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라 宣德王 즉위에 대한 재검토

        김창겸(Kim, Chang-kyum)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7 한국고대사탐구 Vol.25 No.-

        이 글은 신라 宣德王의 즉위와 관련한 몇 가지 爭點에 대하여 재검토하였으며, 그 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선덕왕(김양상)의 어머니 四炤夫人은 聖德王의 선비 成貞王后의 딸이다. 또 『삼국사기』에서 元聖王을 ‘선덕왕의 아우’라고 한 것은 서로 母系와 妻系에 의 한 親族關係이다. 혜공왕 친정기에 이르러 정국은 父系로 성덕왕계 - 성덕왕의 外孫子인 金良相세력과, 종전 攝政滿月太后와 연결된 귀족 - 金隱居등과의 사이에 세력 다툼이 있었지만, 김양상 측이 승리하여 정권을 장악하였다. 이러한 상황에 불만을 가진 金志貞이 친위 쿠데타를 일으켜 혜공왕을 감금하고 정권을 농락함에, 김양상이 거병하여 쿠데타 세력을 진압하였다. 이 와중에 혜공왕은 叛亂軍에게 시해되었다. 김지정과 김양상은 둘 다 혜공왕을 지지하는 인물들이었지만, 정치적 주도권 경쟁에서 김양상 측이 승리한 것이다. 선덕왕은 反惠恭王派가 아니었고, 그의 왕위계승은 과도기 國政의 임시 관리자로 推戴된 것이다. 그래서 선덕왕대 정치형태는 貴族聯立的이었다. This paper exams several revision on the succession to the throne of the 37th King Seondeok(宣德王) in the Silla dynasty. Firstly, mother of King Seondeok named Lady Saso(四炤夫人) is a daughter of King Seongdeok(聖德王) and his first wife, Queen Seongjeong (成貞王后). According to the Historical Record of the Three Kingdoms(三國史記, Samguksagi), it was emerged the ties of Kinship in the maternal and wafe line by the fact that King Wonseong(元聖王) was mentioned as brother of King Seondeok(宣德王). The political situation in the period of direct rule by King Hyegong(惠恭王), Kim Yangsang(金良相) finally won in the political conflict with Kim Eungeo(金隱居), who belonged to the another aristocratic coexistence organised by Queen Manweol(滿月太后). Furthermore, King Hyegong was murdered by a rebellion of Kim Jijeong(金志貞). Although both of Kim Yangsang and Jijeong supported King Hyegong, in the political competition configuration, the group of Kim Yangsang finally seized the initiative; however King Hyegong was assassinated by Kim Yangsang. Even though King Seondeok(Kim Yangsang) took a throne eventually, it presented its supports King Hyegong. Therefore it can insisted that he did not usurped the crown but became a crowned King as a caretaker government. Hence, the political structure during King Seondeok regime has the characteristics of aristocratic coexistence.

      • KCI등재

        신라 중고기 왕실계보와 왕위계승 연구

        김창겸(Kim, Chang-kyum) 신라사학회 2014 新羅史學報 Vol.0 No.30

        이 글은 새로 공개된 파른본 《삼국유사》 왕력을 검토하여 신라 중고기 왕실의 계보를 검토하고, 이 시기 왕위계승의 성격을 살펴보았다. 파른본 왕력의 신라 중고기 내용을 살펴본 결과, 지증마립간의 妃는 迎帝夫人, 법흥왕의 비는 巴刀夫人, 진흥왕의 어머니는 只召夫人이고, 진지왕의 어머니이며 진흥왕의 비인 息途夫人은 牟梁里박씨이고 그녀의 아버지는 英失角干임을 알았다, 그리고 진덕여왕의 아버지는 國眞安葛文王이며, 어머니 阿尼夫人의 아버지는 奴角干인데 滿天葛文王으로 추봉되었음과, 또 태종무열왕의 아버지는 龍春角干인데 추봉 명칭이 文興葛文王이고, 어머니 天明夫人은 文眞太后임을 확인하였다. 또 신라 중고기의 왕위계승과정을 각 왕별로 살펴본 결과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이들은 父系로 모두 지증왕의 후손들이라 ‘智證王系’이며, 좀더 작은 가계로 구분하면 진흥왕의 후손들이라 ‘眞興王系’라고 하겠다. 母系는 金氏와 朴氏가 거의 반반에 해당한다. 前王의 長男또는 長女인 경우에는 繼位를 하였지만, 혈연으로 비정상인 경우에는 再從弟와 次子로서 비평화적 계승인 簒奪하였거나, 평화적 계승이었다고 해도 推戴의 절차를 거쳐서 즉위하였다. 한편 중고기 왕은 즉위방법의 차이가 있음에도 대체로 혈연적으로 왕실의 김씨 부계와 김씨 모계의 근친혼, 소수 박씨 모계와의 사이에서 출생한 인물들이었다. 새로 즉위한 왕들은 김씨만의 근친혼이 아니라 박씨와 혼인하여, 지지세력을 확보하고 인재등용의 범위를 넓혀 왕권강화를 추구하였다. 결국 신라 중고기의 왕위계승은 지증왕계의 長子繼承을 원칙으로 하였다. 하지만 때로는 친족 계승원리보다는 정치적 요인이 더 결정적으로 작용하였다. 게다가 眞平王 이후에는 聖骨이 매우 중요한 요건이 되었다. 그 결과 두명의 女王이 연이어 즉위하는 女系繼承의 특수 현상이 있었다.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royal genealogy by examining newly appeared ‘Wangryeok of Pareunbon Samgukyusa’(파른본 《三國遺事》 王曆), it also looks into the characteristic of the succession to the throne. The Wangryeok reveals several new records on the father of Queen Jindoek(眞德女王) is Gukjinan galmunwang(國眞安葛文王), her mother Madam Ani(阿尼夫人) is a daughter of Mancheon galmunwang(滿天葛文王), and so on. All the kings descended from paternal lines of ‘King Jijeung lineage(智證王系)’, smaller ‘KingJingeunglineage(眞興王系)’. On the maternal line’s side they are almost evenly divided into descendants of Park clan(朴氏) or Kim cian(金氏). In the case of the eldest son or daughter the hierarchy was acknowledged, but in other cases the throne could be usurped or the right to ascend it could have been won in the process of selection. New kings were married not only to Kim clan but also to Park clan, in order to procure the support, extent the selection of individuals fit for higher positions and strengthen royal authority. Therefore, the succession right to the throne was decided by the rule of the eldest son in ‘King Jijeung lineage’ in Silla during 6-7<SUP>th</SUP> Centuries. However, in some cases political factors were more applicable than the right to succession based on the blood ties. What is more, after King Jinpyeon(眞平王), Seonggol(聖骨) became a very important requirement. Consequently, Silla had a unique phenomenon of the queens consecutively ascending the throne.

      • KCI등재

        신라시대 人名의 行列字 사용과 그 의미

        김창겸(Kim, Chang-kyum)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21 한국고대사탐구 Vol.39 No.-

        이 글에서는 신라시대 인명에 항렬자의 사용과 추이에 대해 살펴보고, 그 의미를 알아보았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신라는 중국과의 교류과정에서 성씨문화를 수용하여 왕족과 일부 최고 귀족층에서 사용하면서, 이와 더불어 신라 고유 순수식 이름은 중국 한자식 이름으로 변화하였다. 이 과정에서 인명에 돌림자가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중고기 신라왕실은 신성화와 왕권강화의 방법으로 남자는 물론 여자에게도 불교식 인명으로 돌림자를 표기하였다. 이후 친당정책을 시행하면서, 중대에는 유교식 이름과 돌림자가 왕족과 일부 진골귀족 사이에서 사용되기 시작했다. 또 하대에는 왕족과 진골귀족, 유학지식인들이 부계친의 형제를 넘어 從兄弟 범위로 확대하여 사용하였으며, 이들 중에는 왕경에서 지방으로 이주함으로써 지방에서도 인명에 항렬자 표기가 나타났다. 더욱이 이 시기에 이르면 지방의 고위 신분층 중에는 동일직계 내에서 각 세대별로 인명에 항렬자의 위치를 앞뒤로 다르게 하는 발전된 현상을 보인다. 그리고 신라 말에는 왕족과 진골귀족은 물론 6두품 중심의 유교지식인, 그리고 지방 세력가들 사이에는 성씨제와 함께 인명에 항렬자 사용이 확산되었고, 유교적 부계친족제가 강화되어 갔다. 이러한 문화적 분위기는 점차적으로 중앙뿐만 아니라 지방에도 전파되었다. 지방의 세력가와 지식인들은 여기에 자극과 영향을 받아 혈연과 세력집단을 표현하는 요소로 인식하고, 스스로 稱姓과 함께 한자식에 항렬자를 가진 인명을 사용하였다. 그러므로 성씨의 확산과 유교식 이름의 항렬자 사용은 궤를 같이하며 부계친족제를 강고화해 나갔다고 보겠다. 한편 인명의 항렬자 사용은 신라말, 즉 후삼국기와 고려 초기에는 좀더 확대되었다. 다만, 동일부계친이라도 어머니가 다른 경우에는 항렬자를 달리하여 모계를 아울러 표기하였다. 고려 초기 지배층에서는 성씨본관제 확립과 함께 인명에 항렬자 사용도 확대되고, 그리하여 부계친족제가 보다 강화되어 간 것으로 보겠다. 결국 신라시대 왕족과 일부 지배층에서는 인명에 行列이 존재하였다. 비록 그것이 고려와 조선시대 사용된 동일부계친 내에서 전후 세대간에 걸친 전형적인 항렬형식과 족보항렬에 비하면 비체계적이고 제도화되지 못했지만, 이것은 부계친족집단이 존재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In this article, I discussed the use of the same generation name of person names and change process, and its meaning in Silla. Silla accepted the Sung(姓) culture from China. This was used by the royal family of the Silla dynasty and some of the highest nobles. The Silla unique names of person changed to Chinese name. And the use of the same letters began in the family"s names. In the mid-ancient period of Silla, the royal man and woman marked the Buddhist name with the same letter. When the Middle Period of Silla, the name with the same letter as the Confucian name began. In the Late Period of Silla, This method was used to expand into cousins as well as brothers of paternal families. It was also the case in the local community. Furthermore, the upper class used the developed form of this: the same letter position was moved back and forth by each generation within paternal kinship group. On the other hand, in the end of Silla, The use of letters representing the same generation(行列字) in person names, by the royal family, Jingol(眞骨) nobles, Confucian scholars, and local powers, along with the surname system, has spread. The Confucian paternal kinship system has been strengthened. In the end, in Silla, the name of the same generation was used in the person name. Although this was neither systematic nor institutionalized, compared to the form of this and used on Genealogical Table(族譜) in the Goryeo-Joseon Dynasty. Nevertheless, this shows that paternal kinship group existed in Silla.

      • Prosodic Information in Phonological Levels

        Kim Chang-Kyum(김창겸) 새한영어영문학회 2002 새한영어영문학 Vol.44 No.1

        본 논문은 어휘적 운율정보가 각 음운 계층에서 일관적으로 유지되려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기존의 생성문법이나 최적성 이론은 묵시적으로 음절정보가 기저구조에서 나타나지 않는다고 가정하고 있다. 따라서 음절정보는 파생과정을 거쳐 각 계층에서 생성되거나 변하게 된다. 이는 기저구조는 음절 구조가 없기 때문에 발음을 할 수 없는 음운구조를 가지지만 표층구조는 발음을 할 수 있고 의미를 가지게 된다. 이는 골스톤 (Golston 1996)등에 의해서 ‘불가능한 현상‘으로 간주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음운제약의 위반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각 음운계층에 운율정보가 나타나고 그 정보는 가능한 유지되어야만 한다고 주장한다. 첫째 운율정보가 일관적으로 유지되는 현상은 모라의 보상연장 Compensatory Lengthening)에서 찾아 볼 수 있다. 모라는 일단 할당되면 음운 계층이 바뀌어도 그대로 유지 되기 위해서 모음이 생략되더라도 다른 모음이 길어짐으로서 그 모라를 그대로 유지한다. 둘째 음절 경계는 연음이 되더라도 그 경계는 그대로 유지된다는 것이다. 셋째 음보가 반복(Reduplication)에 의해 복사될 지라도 그 음보 수는 그대로 유지된다는 것이다. 넷째 음운론적 단어 경계는 똑같은 자음과 모음의 배열을 가질지라도 그 경계는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는 증거를 한국말의 음운현상에서 고찰할 수 있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기저구조나 업력계층에는 운율 정보가 전무하고 표층구조나 출력계층에서 운율정보가 생성된다는 것은 발음할 수 없는 추상적인 음운표현이 발음을 할 수 있는 구체적인 음운표현이 된다는 점에서 각 계층이 괴리되는 문제점이 도출된다. 하지만 위에서 제시된 것처럼 운율정보가 각 계층에서 그대로 유지되려는 경향이 있다는 것은 운율정보가 각 음운계층에 존재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심리적 측면에서 더 그럴듯하고 음운현상을 더 간단하게 만들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 KCI등재

        The Problematic Issues in SOT and English Phonological Processes in DOT

        Kim Chang-Kyum(김창겸) 신영어영문학회 2002 신영어영문학 Vol.22 No.-

        이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최적성이론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 이론의 문제점을 다소 나마 극복한 직접최적성이론 (Direct Optimality Theory: Golston 1996)을 바탕으로 몇몇 영어의 음운현상을 분석하는데 있다. 기존의 최적성 이론은 제약의 계층과 그 계층의 평가로 음운현상을 설명함으로써 신선한 충격을 주었다. 하지만 이 이론의 인기에도 불구하고 몇몇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우선 기존의 최적성이론은 입력과 출력이 잠재적으로 무한하다. 주어진 입력에 대해 출력은 무한한 출력의 후보자들의 집합 중에 하나이다. 그러나 이러한 가정은 입력과 출력을 위한 처리과정에 많은 시간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컴퓨터 모델, 인지학과 심리학적인 측면에서 문제점을 도출한다. 즉 이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끊임없이 돌게 할 수도 있고 인간의 두뇌가 이렇게 많은 데이터를 처리한다는 것은 실제적으로 그럴 듯하지 않은 것 같다. 두 번째로 기존의 최적성이론은 기저형태는 어떤 음절화 정보나 운률정보가 없는 반면에 표층구조는 필요한 모든 정보를 내포하고 있다. 이는 실제적으로 발음을 할 수 없는 철자의 배열이 발음이 가능한 형태가 된다는 점에서 무(無)가 유(有)가되는 것과 같다. 그러나 직접최적성이론은 모든 음운계층에 필요한 운율정보가 존재한다고 지적한다. 뿐만 아니라 음운표시를 마커(mark)가 된 것으로만 나타내고 이를 기존의 제약과 평가를 통해 적절한 출력을 도출한다는 점에서 위에서 지적한 문제점을 극복한다. 따라서 이 이론을 바탕으로 영어의 비음화 현상과 중화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은 기존의 문제점을 극복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는 것 같다.

      • KCI등재

        彌勒寺址 石塔 발견 銘文의 ‘大伯士奉聖’

        김창겸(Kim, Chang-Kyum) 백산학회 2004 白山學報 Vol.- No.70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Korea) found on an of inscription inside of the stone pagoda on the site of Mireugsa temple(彌勒寺址石塔) on June 26th, 2003. I studied this inscription in this paper. As a result, I’ve found that this inscription is read as ‘Daebaegsabongseong(大伯士奉聖)’, and ‘Daebaegsa’ is a government post related to Buddhist affairs, and ‘Bongseong’ means Bongseongsa(奉聖寺) temple. And, through this inscription, I can also suppose that Mireugsa temple was controlled and maintained by Bongseongsa-seongjeon(奉聖寺成典) at the capital of Silla. I also understand that the stone pagoda of Mireugsa temple was renovated during the reign of king Gyungdeog(景德王). The inscription letters saying that Daebaegsa of Bongseongsa temple had joined this construction was found under renovation of the stone pagoda at the site of Mireugsa temple.

      • KCI등재

        신라 문무왕(文武王)의 해양의식(海洋意識)

        김창겸 ( Kim Chang-kyum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17 탐라문화 Vol.0 No.56

        신라 문무왕의 호국적 해양의식의 형성과 실천에 대해 살펴보았다. 문무왕은 삼국통일과정에서 陸戰은 물론 금강 하구에서 백제부흥군과 왜의 연합세력을 패퇴시킨 白江戰鬪와 나당전쟁시 당 수군의 상륙을 저지하여 한반도 내지에 주둔하고 있던 당육군에게 군수물자 공급과 이들의 합세를 차단한 서해안에서의 여러 海戰에서 승리함으로써 통일의 완수가 가능하였다. 이러한 문무왕의 해전과 해양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삼국통일후 船府를 설치하게 된 것이다. 한편 문무왕의 호국정신은 해양 및 불교와 매우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데, 그것은 해양경험과 해양인식에서 비롯되었다. 이러한 해양에 대한 의식은 그가 일생을 마감하면서 자신을 화장하여 동해에 散骨하면 왜의 침입으로부터 신라를 지키는 동해 大龍이 되겠다고 유언하는 것으로 승화되었다. 이것은 백강전투에서 패배하고 일본열도로 망명한 백제유민과 왜 세력의 침공을 우려한 강박감에서 비롯된 것이다. This paper analyses patriotic consciousness of 30th King Munmu in Silla toward ocean. Furthermore He gave considerable thought to awareness of worship to Buddhism. For example, even after his body was cremated and scattered in the East Sea, according to his will, he described himself as a dragon in the East Sea(東海) that is to protect Silla. As it illustrated above, King Munmu has his own specific ocean consciousness. it was proved by the fact that he made the system for shipping business, called ‘Sunbu’(船府). It exams if the consciousness was caused by his obsessional emotion about the Baekje(百濟) people and Japanese invasion.

      • KCI등재
      • KCI등재

        신라의 悉直國 복속과 지방통치의 추이

        김창겸(Kim, Chang-kyum) 신라사학회 2014 新羅史學報 Vol.0 No.32

        This article deals with Siljikguk and its subjugation by Silla, as well as with the development of local ruling system. Since Siljikguk(Samcheok) managed Siljikgokguk(Angang) trade zone, territorial disputes were inevitable. The dispulatble land Eumjeupbeolguk and Siljikguk were lost due to the decision of King Suro of Geumgwanguk. After Silla conquered Eumjeupbeolguk, Yeongil Bay was incorporated into Silla. In the face of threat and in order to put its lands into use Siljikguk surrendered to Silla. Silla accepted surrender of Siljikguk and withdrew the indirect ruling system. Meanwhile, Goguryeo and Malgal frequently were invading Silla’s territory. Silla dispatched an army, built a castle, and attempted an introduction of a direct ruling system by appointing SeongjufCommander of Fortress) in the late 4th century. However, after the expedition of King Gwanggaeto in 400, the area got under Goguryeo indirect ruling system. In the mid 5 th century Silla reclaimed the area of east coast and in the late 5th century the central government dispatched Dosa and Seongju to directly rule over it. The ruling system of Silla faced huge changes especially in the beginning of the 6th century. Siljikju was built in 505 and Isabu was appointed as Gunju. Therefore, central parts of the ea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got completely under Silla’s rule.

      • KCI등재

        신라 하대 정치형태와 국왕의 위상

        김창겸(Kim, Chang-Kyum) 한국고대사학회 2016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83

        흔히 신라 하대의 정치형태를 ‘貴族聯立’이라 말하나 그리 딱히 적합한 표현은 아니다. 國王은 모든 관직과 진골 신분을 초월한 존재였다. 다만 비정상적으로 즉위하여 王統이 바뀐 宣德王代와 文聖王代는 왕과 유력한 가계의 세력자에 의한 연합정권의 색채가 농후하였다. 그러나 비정상적인 즉위라 해도 왕통이 바뀌지 않은 憲德王 · 興德王代는 정치적으로 太子(副君)나 上大等 · 兵部令에 임명된 아우들보다 초월한 왕이면서, 친족상으로 兄弟가 함께 중요 관직을 독점함으로써 권력을 공유하는 형태의 王家에 의한 寡頭政이라 할 수 있다. 더구나 元聖王과 景文王은 강한 專制的 王權을 행사하여 皇帝의 위상을 추구하였다. 그리고 시간적으로 보아도 전체 780~889년 중 귀족연립적 성격을 보였던 것은 宣德王(780~785)과 僖康王 · 閔哀王 · 神武王 · 文聖王 재위기(836~857)로 28년 정도에 불과하고, 대부분 시기는 그렇지 않았다. 한편 元聖王과 景文王家期에 국왕이 황제적 위상을 가졌다고는 하나, 중앙 진골귀족들이 정권에서 이탈 현상으로 정부의 기능은 점점 약화되어갔다. 결국 眞聖女王代에 이르러 농민반란이 발생하여 전국이 혼란에 빠졌으며, 또 중앙 통치력이 지방에까지 미치지 못하자 지방세력이 대두하였다. 그 결과 後三國의 혼란기를 맞이하고 마침내 신라는 멸망하였다. The form of politics in the Late Period of Silla is commonly referred to as ‘aristocratic coalition’. However this term is not accurate. As kings of Silla were considered beings of position transcending all public offices and Jingol(眞骨). Only the rule of King Seondeok and King Munseong who ascended the throne in abnormal way changing the royal line, holds apparent indications of coalition government formed by the strong lineage. However, the monarchs who ascended the throne through succession as King Heondeok and King Heungdeok, were stronger rulers than politically appointed crown prince or Sangdaedeung(上大等), Byeongburyeong(兵部令). Ruling together as brothers, they exclusively shared the power of main public offices forming an oligarchic system run by the royal family. Among others, King Wonseong and King Gyeongmun were rulers wielding an absolute authority, pursuing the status of the emperors. In terms of time, the rule over the whole period between 780~889 has characteristics of aristocratic coalition including King Seondeok and King Huigang, King Minae, King Sinmu, King Munseong. Apart from these 28 years of their reign however, other periods do not show traces of aristocratic coalition. Under King Wonseong and King Gyeongmun kings had a status of the emperor. But after the breakaway of Jingol aristocrats, the power of their government started to diminish. Queen Jinseong had a strong local influence resulting in the progression towards new period of the Late Three Kingdoms and ultimate collapse of Sill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