‘repeating a dream and the reality’, and therefore, to help understand director Zhang Lu’s various ways with ‘a bound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