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메리카잎굴파리 (Liriomyza trifolii)의 외부기생봉 굴파리좀벌 (Diglyphus isaea)의 생태적 특성 및 저장 조건 구명

        김정환,변영웅,김용헌,김황용,Kim, Jeong-Hwan,Byoun, Young-Woong,Kim, Yong-Heon,Kim, Hwang-Yong 한국응용곤충학회 2007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6 No.1

        아메리카잎굴파리 외부기생봉인 굴파리좀벌의 온도별 알, 유충, 번데기 발육기간과 성충의 산란수, 기주체액 흡즙수, 성충수명, 저온 저장력 등을 조사하였다. 굴파리좀벌의 알기간, 유충기간, 번데기 기간은 $25^{\circ}C$에서 각각 1.3일, 4.5일, 6.3일이었다. 성충의 산란수, 기주체액 흡즙수, 성충수명은 $25^{\circ}C$에서 각각 305.3마리, 657.0마리, 25.1일이었다. 아메리카잎굴파리 유충 영기별 굴파리좀벌의 산란선호성과 흡즙선호성을 조사한 결과 각각 90.2%와 82.8%가 3령 유충에 집중되었다. 굴파리좀벌의 저온저장에 따른 50% 생존기간은 꿀물 20%희석 용액을 제공할 경우 $5^{\circ}C,\; 10^{\circ}C,\;15^{\circ}C$에서 각각 180일, 150일, 90일이었다. 굴파리좀벌 저온저장 후 산란수는 저장기간 30일, 70일, 140일에서 각각 190.8개, 104.0개, 89.4개였다. Experiments have been performed to investigate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Diglyphus isaea (Walker), an ectoparasite of Liriomyza trifolii (Burgess). At $25^{\circ}C$, development time of D. isaea was estimated as 1.3 days for eggs, 4.5 days for larvae and 6.3 days for pupae. Adult longevity was 25.1 days, and a female adult could lay 305.3 eggs throughout its lifetime. Number of L. trifolii parasitized or killed by the wasp was 962.2 individuals/adult. Most of all parasitized or killed larvae were identified as third instar. With 20% honeyed water as food source, half of the adults could survive 180 days at $5^{\circ}C$, 150 days at $10^{\circ}C$, and 90 days at $15^{\circ}C$. After storing at $10^{\circ}C$ with absolute honey for 30 days, 70 days and 140 days, a female adult in room temperature laid eggs 190.8 individuals, 104.0 individuals and 89.4 individuals, respectively.

      • KCI등재

        총채벌레 천적 으뜸애꽃노린재(Orius strigicollis)와 미끌애꽃노린재(Orius laevigatus)의 생물학적 특성 비교

        김정환,김황용,변영웅,김용헌,Kim, Jeong-Hwan,Kim, Hwang-Yong,Byoun, Young-Woong,Kim, Yong-Heon 한국응용곤충학회 2008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7 No.4

        국내종인 으뜸애꽃노린재와 유럽종인 미끌애꽃노린재의 알, 약충 발육기간과 성충의 산란수, 수명, 포식량 및 포장밀도에서 증가량을 비교하였다. 으뜸애꽃노린재와 미끌애꽃노린재의 $15{\sim}30^{\circ}C$에서 알 부화율은 각각 $46.7{\sim}88.2%$와 $65.0{\sim}89.9%$였고, 알기간은 각각 $3.1{\sim}14.9$일과 $3.1{\sim}13.5$일이었다. 두 종의 약충 발육기간은 각각 $9.4{\sim}42.8$일과 $9.3{\sim}42.0$일이었고, 약충기간 생존율은 각각 $2.4{\sim}96.5%$와 $4.3{\sim}80.6%$였다. 두 종의 산란수는 15, 20, 25, 30, $35^{\circ}C$에서 각각 28.1, 107.9, 123.6, 127.3, 18.1개와 101.8, 218.6, 224.5, 219.5, 15.7개였고, 성충수명은 각각 63.4, 40.1, 22.1, 18.3, 11.0일과 70.6, 66.4, 32.6, 34.5, 7.3일로 으뜸애꽃노린재에 비해 미끌애꽃노린재의 산란수가 많고 성충수명은 길었다. 으뜸애꽃노린재와 미끌애꽃노린재의 온도와 일장에 의한 산란수는 $18^{\circ}C$, 16L:8D에서 각각 105.8개와 109.5개였고, 10L:14D에서 각각 1.0개와 63.0개였다. $25^{\circ}C$, 16L:8D에서 각각 142.4개와 191.5개였고, 10L:14D에서 각각 31.8개와 198.8개로 으뜸애꽃노린재는 $18^{\circ}C$, 10L:14D에서에 거의 모든 개체가 휴면하지만 미끌에꽃노린재는 휴면하지 않는다, 으뜸애꽃노린재와 미끌애꽃노린재의 꽃노랑총채벌레 2령 하루 포식량은 각각 14.3마리와 10.9마리이다. 겨울작형 시설재배 파프리카에서 으뜸애꽃노린재는 5월 중순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7월 상순에는 꽃당 1.8마리로 증가하였다. 미끌애꽃노린재는 3월 중순부터 증가하여 6월 상순에는 꽃당 6.6마리로 증가하는 과밀도 현상을 보였다. With the comparison of native Orius strigicollis (Poppius) to European O. laevigatus (Fieber), we investigated bi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developmental period, fecundity, life span, predation ability, and augmentation after releas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at five temperature condition, $15^{\circ}C\;20^{\circ}C,\;25^{\circ}C\;30^{\circ}C$, and $35^{\circ}C$. In the case of O. strigicollis, egg period was $3.1{\sim}14.9$ days (hatchability: $46.7{\sim}88.2%$), and developmental period of nymphs was $9.4{\sim}42.8$ days (survival rate: $2.4{\sim}96.5%$). Fecundity at each temperature was 28.1, 107.9, 123.6, 127.3, and 18.1, respectively. Life span of adults was 63.4, 40.1, 22.1, 18.3, and 11.0 days, respectively. In the case of O. laevigatus, egg period was $3.1{\sim}13.5$ days (hatchability: $65.0{\sim}89.9%$), and developmental period of nymphs was $9.3{\sim}42.0$ (survival rate: $4.3{\sim}80.6%$) days. Fecundity at each temperature was 101.8, 218.6, 224.5, 219.5, and 15.7. Life span of adults was 70.6, 66.4, 32.6, 34.5, and 7.3 days, respectively. In long-day condition (16L:8D), fecundity of O. strigicollis and O. laevigatus was 105.8 $(18^{\circ}C){\sim}142.4(25^{\circ}C)$ and 109.5 $(18^{\circ}C){\sim}191.5(25^{\circ}C)$, respectively. In short-day condition (10L:14D), fecundity of them was 1.0 $(18^{\circ}C){\sim}31.8(25^{\circ}C)$ and 63.0 $(18^{\circ}C){\sim}198.8(25^{\circ}C)$, respectively. Daily prey consumption of second instar Frankliniella occidentalis was 14.3 and 10.9, respectively. In greenhouse, density of O. strigicollis begins to increase from mid May and peaked about early July (1.8 individual/flower), while that of O. laevigatus begins to increase from mid March and peaked about early June (6.6 individual/flower).

      • KCI등재

        산 완충능력과 토양 성분이 동전기-펜톤 공정에 의한 phenanthrene 오염토양 정화에 미치는 영향

        김정환,나소정,박주양,변영덕,Kim, Jung Hwan,Na, So Jeong,Park, Joo Yang,Byun, Young Deog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13 지하수토양환경 Vol.18 No.1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ffects of acid buffering capacity and soil component in treatment of phenanthrene using electrokinetic-Fenton process. In Hadong clay of high acid buffering and low iron oxide content, it was difficult to oxidize phenanthrene due to shortage of iron catalyst and scavenger effect of carbonate minerals. The desorbed phenanthrene conductive to Fenton oxidation was transported toward cathode by electroosmotic flow. However, in Youngdong illitic clay, oxidation of phenanthrene near anode readily occurred compared to Hadong clay due to high iron content and low acid buffering capacity.

      • SCOPUSKCI등재

        유청 및 두유의 공동침전에 의해 제조된 치즈의 특성

        김정환,이형주,Kim, Jeong-Hwan,Lee, Hyong-Joo 한국식품과학회 1985 한국식품과학회지 Vol.17 No.3

        대두치즈의 풍미와 조직을 개선하기 위해서 유청-두유치즈를 유청, 유청분말, 두유, 분리대두단백의 여러가지 혼합물의 공동침전에 의해 제조하고, 유산균과 레닛을 첨가한뒤 $15^{\circ}C$에서 10주 동안 숙정시킨다. 치즈의 물리 화학적 특성은 수소이온농도, 적정산도. 수용성질소, 10%TCA가용성질소, 아미노산조성, 풍미, 색, 경도등을 분석함으로 조사하였다. 유청-두유치즈의 pH는 최초 5.3에서 숙설 5${\sim}$6주에 4.2로 떨어져 이후는 일정하였으나 두유치즈의 pH는 시종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유청-두유치즈의 적정산도는 점차 증가하여 8주후 0.4${\sim}$0.45에 달했으나, 두유치즈는 숙성이 끝난뒤에도 0.2에 불과했다. 수용성 및 10%TCA가용성 질소함량은 숙성중 점차 증가하였다. 치즈의 경도는 3 : 1 치즈와 두유치즈의 경우가 가장 컸으며 숙성 3주째 최고치를 나타내었다. 두유치즈에 비해 유청-두유치즈의 색은 밝았으며 대두치즈의 비린내는 숙성 전기간을 통해 강렬하였으나 유청-두유치즈의 경우 산취로 인해 비린내가 부분적으로 상쇄되었다. As a way of improving the texture and flavor of soybean cheese, whey-say cheeses were made by coprecipitation of various mixtures of whey, whey powder, soy milk and soy protein powder, and mixed culture of str. lactis, str. cremoris and rennet were added, then the cheeses were cured at $15^{\circ}C$ for up to 10 weeks.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cheese were investigated by analyzing pH, titratable acidity(TA), water soluble nitrogen, 10% TCA soluble nitrogen, amino acid composition, beany flavor, color and hardness. The pH of whey-soy cheeses during ripening changed from 5.3 to 4.2 after 5 or 6 weeks and maintained that value while that of soybean cheese maintained a higher pH value. TA of whey-soy milk cheeses was gradually increased to the value of 0.4-0.45 after 8 weeks, but that of soybean cheese reached only 0.2 after the same period. Water soluble and 10% TCA soluble-nitrogen increased steadily during ripening. Hardness of the whey-soy milk cheeses reached maximum after three weeks of ripening and greatest at those made from 3 : 1 mixture of whey and soy milk and that from soymilk. Color of the whey-soy milk chesses was lighter than that of soybean cheese. The bean flavor of soybean cheese was strong and persistent for the whole ripening period. Acid flavor was dominant in the whey-so milk cheese and masked the beany flavor partially.

      • 뇌파와 통신

        김정환,Kim, Jeong-Hwan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996 전자통신동향분석 Vol.11 No.2

        본 고에서는 인간이 사고와 행동을 할 때 뇌에서 자발적으로 방출되는 뇌파를 미래의 통신시스템 및 서비스에 이용하기 위한 전단계로서, $\alpha$, $\beta$, $\delta$, $\theta$, $\gamma$및 $\mu$파 등 뇌파의 종류 및 특성과 국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10-20 방식에 의한 뇌파측정점, 그리고 전극배치법에 대해 고찰해보고, 뇌파인식에 관한 최근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