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용성 공학 규격을 위한 중증 척수 손상 장애인의 전동 휠체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가이드라인

        김지해(Agnes Jihae Kim),권오성(O Seong Kweon),이병종(Byeong-Jong Lee) 대한기계학회 2018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8 No.12

        Usability of assistive device is important because it shows user’s level of participation in multiple roles. The user interface of the power wheelchair is complex and various because users with severe disabilities operate their wheelchair using the remaining body functions. Many power wheelchairs are regulated as medical devices. To improve usability, Korea MFDS and FDA require manufacturers to develop medical devices in accordance with the usability engineering standard. However, this standard shows only goal. Therefore, this study results a guideline to providing how to improve usability. When designing user interface for power wheelchair, considerations are even more complex such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son with disability, the various assistive devices and the use environment/context. Therefore, the authors conduct user research and derive user interface design guideline with the results of user research. There are user characteristics, usage status, user requirements in the user interface design guideline.

      • KCI등재

        척수 손상 장애인을 위한 전동 휠체어 사용성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례 연구

        김지해(Kim, Agnes Jihae),권오성(Kweon, O Seong),김정현(Kim, Jung Hyu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3

        본 연구는 제안된 휠체어 사용자 조사 방법론을 통해 척수 손상 장애인인 전동 휠체어 사용자의 섀도잉(인터뷰와 관찰) 결과이다. 전동 휠체어의 기본 컨트롤러, 개조 컨트롤러, 특수 컨트롤러 사용자가 휠체어 및 관련 보조기기, 보조인, 환경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설명한다. 주제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섀도잉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 세 가지 상호작용에서의 이슈 사항과 디자인 개선점을 도출하였다. 사용자-제품 상호작용에서는 사용자 몸과 같이 움직일 수 있는 전동 휠체어, 다른 보조기기의 컨트롤러 공유, 다양한 컨트롤러의 형태와 종류 고안, 짐 보관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며, 사용자-보조인 상호작용에서는 휠체어 사용 전 과정, 특히 외출 준비에서의 보조인과의 의사소통을 고려해야 하며, 사용자-환경 상호작용에서는 휠체어 사용자가 불안감을 느끼거나 위험한 상황에 놓이게 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해결책 강구와 같은 디자인 함의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섀도잉 관찰결과는 중증 척수 손상 장애인이 전동 휠체어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에 대해 논의하였고, 논의 결과가 전동 휠체어 디자인 가이드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presents the results of user shadowing (interviews and observations) of three power wheelchair users with cervical spinal cord injuries through proposed wheelchair user research methodology. The authors classify the subjects into basic controllers, modified controllers, and special controllers. The authors describe how users interacted with their wheelchairs and related assistive devices, their caregivers, and their environments. The results of the shadowing were analyzed using the thematic analysis method. From the analysis results, issues and design improvements were derived from the three interactions. In the user-product interac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power wheelchair which can move with user’s body, controller sharing of other assistive devices, form and type of various controllers, and storage of luggage. In user-caregiver interaction,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communication with the caregiver in preparation for going out. In the user- environment interaction, a design implication such as a solution for preventing wheelchair users from feeling anxiety or being in a dangerous situation has been derived. These shadowing observations discussed how the people with severely impaired spinal cord injuries interacts with power wheelchairs and the authors expect the results can be used as wheelchair design guide.

      • KCI등재

        지체장애인을 위한 이동 보조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분류 연구

        김지해(Kim, Agnes Jihae),권오성(Kweon, O Seong),신창범(Shin, Chang Beo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1

        장애인 보조기기는 장애인 사용자의 기능적 능력 및 일상생활활동에서의 편의를 증진시키는 제품, 서비스이다. 장애인 보조기기의 미활용 이유에 대한 조사 결과 보조기기에서의 사용성이 중요한 구매, 활용의 결정 요인이다. 사용자 터페이스는 이러한 사용성을 증진 시킬 수 있는 사용자가 제품과 상호작용하는 수단이다. 하지만 국내 지체장애인을 위한 보조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연구는 상대적으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체장애인이 가장 많이 소지하고 있고, 필요로 하는 이동 보조기기를 대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분류하였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분류에 앞서 문헌조사와 현장조사(Rehacare2016 제품 관찰)을 바탕으로 장애 유형과 정도와 이동 보조기기의 유형에 따라 이동 보조기기 제품을 분류하였고 분류 결과에 대한 재활 전문가의 자문을 받았다. 이를 바탕으로 장애 유형과 정도에 따라 달라지는 사용 시나리오와 기능 별 이동 보조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분류할 수 있었다. 주로 장애 부위과 정도에 따라 크게 특성이 달라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추진 장치이며, 형태, 위치, 제동 장치와의 관계가 달라진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디자인 문가가 사용자의 장애 유형과 정도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이동 보조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하는 데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Assistive product is a product or service that promotes the functional capabilities and convenience of daily living activities of users with disabilities.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the reasons for using the assistive products for the disabled, it is considered that the usability of assistive products is an important determinant of purchase and utilization. The user interface is the means by which the user interacts with the product, which can enhance this usability. However, the study of user interface design of assistive products for people with disability in Korea is relatively lacked. In this study, the authors classified the user interface for the mobility assistive products which are most in need of the people with disability. Prior to classifying the user interface,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field research (observation of Rehacare 2016), the mobility assistive produc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 and degree of physical disability and the type of assistive products. And the authors received advice from rehabilitation experts on the classification results. Based on this, the authors could analyze the user interface of mobility assistive products which depends on the type and degree of physical disability. The user interface which has largely different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type and severity of the disability is a propulsion unit. The shape, position, and relationship to the braking system are differ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design experts will be able to util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design the user interface of the mobility assistive product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 interface design according to the type and degree of the user "s disability.

      • KCI등재

        척수 손상 장애인의 수동 휠체어 사용에 대한 사용자 조사 사례 연구

        김지해(Kim, Agnes Jihae),권오성(Kweon, O Seong),정도희(Jung, Do He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2

        장애인 보조기기는 장애인의 신체적이나 기능적인 불편함을 보완하고 일상생활에서의 편의를 증진시키는 데에 크게 기여한다. 보조기기는 장애인에게 있어서 개인의 일상생활용품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일상생활 활동과 환경적인 맥락을 고려하여 디자인 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동 보조기인 휠체어는 사용자, 보조기기, 보조인, 사용맥락과 환경을 고려한 사용성 측면의 사용자 조사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척수 손상 장애 정도와 사회 활동 정도에 따라 대표성이 있는 3명을 대상으로 수동 휠체어니즈 및 사용현황 파악을 위해 선행 연구에서 제안된 사전인터뷰, 쉐도잉 방법을 이용한 관찰, 사후인터뷰의 순으로 사용자 조사 예비 사례 연구를 실시하였다. 사회활동이 많은 흉수 손상 장애인 (흉수 10번), 사회활동이 비교적 적은 흉수 손상 장애인 (흉수 4-5번), 사회활동이 적은 경수 손상 장애인 (경수 3-4번)을 관찰하였다. 세 경우 모두 공통적으로 수동 휠체어의 경량화, 위생유지 및 휠체어 관리의 용이, 사용자의 근골격계 질환 발생방지에 대한 니즈가 있었다. 수동 휠체어 사용자 조사 결과, 휠체어 디자인을 위해 사용자-제품 상호작용(User to thing interaction) 측면에서 효과적인 이동, 신체 기능의 극대화와 더불어 신체의 변형이나 손상 최소화를 중점으로 고려해야 한다. 사용자-보조인 상호작용(User to person interaction) 측면에서 수동 휠체어 사용자의 척수 손상 레벨이 높아질수록 보조인의 역할이 늘어나기 때문에 장애인과 보조인의 관계를 고려하여 인터페이스를 디자인해야 한다. 사용자-환경상호작용(User to environment interaction) 측면에서 수동휠체어는 단거리 이동 보조기기이기 때문에 장거리 이동을 위해 차량에 탑승과 보관의 용이성에 대한 추가적인 개선이 필요하다. 그 외에도 사용패턴에 따라 다른 제품 및 보조기기와의 호환성, 보관 및 휠체어 위생유지와 관리의 용이함은 휠체어 사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휠체어 사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의 인터랙션에 중점을 두고 관찰을 진행하며 사용자의 니즈를 만족시키고 사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디자인 인사이트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휠체어, 휠체어 관련 보조기기 디자인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ssistive de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supplement physical or functional discomfor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enhance their activities of daily living. Assistive device is a daily living implemen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so it should b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user’s daily activities and environmental contexts. Therefore a wheelchair user research considering user, context and environment is necessary. In this study, the authors chose 3 subjects as the level of spinal cord injuries (SCI) and carried out research explanation, pre-interview, observation with shadowing and post-interview in order for figuring out wheelchair needs and usage. Two thoracic(T) SCI participants with a lot of social activity (T10) and with less social activity (T4-5), a participant with cervical(C) SCI were observed (C3-4). In all of three cases, participants had needs for weight lightening of wheelchair, simplicity of hygiene and management of wheelchair, and prevention of musculoskeletal disease. In the aspect of ‘user to thing interaction,’ authors concluded that effective movement, maximization of body function, as well as minimizing the physical impairmen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aspect of ‘user to person interaction,’ the interface should be designed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 and care giver because the role of care giver increases as the manual wheelchair user’s spinal cord injury level getting higher. In the aspect of ‘user to environment interaction,’ manual wheelchair needs additional improvement about ease of boarding and storage in vehicles for long-distance travel because it is a short-distance mobility assistive device. Besides, wheelchair usability can be enhanced considering compatibility with other assistive devices as the use pattern, ease of storage, ease of wheelchair hygiene maintenance and management. This study focused on the interactions among factors affecting the usability of wheelchairs and aimed to derive design insights to satisfy user’s needs.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wheelchair and wheelchair assistive device design.

      • 스마트폰 중독 억제에서의 색의 효과 : 경고 메시지에서의 색의 시인성과 양립성에 따라

        김지해(Agnes Jihae Kim),고의석(Euisuk Ko),도영민(Youngmin Do),한유경(Uyookyoung Hahn),반윤(Yun Pan) 한국HCI학회 201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1

        오늘날 스마트폰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어디에서든지 스마트폰을 들고 다니는 사람들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중독과 관련된 문제점이 제기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최근 새로운 소프트웨어에 널리 퍼지고 있는 기술인 경고메시지의 색에 대한 조사와 테스트를 통해 스마트폰 사용을 억제하여 중독에 관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경고 메시지는 사용자들이 오랫동안 컴퓨터나 다른 전자제품을 사용할 때 스크린에 제시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 연구에서는 실제상황에 따라 이 경고 메시지를 포함한 프로그램을 만들어 테스트 하였다. 특히 이 연구 결과는 UI디자이너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은 색의 시인성과 양립성을 바탕으로 조사를 하였고, 이를 통해 경고 메시지의 가용성과 활용성을 연구한다. Today with the popularity of smart mobile phone people confess to use smartphone everywhere from the dining table to the bathroom and bedroom. There are many young users indulge in these small smart phone devices. Their for in this study a technique that has recently been popular on new software called a "warning window" will be investigated and tested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to reduce the users use of the device. A warning window is a window that will pop up after a set number of hours of use of the device to inform the user of his extended use. Warning windows will be tested to see how UI designers can learn to design a window more efficient. This paper is based on the visibility and compatibility study, by using the reaction time measurement, to discuss the availability and operation of smartphone "warning window".

      • KCI등재

        중증 척수 장애인을 위한 손작업 보조로봇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연구

        김지해(Kim, Agnes Jihae),권오성(Kweon, O Seo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6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2 No.3

        중증 척수 장애인은 척수 장애인 중 경수 1번 손상에서 경수 4번까지의 손상 환자를 말한다. 경수 4번 손상인의 경우 팔다리 근육은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감각신경은 목 바로 아래 위쪽 가슴의 일부까지는 감각이 있으나 팔이나 손을 비롯하여 몸통, 다리 쪽에는 감각이 없다. 이로 인해 중증 척수 장애인은 일상생활과 사회생활을 위해 다양한 보조기기와 보조로봇을 필요로 하고 있다. 중증 척수 장애인이 움직임에 제한이 있는 지체 장애인이라는 사용자의 특성상 제품의 사용성 부족은 불편함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제품을 사용할 수 없는 요인이 되기 때문에 사용성에 대한 고려가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증 척수 장애인의 손작업 일부를 대신 하는 손작업 보조로봇의 사용성을 증진하기 위해 손작업 보조로봇의 제어부인 모바일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진행하고 그 과정과 방법, 결과에 대해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증척수 장애인의 특성과 사용 환경의 특성을 바탕으로 손작업 보조로봇의 모바일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진행하고 사용성 평가를 진행한다. 사용성 평가는 중증 척수 장애인, 비장애인, 임상 전문가를 대상으로 하며 평가 결과를 로봇 설계 및 제어 장치 개발 회사에서 기술적으로 구현 가능한 수준으로 화면 구성을 수정하는 데 반영하였다. 또한 디자인과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중증 척수 장애인을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에서 고려되어야 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과가 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보조기기, 보조로봇 종사자 및 관련 분야 연구자들에게 사용자 인터페이스 연구와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궁극적으로 장애인들이 장애를 극복하고 그들의 삶을 영위하는 데 기여하게 되기를 기대한다. Severe spinal cord injury patients refer to spinal-injured patients with injuries within the levels Cervical 1 to Cervical 4. Most patients at C4 level injury are not able to use their arm and leg muscles. Their sensory nerves are active from just below the neck to part of the upper chest, but they don"t have sensory feeling in their legs or torso. This makes it inevitable to develop various assistive devices or robots to help their daily and social lives. Therefore, it is more than important to consider usability, since low level of usability not only leads to usage inconvenience but also can be a direct factor for not being able to utilize the device. Therefor, in this research, the author’s objective are to design the mobile device application user interface, which is the brain center of the hand work assistive robot, and to study the process, method and result. This in return, will enhance the usability of hand work assistive robots for the physically challeng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user environment of severe spinal cord injury patients, hand work assistive robot mobile device interface design was developed. Usability evaluations were also conducted by people with severe cord injury, normal people(assistive device novice) and clinical specialist. The results were used to modify and develop application to a level technologically feasible enough for the robot design and control equipment development. And the author came up with a design implications of the mobile device application user interface design for severe spinal cord injured patients. The authors hope that implications learned from this process will serve as the basis of user interface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assistive device or robot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in related fields. Eventually, the authors aim to contribute in encouraging the disabled people to overcome their disabilities and lead their own l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