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미기록종 Navicula spartinetensis (Bacillariophyceae)의 분류 및 분포

        김혜숙,김종성,박진순,KIM, HYESUK,KHIM, JONG SEONG,PARK, JINSOON 한국해양학회 2020 바다 Vol.25 No.4

        The genus Navicula, with its notably high species diversit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genera of the diatom assemblages of the tidal flats. In the present study, Navicula spartinetensis was firstly observed from Yellow Sea including both of Korean and Chinese tidal flats. Morphological description was also made based on the LM and SEM observation. Samples were collected from four locations in Korea, two in October 2006, one in July 2007, and one in July 2018, and seven location in China from June to July 2018. N. spartinetensis was firstly described by Sullvian & Reimer in 1975; Cells are lanceolate with narrow valve faces, 20-30 ㎛ long, 5-6 ㎛ wide, and the density of striae is 12-13 in 10 ㎛, and the terminal raphe ending curved in the same direction. N. spartinetensis has been previously reported from Europe and South America, and the present study has expanded its distribution to the Northeast Asia. In conclusion, the diversity of Korean marine benthic diatoms is still underestimated thus extensive further study of diatom taxonomy is needed.

      • KCI등재

        해양저서동물의 정량적 자료에 대한 정도관리 현실과 개선안

        최진우,김종성,송성준,류종성,권봉오,CHOI, JIN-WOO,KHIM, JONG SEONG,SONG, SUNG JOON,RYU, JONGSEONG,KWON, BONG-OH 한국해양학회 2021 바다 Vol.26 No.3

        해양저서동물은 해양의 환경오염에 대한 모니터링과 평가에 활용되었고, 최근에는 생물다양성과 생태계 복원의 관점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서 인식되고 있다. 한국에 있어서도 오염상태를 평가하는 환경영향평가에 주요 구성원으로 들어가 있어서 많은 연안역에서 저서동물군집에 대한 정량적 연구가 1970년대 중반 이후 50년간 수행이 되었다. 이런 연구의 종 동정에는 생태전문가가 일정기간 분류에 대한 교육을 받아서 수행해 온 것이며, 그 과정에서 저서동물의 동정을 소홀히 하였거나 잘못 동정하여 정보축적에 혼선이 있었으며, 분류전문가 부족으로 저서생물 시료를 종 수준까지 다루지 못한 것이 현실이었다. 해양생태계 기본조사와 같은 국가적인 연구조사에서도 저서동물에 대한 종 동정에 분류학 전문가의 참여가 적다는 것이 현실이고, 이로 인한 저서동물군집 자료에서 일부 분류군의 종 동정이 미흡하여 자료의 질적 저하를 초래한 면이 있었다. 영국에서는 해양생물의 정량적 자료 생성을 표준화하기 위해서 1990년대 국가해양생물분석질관리계획(National Marine Biological Analytical Quality Control, NMBAQC Scheme) 이라는 정도 관리체계를 만들었고, 국가 해양모니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모든 기관에 해양생물 분석역량을 측정하고, 미흡하면 재교육과 훈련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는 아직 이러한 해양생물을 조정할 수 있는 기관과 인력이 미흡한 실정이다. 국립해양생물자원관과 같은 공인기관이 존재하고 있어도 생태자료를 담당할 인력 부족으로 생태자료의 정도관리를 맡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렵다. 따라서 이에 대한 개선안으로서 단기적으로는 (1) 최소한 주요 우점종에 대한 종 동정을 분류전문가에게 확인을 받는 방안, (2) 가능하면 생물군별로 분류전문가를 연구조사에 참여시키는 방안이 필요하고, 장기적으로는 (3) 다양한 분류전문가를 포함하는 (가칭) '(재단법인) 해양생물 분류협회'를 설립하여 생물자료에 대한 정도관리와 전문가 양성과 훈련을 주관하는 방안 등을 제안하는 바이다. 향후 법인의 설립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이나 법제적인 문제는 학회나 공청회를 통하여 보완하는 방안이 있겠다. Marine benthic organisms have been used as the indicators for the environment assessment and recently considered as a very important component in the biodiversity and ecosystem restoration. In Korean waters, the quantitative data on marine benthos was used as one of major components for the marine pollution assessment for 50 years since 1970s. The species identification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quantitative biological data was mainly performed by the marine benthic ecologists. This leads to the deterioration of the data quality on marine benthos from the misidentication of major taxonomic groups due to the lack of taxonomic expertise in Korea. This taxonomic problem has not been solved until now and remains in most data from national research projects on the marine ecosystems in Korean waters. Here we introduce the quality assurance and control (QA/QC) system for the marine biological data in UK, that is, NMBAQC (Northeast Atlantic Marine Biological Analytic and Quality Control) Scheme which has been performed by private companies to solve similar species identification problems in UK. This scheme asks for all marine laboratories which want to participate to any national monitoring programs in UK to keep their identification potency at high level by the internal quality assurance systems and provides a series of taxonomic workshops and literature to increase their capability. They also performs the external quality control for the marine laboratories by performing the Ring Test using standard specimens on various faunal groups. In the case of Korea, there are few taxonomic expertise in two existing national institutions and so they can't solve the taxonomic problems in marine benthic fauna data. We would like to provide a few necessary suggestions to solve the taxonomic problems in Korean marine biological data in short-terms and long-terms: (1) the identification of all dominant species in marine biological data should be confirmed by taxonomic expertise, (2) all the national research programs should include taxonomic experts, and (3) establishing a private company, like the Korea marine organism identification association (KMOIA), which can perform the QA/QC system on the marine organisms and support all Korean marine laboratories by providing taxonomic literature and species identification workshops to enhance their potency. The last suggestion needs more efforts and time for the establishment of that taxonomic company by gathering the detailed contents and related opinions from diverse stakeholders in Korea.

      • 동북아시아 갯벌의 해양저서규조류 다양성에 대한 최근 연구 성과

        김혜숙(Hyesuk Kim),김종성(Jong Seong Khim),박진순(Jinsoon Park)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21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0

        규조류는 광합성을 하는 독립영양 생물로서 미세조류의 일종이다. 갯벌과 연안에서 저서 규조류는 가장 우점하는 1차 생산자로서 해양 생태계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규조류의 규산질 세포벽은 매우 다양한 형태를 가지고 있어 종을 구별하는 분류 형질로서 활용된다. 규조류 연구는 많은 경우 광학현미경 관찰에 의존하기 때문에, 종의 크기가 작거나 구조가 단순한 경우에는 무시되거나 오동정되기 싶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저서 규조류 다양성을 이해하기 위해 동북아시아 갯벌 여러 곳의 시료를 채집하여 관찰하였다. 그 결과 한국에서는 기록된 바 없었던 Navicula 속 1종과 Tryblionella 속의 2종, Plagiogrammopsis 속의 1종이 관찰하여 그 형태적 특징을 자세히 기재하였다. 더불어 단순히 명칭만이 보고되었던 Diploneis 속의 1종에 대해서 그 자세한 형태를 관찰하여 기재하였다. 또한 종의 형태적 특징과 함께 지리적 분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한국은 물론 동북아시아 갯벌에서의 해양저서규조류 다양성의 이해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iatoms are a group of microalgae which are photosynthetic autotrophs. In tidal flats and coastal areas, benthic diatoms play an important role in maintaining marine ecosystems as the most dominant primary producers. The siliceous cell walls of diatoms have very diverse shapes thur are used as classification keys to identify species. Because many of diatom studies rely on the observation under light microscopy, diatoms with small sizes and/or simple and inconspicuous morphology have easily been ignored particularly in terms of ecological studies. In the present study, the morphological classification and distribution of diatoms were investigated to better understand the diversity of marine benthic diatoms across the Northeast Asian tidal flats. As a result four speicies viz. one species of the genus Navicula, two species of the genus Tryblionella, and one species of the genus Plagiogrammopsis have been newly observed from Korea. In addition, a photographic information of a species of the genus Diploneis was also provided for the first time. Biogeographic information as well as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for the five species are described in detail, thereafter the present study will further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diatom diversity across the Northeast Asian tidal flats.

      • KCI등재

        통합적 하구관리 지원을 위한 우리나라 하구역 연구사업 현황과 정책방향 제언

        조현정,류종성,이강현,이범연,강대석,김종성,남정호,이창희,Cho, Hyun-Jeong,Ryu, Jong-Seong,Lee, Kang-Hyun,Lee, Bum-Yeon,Kang, Dae-Seok,Khim, Jong-Seong,Nam, Jung-Ho,Lee, Chang-Hee 한국해양학회 2011 바다 Vol.16 No.4

        2000년대 이후 우리나라의 하구환경 관리는 수십 년간 지속된 개발 일변도의 하구이용에서 벗어나 통합적 관점에서 하구환경을 보전하려는 정책적 변화가 시작되었으나, 그 동안 축적된 연구와 경험의 부족으로 이를 시행할 수 있는 지원 제도가 구축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최근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통합적 하구환경관리를 지원하기 위한 연구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 하구관리 정책지원을 위한 연구사업 현황을 크게 하구정책의 수요 충족, 인식 증진 및 지식기반 확충이라는 3가지 측면에서 해외 사례와의 갭 분석을 통해 검토하고, 전문가 대상 설문조사에 기초한 계층화 분석을 기반으로 통합적 하구관리 지원을 위한 정책적 방향을 모색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의 하구역 연구사업은 하구환경 관리를 위한 통합적 관점의 정책방향 설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 단위의 인식증진 활동, 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을 지원하는 직접적인 내용이 향후 연구사업에 반영되어야 할 것이며, 하구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 통합적 하구관리정책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는 현행 환경관리체제에 내재된 근본적인 문제와 우리나라 하구역 연구사업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의 개발이 요구된다. Estuaries have been used competitively and exploited for the past decades in Korea. To preserve the environment of the estuaries from the integrated perspective, new policies have started to change such exploitative development in 2000s. Due to the poor knowledge-base, however, there has been a lack of support system which enables to execute such policies effectively.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figure out the limits of the estuarine management research projects in Korea, which is being performed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It was studied through Gap Analysis between domestic and foreign advanced practices as well as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on expert survey in terms of the three aspects: how well the estuarine management research projects in Korea meets the demands of policy making and administration; raises the awareness of citizens about the merit of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establishes knowledge-based support system. This project turned out to reflect adequately the development of programs for building estuarine management systems. But consideration of other ministries was relatively scarce. But the contents which directly support community-based activities and educational programs to improve citizens' awareness were judged to be insufficien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Gap Analysis, research about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estuarine ecosystems, which can support to develop policy alternatives in detail, was relatively more necessary. Therefore, to support estuarine policy management effectively, the development of a realistic plan, which can overcome fundamental issues inherent in the Korean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and the limitation of the estuarine management research projects in Korea itself, is needed.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