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石室墓造營을 통해 본 渤海의 北方經營

        김진광(KIM Jin-kwang) 고구려발해학회 2008 고구려발해연구 Vol.30 No.-

        This paper takes note of the fact that stone chamber tombs, the main burial style of Balhae, is widely distributed in the Heilongjiang province area, and examines Balhae’s territorial expansion northward to this area. The dominant burial style of the 2nd Songhua river area, where the Malgal people resided, and the Russian Maritime Provinces, where the Heuksumalgal people resided, is the earthen pit tomb and these tombs are densely distributed in this area, whereas the stone chamber tomb, the main burial style of Balhae, is found densely distributed in the central area of Balhae, beginning with the Yukjeongsan tumuli, the area where the Balhae state was founded. The chronological dating of the tombs also shows that the earthen pit tomb, the main burial style of the Malgal people, was actively constructed before the foundation of Balhae and the stone chamber tomb began to be constructed beginning with the founding of Balhae. This disproves existing theories that Balhae was a state founded by the Malgal people and that Balhae’s burial style changed over time from earthen pit tombs to stone chamber tombs. Stone chamber tombs are also densely distributed in the Sanggyeong area, where Balhae’s capital was located. Theories concerning the date of construction of these tombs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1)from the founding of the state to before the move of the capital to Sanggyeong, 2)between the move of the capital from Sanggyeong to before the move of the capital to Donggyeong and 3)after the return of the capital to Sanggyeong. But concerning the construction of stone chamber tombs in the Heilongjiang province area, the period worthy of notice is the period before the move of the capital to Sanggyeong. Because the Heuksemalgal, a powerful enemy to the north, who allied with and betrayed Balhae according to changing situations, was a heavy burden to Balhae and Balhae had to be on guard at all times. Balhae inhabited this area for approximately 30 years from the move of the capital to Sanggyeong in 755 until the relocation of the capital to Donggyeong in 785. In order for Balhae to relocate the capital to the Sanggyeong area, defences had to be erected not only for the central Sanggyeong area itself but also against the Heuksumalgal. Therefore the construction of stone chamber tombs in the Heilong jiang province area can be dated to the time around the relocation of the capital to the Sanggyeong area, and the construction of stone chamber tombs north of the Sanggyeong area can be dated to the period before the move of the capital to that area. The stone chamber tomb, which was a Koguryo influence, was a distinguishing feature of Balhae burials, and the fact that there are dense concentrations of stone chamber tombs in newly occupied territory means that there was a great(significant) influx of stone chamber tomb builders to this area in large numbers. This means that Balhae’s administration reached this area to the extent that large numbers of stone chamber tombs were able to be built and that this area was directly (ruled)administered by the Balhae government.

      • KCI등재

        발해 건국초기의 강역-營州道를 중심으로-

        김진광(Kim Jin-Kwang) 한국고대학회 2004 先史와 古代 Vol.21 No.-

        When to explain the Parhae's domain of it's establishment early stage, the traffic road has a considerable significance not only as the pathway to spread the it's culture and institutions(典章文物制度) to the regions, but also as the pathway of foreign transactions. It's possible to confirm through documentary records that 5 passages such as abbreviated as the Route of Japan(龍原日本道), the Route of Silla(南海新羅道), the Route of Abrog(鴨?朝貢道), the Route of Yingzhou(長嶺營州道), the Route of Khitan(夫餘契丹道) had existed even in Parhae. Despite it, the researches regarding Parhae's routes haven't been made abundantly. The majority of the existing researches inclined to investigate its' exposure basing on the archeological results. Here the critical point is a reality the researches related to the period of the establishment period, the connection with the Parhae's domain or the meaning of the Route of Yingzhou(營州道) haven't almost conducted. Accordingly this paper examined the meaning, the establishment period, the relation with the Parhae's domain of it's establishment early stage and etc., laying stress on the Route of Yingzhou(營州道), one of the Parhae's routes. The name “Route of Yingzhou(營州道)” is differentiated with the names of the Route of Silla(新羅道), the Route of Japan(日本道) and the Route of Khitan(契丹道). The “Route of Yingzhou” was rooted in an area name, but the names of the other 4 routes were originated from directions of the arrived spot, the country name. The reason why the "Route of Yingzhou(營州道)" was determined as a name of route is because in this area the Andong protectorate(安東都護府) was located as of the foremost front of Tang Dynasty's(唐) domain and it was the important spot on the foremost front. Otherwise, the “Yingzhou(營州)” of the “Route of Yingzhou(營州道)” is a pronoun designating Tang Dynasty(唐) and simultaneously it means the foremost front's gate entering Tang Dynasty. The establishment period of the “Route of Yingzhou(營州道)” is related closely to the moving process of the first king Ko Tae jo-yong(高王 大祚榮). It was exposed to subjugation threat of Tang Dynasty till when Tae jo-yong, who established Parhae at Tongmosan(東牟山) by commanding and moving Koguryo's nomads from the “Yingzhou(營州)” seizing a chance of Li jinzhong's(李盡忠) as well as Sun wanying's(孫萬榮) rebellion, reached Tongmosan(東牟山), the early capital departing from “Yingzhou(營州)”. It seems to be that he set up the capital in the place where he could resolve such a threat and regarded the moving process as the safest and fastest way. Therefore it looks as though the route of the “Route of Yingzhou(營州道)” is exactly the moving process of the first king Ko Tae jo-yong(高王 大祚榮) and it's establishment period is the early stage of Parhae's establishment like the Route of Silla(新羅道), the Route of Japan(日本道), The Route of Abrog(鴨?道) and the Route of Khitan(契丹道). Parhae included Puyeo(扶餘), Okcho(沃沮), Pyunhan(弁韓), Chosun(朝鮮) and the Haebug various country(海北諸國) through expanding the military force after it's establishment at Tongmosan(東牟山) and the second king Mu Tae mu-yae(武王 大武藝) possessed the pivotal point of Parhae's domain by expanding the it. Due to Parhae's prospect the Andong protectorate(安東都護府), the foremost front of “Loose rein policy(羈?政策)” came to retreat to Liaoxi area(遼西) and the army corps(軍) and Shouzhuo(守捉) were located in Pingzhou(平州) as well as Yingzhou(營州) as the frontier's military affairs organization. Tang Dynasty(唐) set up 856 loose rein provinces(羈?州) all over the country. But the loose rein provinces(羈?州) set up in Tang Dynasty(唐) weren't included in 358 formal provinces(州郡) which were set up in the Tang Dynasty(唐) domain. And also these were within the province of Youzhou(幽州) and Yingzhou(營州) as for it's scope. If “Loose rein provinces(羈?州)” is the foremost front of the Tan

      • KCI등재

        조선시대의 발해 지리 인식과 전환 - 지리지의 발해 지리 정보 누락 원인을 중심으로 -

        김진광(Kim, Jin-Kwang) 효원사학회 2020 역사와 세계 Vol.- No.57

        이 논문은 『고려사』 지리지에 발해 관련 지리 정보가 전혀 반영되어 있지 않은 원인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고려사』 세가에 풍부하게 담겨있는 발해 관련 기사와는 달리 동서 지리지에는 그와 관련된 어떠한 정보도 남아있지 않다. 필자는 이러한 점에 문제의식을 갖고 조선 전기 편찬된 지리지를 대상으로 그 원인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이에 『고려사』 세가에 담겨있는 발해인식 및 고려로 귀화한 발해 유민 안치 기사를 검토하여 고려 조정에서 100여 년간 이어진 발해 유민들을 통해 관련 지리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수준의 충분한 정보를 확보하고 있었다고 인식하였고, 조선 전기에 편찬된 지리서를 검토하여 발해 지리 관련 정보 누락된 원인이 조선의 숭명배청 기조 및 이를 근거로 형성된 정통 왕조론과 밀접하게 관련되었을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명ㆍ청 왕조 교체에 따른 조선의 중원 왕조에 대한 위상 재정립, 양란 이후 나타난 실학자들의 북방 영토 회복 의지 및 발해 지리 고증 작업을 통해, ‘단군-기자-신라-고구려-백제-발해-고려-조선으로 역사 인식의 전환이 이루어졌음 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I considered the reason why there were no records related to the Balhae dynasty in the geography-related books compiled by the Joseon Dynasty, unlike the contents of the Balhae dynasty, which were abundantly recorded in the Sega(世家, noble family history) of 『Goryeosa』(高麗史, History of Goryeo). Accordingly, through consideration of the perceptions of Balhae in the 『Goryeosa』 Sega and the articles on residence following the naturalization of the Balhae people, it was recognized that the Goryeo Mediation had sufficient information to grasp the geography of Balha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geography compile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it was confirmed that the reason for the missing geographic records related to Balhae was closely related to the Orthodox Dynasty. The change in the perception of Balhae geography is through the re-establishment of the status of the Joseon Dynasty by the replacement of the Ming and Qing dynasties, the Silhak scholars" willingness to recover the northern territory after two Great War in the Joseon Dynasty, and it was judged that the transition of historical perception was made with Dangun-Gija-Silla-Goguryeo-Baekje-Balhae-Goryeo-Joseon.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홍준어장고분군의 사회적 지위 및 성격

        김진광(KIM Jin-kwang) 고구려발해학회 2012 고구려발해연구 Vol.42 No.-

        홍준어장은 흑룡강성 영안시에 위치한 323기의 고분이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고분군으로, 상경시기 발해국의 사회상과 문화상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의미가 있다. 지금까지 각 도성지에서 발견된 중요 고분군들이 고분의 유형과 축조방식, 그리고 규모와 부장유물 등에 대한 분석을 통해 발해시기의 왕실고분군 또는 귀족고분군 등으로 그 성격이 귀결된 것과는 달리, 홍준어장고분군의 경우는 아직까지도 그 성격이 분명하지 않았다. 이에 고분의 유형과 분포상황에 주목하여, 고분의 분포에 따른 고분의 유형, 매장주체부의 변화, 묘향의 변화 등 3가지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이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홍준어장고분군 ⅠㆍⅡ구역에 분포하는 고분군은 석광(관)묘, 석실묘, 전실묘이고, 석실묘는 다시 장방형석실묘, 도형석실묘, 그리고 삽형석실묘로 분류된다. Ⅰ구역에는 석광(관)묘와 장방형석실묘가 분포하는 반면, Ⅱ구역에는 각 유형의 석실묘가 분포하고 있다. 이들에 대한 분포와 조영방식을 검토한 결과, 홍준어장고분군은 석광(관)묘→장방형석실묘→도형석실묘→삽형석실묘로 조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고분 매장주체부의 위치변화로, 홍준어장고분군의 매장주체부는 크게 지상, 반수혈, 수혈식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지상식은 195기로 주로 석실묘에서 조영되었고, 반수혈식은 석실묘와 전실묘, 그리고 수혈식에는 대부분의 석광, 석관묘와 석실묘가 조영되었다. 석실묘에 선행하여 조영된 석광(관)묘는 50/55기가 지하, 석실묘 가운데 비교적 조영시기가 이른 장방형석실묘는 76/102기가 지상, 가장 늦게 조영된 삽형석실묘는 45/89, 43/89가 지상과 반지하에 조영되었다. 이로써 홍준어장고분군은 매장 주체부를 지하에 두는 석광(관)묘에서 석실묘로 조영주체가 변화된 이후 주로 매장주체부를 지상에 두다가 지하에 조영하는 방향으로 전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묘향의 변화가 매우 복잡한데, Ⅰ구역에서는 주로 160∼180°인 남쪽방향은 19/39기가 존재한다. 이와는 달리 Ⅱ구역에서는 묘향이 좀 더 다양하게 분화되어, 90∼180°인 동남향이 주를 이루고, 이를 다시 세분하면 동동남인 90∼135°인 고분은 29/323기, 동남남인 135∼160°인 고분은 48/323기, 그리고 남남동인 161∼180°인 고분은 137/323기에 달한다. 그밖에도 181∼213°까지인 남남서 방향의 고분은 71/323기에 달한다. 이들의 매장주체부는 지상이 전체의 195/323기, 반지하가 48/323기, 지하가 78/323기이지만, 석실묘 가운데 선행묘제인 장방형석실묘의 절대 다수의 매장주체부가 지상에 있고, 석실묘 가운데 가장 늦게 조영된 삽형석실묘 가운데 45/90은 지상, 43/90이 반지하로 조영되고 있어 전자에서 후자로의 변화가 확인된다. 결국 홍준어장고분군의 조영시기는 비교적 초기유형을 유지하고 있는 Ⅰ구역에서 Ⅱ구역으로 발전했고, 그 중심묘제는 지상에 매장주체부를 둔 석실묘이며, 석실묘 중에서도 장방형석실묘에서 도형석 실묘를 거쳐 다시 삽형석실묘로의 변화되었음을 알게 되었다. 각 유형의 석실묘가 홍준어장고분군의 Ⅱ구역에 집중되어 있고, 각 유형의 석실묘가 비약적으로 증가되면서 조영된 것은 고분조영집단의 급속한 유입으로 이해할 수 있다. 특히 장방형석실묘에서 도형석실묘로, 그리고 삽형석실묘로의 유형변화는 고분주체세력의 등급이 높아졌음을 상정하게 하는데, 적어도 아무런 장식이 없던 고분에서 꾸밈이 있는 고분으로의 변화는 매장주체들의 고급화로 인식되므로, 그것을 평민무덤으로 성격짓는 것은 재론의 여지가 있다.

      • KCI등재

        고고학적 관점에서 본 발해 건국 집단의 분화 · 재편과정 검토

        김진광(KIM, Jin-Kwang)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인문과학연구 Vol.0 No.56

        이 논문에서는 중국학계에서 말갈의 중심 묘제로 인식하고 있는 제2송화강 유역의 토광묘를 검토대상으로 삼아, 발해 건국지인 육정산고분군에서 확인된 이후 급격히 석실묘로 대체된 까닭이 무엇인지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고고학적 측면에서는 제2송화강 유역의 토광묘가 육정산고분군에서만 그 존재가 확인되는 점에 주목하였다. 문헌학적으로는 건국기 발해의 사회 모습, 말갈 대외 교섭권의 제한과 갈등 과정, 발해와 말갈간의 군사적 갈등, 말갈 세력의 일본으로의 이탈, 발해 사신과 말갈관리의 윗자리 다툼과정 등등의 관련 자료에 주목하였다. 그 결과 토광묘에서 석실묘로의 묘제 변화는 발해 건국 과정 및 그 후 정국 운영 과정에서 고구려 유민이 또 다른 주체인 말갈과의 정치적 경쟁에서 주도권을 확보함으로서 말갈의 정치적 위상이 급격하게 쇠락했고, 그 과정에서 이루어진 발해 건국 집단의 정치적 분화 · 재편의 결과가 묘제에 반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motive behind the rapid replacement of the stone chamber tomb after the pit-tomb of the second Songhua river basin, the center of the tomb styles of Malgal, was identified in the tombs of Liudingshan, the Balhae establishment sight. For further examination, this paper took notice of the pit-tomb of the second Songhua river basin that can only be identified in the tombs of Liudingshan in an archealogical aspect. In a philological aspect,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resources related to the society of Balhae during it’s establishment, the limitations and the discord processes of the international bargaining rights of Malgal, military conflicts between Balhae and Malgal, Malgal groups desert to Japan, the quarrel between the ambassador of Balhae and the administrator of Malgal for higher position, etc. As a result, it has been found that the transformation of the tomb styles from the pit-tomb to the stone chamber tomb was reflected by the outcomes of the division and the reorganization process of the establishment group of Balhae, which was effected by the rapid decline of Malgal’s political standing after the Koguryo migrants secured their leadership through political competition with another main agent, Malgal, during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Balhae and the government management process after Balhae was found.

      • Java 클래스파일 비주얼 분석기의 구현

        김진광(Jin-Kwang KIM),박우전(Woo-Jun PARK) 한국정보과학회 2000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Ⅰ

        본 논문에서는 자바 컴파일러에 의해 컴파일된 결과인 클래스파일을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있기 위한 비주얼 분석기의 구현에 대해 기술한다. 이 비주얼 분석기는 클래스파일의 모든 세부항목들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며 원하는 분석 결과를 저장할 수 있게 되어 프로그램의 이해 및 개발을 도와준다. 이 분석기의 구현에서 JDK1.3을 이용하였으며 화면구성은 JBuilder3.0을 사용한다.

      • KCI등재

        『滿洲源流考』의 전거자료와 발해 강역에 대한 서술태도

        김진광(Kim Jin-Kwang) 한국고대학회 2018 先史와 古代 Vol.- No.58

        본고는「만주원류고(滿洲源流考) 」에 담긴 전거자료를 분석하고 그 서술태도를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만주원류고」의 편찬 배경과 인용 사료 분석을 시도하였으며, 발해 강역 및 지리 서술의 특징을 검토하여 「만주원류고」의 사료적 가치를 살펴보았다. 총 20권으로 구성된 「만주원류고」는 만주족(滿洲族)을 벼리로 삼아 그 역사의 유구함과 찬란함을 고증한 책으로, 79종의 사료를 인용하여 글의 대강(大綱)을 형성하였고, 약 1,800여 개의 주석을 활용하여 본문의 중요 내용을 고증하였으며, 각 권의 중간 또는 끝에 50여 개의 사론을 붙여 그 내용을 정리하였다. 만주원류고 ‘부족(部族)’에서는 숙신(肅愼)으로부터 완안씨(完顔氏)에 이르기까지 동이(東夷)에 속한 민족을 다루었고, ‘강역(疆域)’과 ‘산천(山川)’에서는 이 민족들이 활동했던 지역을 고증하였으며, ‘국속(國俗)’에서는 이들이 창조해 낸 다양한 문화를 다루었다. 하지만, 청대 고증학(考證學)에 기반을 둔 치밀한 고증에도 불구하고 곳곳에서 논리적 모순이 확인된다. 그 대표적인 예가 발해의 주요 행정구역에 대한 지리비정 오류이다. 발해 건국지 ‘동모산(東牟山)’은 ‘심양(瀋陽) 부근의 천주산(天柱山)’에 비정되었고, 건국지인 ‘계루고지(桂樓故地)’는 ‘읍루의 옛 땅(挹婁故地)’이 되었으며, ‘천문령(天門嶺)’은 ‘승덕현(承德縣)’, 발해와 신라의 국경 ‘니하(泥河)’는 ‘요양(遼陽) 인근의 강’으로 인식되었다. 더 나아가 ‘중경현덕 부(中京顯德府)’가 ‘요양’에 설치된 것으로 인식되었는가 하면, 고구려 ‘평양’은 ‘안원부(安遠府)’가 설치된 곳으로 이해되기도 하였다. 그래서 한민족 관련 지리비정이 만주 서쪽의 요하(遼河) 인근에 집중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신라 백제의 대륙 존재설도 이렇게 형성된 결과 이다. ‘계림(鷄林)’과 ‘길림(吉林)’의 음운이 서로 유사한 점과 ‘문화적 유사성’에 착목하여 논증하였지만, 이 두 고대 국가가 길림 지역에 존재했음을 살필 수 있는 충분한 근거는 제공하지 못했다.「만주원류고」는 당시까지 유통되었던 24사를 포함한 수많은 문헌들을 인용하고 고증하였음에도, 그릇된 동이관념(東夷觀念)에 의한 역사인식과 주관적 이해에 근거하여 한국고대사 관련 지리 비정에서 상당한 오류를 만들어냈다. 이에 사료로서의 가치를 인정하고 활용하기 위해서는 치밀한 사료비판이 필요하다 하겠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historical sources and descriptions of Manchuwonryugo (滿洲源流考) . For this, its editing background and historical materials for citation were analyzed. Specifically, this paper investigated the historical value of Manchuwonryugo by reviewing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Balhae’s territory and geographical features. Manchuwonryugo is a historical series comprised of 20 books, which examined the eternal and glorious history of Manchuria (滿洲) through analysis of the Manchu people. The outline was formed by citing a total of 79 books of historical materials. Using nearly 1,800 notes, the historical veracity of the contents was confirmed. In addition, approximately 50 historical theories were added in the middle or end of each book. In terms of ‘Ethnic (部族) ’ subset, the ‘Dong Yi (東夷) ’ people from ‘suksin (肅愼) ’ to the ‘Wanan Clan (完顔氏) ’ were examined. Regarding ‘Territory (疆域) ’ and ‘Nature (山川) ’, the areas where they had lived were investigated. Regarding ‘National Manners and Customs (國俗) ’, their diverse culture was examined. Despite such thorough investigation based on the evidential research of the Qing Dynasty (淸朝) , logical inconsistencies such as geographical maladministration of Balhae’s administrative districts have been found. Balhae’s foundation site, ‘Dong Mou Mountain (東牟山) ’, was wrongly recorded as ‘Tianzhu Mountain (天柱山) ’ near Shenyang (瀋陽) . In addition, the ‘Gyeru Area (桂樓故地) ’ became the ‘Eupru Area (挹婁故地) ’. Furthermore, ‘Tianmenling (天門嶺) ’ and ‘Niha (泥河) ’, a national border between Balhae (渤海) and Silla (新羅) , were recorded as Chengde County (承德縣) and Liaoyang (遼陽) , respectively. It was also written that Junggyeong-hyeondeokbu (中京顯德府) was established in Liaoyang, and Pyongyang (平壤) , the capital of Goguryeo (高句麗) , was founded in the place where Anwonbu (安遠府) was established. As a result, it recorded that logical inconsistencies of ancient korean history mostly originated from Liaohe (遼河) , the western part of Manchuria. The theory of the existence of the Silla Dynasty and Baekje Dynasty in the mainland of China was also formed in this manner. This theory was demonstrated based on the fact that ‘Gyelim (鷄林 , Jilin ) ’ and ‘Gillim (吉林 , Jilin ) ’ have a similar phoneme under cultural similarities, but this study failed to provide sufficient grounds to prove that the two ancient states actually existed in Jilin. This study thoroughly investigated the historical truth of Manchuwonryugo by referring to numerous literature records including the Twenty-Four Histories. Due to historical errors such as the Concept of Dong Yi-based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geographical maladministration based on subjective understanding, there should be acute judgement of historical materials in order to verify and utilize their values.

      • KCI등재

        비교문화학적 관점에서의 발해 다인장 연구

        김진광(KIM, jin kwang)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0 민족문화논총 Vol.76 No.-

        본고는 발해국 고분문화의 주요한 특징인 “다인장” 검토를 통해, 발해 장례풍속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고 그 성격 및 문화적 연원을 고찰하기 위한 목적에서 작성된 글이다. 그동안 발견된 발해 고분 1,240기를 유형별로 분류하고 인골이 확인된 408기 장속을 검토하여 15.4%에 달하는 63기가 다인장임을 확인하고, “다인장=순장” 및 “다인장=가족장”이라는 학계의 주장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매장주체부가 반복적으로 사용되어 동시에 묻혔을 가능성이 낮은 점, 동일한 공간에 묻혔더라도 그 묻힌 상태나 공간 배치만으로는 종속관계를 구분할 수 없는 점에 근거하여 “다인장=순장” 주장은 그 근거가 충분하지 않고, 또한 구국에서 중경, 다시 상경으로 이동하면서 그 빈도가 높아지는 현상은 순장의 확대보다는 현지 고유의 문화와 새로 유입된 문화의 습합 과정에서 형성된 혈연 중심의 장례 문화, 즉 다인장이 확대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This paper is an article that deepens the understanding of the customs of the funeral in Balhae and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funeral customs through the review of the multi-burial system , which is the main characteristic of the burial culture in the Balhae country. First, 1,240 tombs found in the Balhae area were classified by type. Among them,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funeral customs of 408 tombs in which human bones were identified, multi-burial system were found in 63, accounting for 15.4%. Based on this, the arguments of the academic world were reviewed: multi-burial system=burial of the living with the dead and multi-burial system=family tomb. As a result, it was relatively low that the tomb was used repeatedly and buried at the same time, and even human bones buried in the same space could not clearly distinguish the subordination relationship only by the buried state or space arrangement. Accordingly, it was found that the argument of multi-burial system=burial of the living with the dead raised in the academic world was not sufficiently logical. In addition, multi-burial system , which is commonly found in the Balhae tombs, tends to increase as it moves to the Sanggyeongthrough Junggyeong area. This can be understood as a result of the development of a kinship-centered funeral culture in the process of mingling the local culture and newly introduced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