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 : 연극 공연의 감성학적 연구 -괴르노트 뵈메(Gernont Bohme)의 감성학을 중심으로

        김정섭 ( Jeong Sub Kim ) 한국연극교육학회 2015 연극교육연구 Vol.27 No.-

        This article focuses on two aspects. First, it introduces and examines Bohme``s Aisthetik theory. Second, it defines an application plan for its integration into the aesthetics of the performing arts. The first point is examinedin relation to four sub-topics. First, the study considers the appearance of Aisthetik as a new form of aesthetics in the 20th century. The driving forces behind the appearance of Aisthetik were environmental problems, the aestheticization of daily life, and a new definition of the arts. Second, the study explains the perception of Aisthetik asa sense of bodily existence. Third, it evokes a general perception method that is not based on individual senses but on special perceptual functions. Fourth, it presents atmospheric perception as one of the basic ideas of the Aisthetik theory. The atmosphereis experienced through two kinds of affective senses. One is the presence of objects, and the other the unique presence of oneself. The second part of the study focuses on the co-presence, materiality, and generation of meanings within the Aisthetik framework. Those areimportant terms in performative aesthetics studies and in Aisthetik. In particular, the study states that the perceptional process of spectators does not receive delivered meanings but generates its own. The study of the Theatre Aisthetik in this article is based on the vision of performative aesthetics as animportant aesthetic discourse in the contemporary performing arts. This study shows that Theatre Aisthetik should be part of the development of the contemporary performing arts aesthetics. The paper hopes to encourage active discussions and a keen interest in the Theatre Aisthetik.

      • KCI등재

        대구광역시 가로수 하단부 식생의 평가

        김정섭,조광진,김종원,Kim Jeong-Sub,Cho Kwang-Jin,Kim Jong-Won 한국조경학회 2005 韓國造景學會誌 Vol.33 No.1

        In order to search for ecologically indicative characteristics on the street tree plots in Daegu area, plant communities and their floras were investigated. A total of 105 plots were collected and numerically analyzed by PCoA(Principal Coordinates Analysis). These plots were classified into 4 types containing 139 species, 97 genera, 42 families(including 37 exotic species): urban-dry type, urban-wet type, rural-dry type, rural-wet type. Habitat connectivity to the surrounding vegetation cover, extent and frequency of human impacts, and soil moisture recognizably were the main factors to allow the plots differentiation. Indicative species composition to these four types was generated as Eleusine indica-Eragrostis multicaulis-Oxalis corniculata to the urban-wet, Digitaria ciliaris-Eleusine indica-Eragrostis multicaulis to the urban-dry, Setaria viri-dis-Artemisia-Lactuca indica var. laciniata to the rural-wet, and Setaria viridis-Digitaria ciliaris-Erigeron canadensis to the rural-dry, respectively. Mean species number per plot for rural type was 2.5 times higher than for urban types. Street tree species representative to the rural-wet type is Zelkova serrata, which is a key species of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in the alluvial land of Daegu area. Street tree plots were characterized by Eleusine indica showing the highest r-NCD value and also C4-assimilation grass plants. Views on the efficacy of the rural-wet type and the reinforcement of vegetation connectivity and soil moisture in rehabilitating street tree plots, are discussed.

      • KCI등재

        엘프리데 옐리네크의 희곡 <겨울 나그네>에 나타난 상호텍스 트성, 상호매체성 그리고 그 관계

        김정섭 ( Kim Jeong-sub ) 한국드라마학회 2018 드라마연구 Vol.0 No.55

        본 논문은 엘프리데 옐리네크 희곡 <겨울 나그네>의 텍스트 생성과 무대화과정에서 드러나는 상호텍스트성, 상호매체성 그리고 그 관계를 밝혀내는 것을 주요 논제로 삼았다.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옐리네크 글쓰기의 대표적인 특징인 신화해체가 언어유희와 몽타쥬 기법을 구사하는 상호텍스트성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기존’ 드라마적이지 않는 옐리네크 연극생산의 특성은 포스트드라마 연극 개념의 새로운 성찰과 수정을 도모할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 있다는 점도 논의하였다. 옐리네크의 <겨울 나그네>에서 드러나는 상호텍스트성은 복수의 선행텍스트들 간의 상호텍스트성을 꼽을 수 있으며, 이러한 상호텍스트성은 단지 무엇을 해체하여 새로운 무엇을 드러내는 것에만 중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드러나는 것의 층위들을 밀도 있게 하고 다양화 하는 방식으로 복수의 목소리들을 텍스트 상에서 공존하게 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겨울 나그네>를 관통하는 상호매체성은 옐리네크 희곡의 특성과 상호텍스트성에 기반하고 있다. 다시 말해 옐리네크가 지향하는 연극미학을 담고 있는 희곡텍스트가 비재현적인 연극 공연 양상을 본질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것이다. 아울러 텍스트 층위에서 상호텍스트적으로 생성된 텍스트 표면들의 대화성이 다성적이면서 모놀로그-코러스적인 옐리네크 배우들의 화술양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도 고찰하였다. 끝으로 본 논문은 희곡의 주제와 정서가 공연의 시청각적 이미지로 드러나고 있는 공연 사례 분석을 통해 옐리네크의 <겨울 나그네>가 텍스트 생성에서 공연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서 상호텍스트성과 상호매체성이 ‘상호’작용하며 뫼비우스 띠처럼 연결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Das Hauptthema der vorliegenden Arbeit zielt darauf, dass die Intertextualit at, die Intermedialit at und deren Beziehung bei der Textentstehung und der Inszenierung des Theaterstucks < Winterreise > von Elfriede Jelinek beleuchtet werden. Die Intertextualit at als eines der wichtigen/wichtigsten Merkmale fur Jelineks Schreibverfahren besteht bekanntlich aus Mythendekonstruktion, Sprachspiel und Montage. Der nicht mehr dramatische Theatertext Jelineks, der in engem Zusammenhang mit dieser Intertextualit at steht, gibt Anlass zur Reflexion und Revision des Begriffs fur die bestehende Postdramatik. Die Intertextualit at in < Winterreise > zeigt die Intertextualit at zwischen mehreren Pr atexten, die nicht nur auf die Mythendekonstruktion zielen, sondern auch Textschichte verdichten und vervielf altigen, damit verschiedene Stimmen koexistieren können. Die Intermedialit at von < Winterreise > basiert auf dem Merkmal des nicht mehr dramatischen Theatertextes Jelineks und dessen Intertextualit at. Jelineks Theaterkonzept, welches sich aus ihrem Theatertext herauslesen l asst, bestimmt die antimimetische und antipsychologische Inszenierungsform. Zudem beeinflusst die Dialogizit at, die beim intertextuellen Schreibverfahren Jelineks auf der Textebene entsteht, das sprachliche Verfahren in der Auffuhrung, welches haupts achlich als monologisch-chorisch zu bezeichnen ist. Schließlich bestatigt man die nichtlineare audiovisuelle Wiederholung von Motiven und Gefuhlen aus dem Text auf der Buhne, indem die Intertextualit at und die Intermedialit at von der Textentstehung bis zur Theaterinszenierung zusammenspielen.

      • KCI등재

        연극 관객의 체험 미학으로서 디오니소스적인 것

        김정섭 ( Jeong Sub Kim ) 한국드라마학회 2016 드라마연구 Vol.0 No.48

        In der Theaterinszenierung entsteht also ein Massenzustand, welcher im Vergleich zu einer anderen Art Masse eine besonders eigenartige Erfahrung, namlich das Dionysische dem Zuschauer ermoglicht. Ausgehend von dieser Tatsache war das Ziel dieser Arbeit, das eigenartige Phanomen als eine asthetische Erfahrung im Theater zu beleuchten. Der Mythos von Dionysos zeigt durch sein tragisches Schicksal seine standige Auseinandersetzung mit dem Menschlichen, welche vor allem eine große Wirkung auf seine Wesensbildung ausubt. Der Dionysos besitzt den dionysischen Wahnsinn, der im Dionysos-Kult die Menschen in den gleichen Zustand versetzt. Der dionysische Wahnsinn als gottlicher Zustand stattet die Menschen mit einer Brucke zwischen dem Gottlichen und dem Menschlichen und der uberwindung der Trennung zwischen dem Leben und dem Tod aus. Der dionysische Wahnsinn im Menschen bedeutet nichts anderes als das Erlebnis der gleichzeitigen Koexistenz von Gegensatzen einerseits und das Heraustreten aus dem normalen alltaglichen Zustand andererseits. Diesen zwei Punkten liegt das Dionysische des Theaters zugrunde. Dementsprechend bemuhen sich die Menschen zugleich darum, Zeit und Ort fur das Austreten aus der realen Welt und das Eintreten in die fiktive Welt gegenwartig zu erleben. Im letzten Jahrhundert zeichnete sich das moderne Dionysische des Theaters ab, welches vor allem auf die Prasenz des Theaters und deren intensive Erfahrung Gewicht legt. Die Bemuhung der historischen Theaterreformer um die Annaherung zwischen dem Schauspieler und dem Zuschauer zielte auf nichts anderes als die Verstarkung bzw. Wiederbelebung der aktuellen Prasenz des Theaters ab, was das moderne Dionysische in Erinnerung am archaischen kultischen Moment begunstigt. Schließlich fordert seit den 60er Jahren die rasche Entwicklung der modernen Elektrotechnik die starke Intensivierung der aktuellen Prasenz des dionysischen Theaters und die erhohte Wahrnehmungskapazitat der dionysischen Zuschauer. Wahrend die Intensivierung die Erinnerung an das imaginare Moment des Kultes wieder hervorruft, zieht die erhohte Wahrnehmungs bzw. Wirkungskapazitat eine - zunehmende Anzahl an Massenzuschauern nach sich. Das moderne Dionysische des Theaters im technischen Zeitalter der Elektrizitat dient zur erhohten Qualifikation des asthetischen Dionysischen in der theatralischen Erfahrung. 이 연구는 카타르시스 현상 못지않게 연극 미학의 중요한 요소로 기능하는 디오니소스적인 것의 개념을 신화, 컬트, 종교, 니체 등의 관점에서 그 이해를 도모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현대연극에서 드러나는 디오니소스적인 것의 체험 미학적 특징을 논하였다. 신화는 신성과 인성, 삶과 죽음 등과 같이 서로 상반되는 것들이 다양한 은유와 환유들을 통해 디오니소스의 역설적 이중성을 전하고 있다. 디오니소스 컬트는 참가하는 사람들의 광기로서 신적 체험 또한 생과 사의 기쁨과 고통과도 같은 양 극단을 동시에 경험하는 현상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다시금 종교현상학적으로 신비스러운 공포와 매혹의 양가적 체험에 상응하고 있는 것이다. 니체의 디오니소스적인 것은 인간에게 디오니소스적인 도취로서 저 까마득한 과거의 심연 속에 놓여있는 근원적 일자와의 합일과도 같은 공동체감으로 체험되고 또 다른 한편으로는 힘의 상승과 충만의 느낌으로 가득한 미래 지향적인 삶에의 의지, 즉 고양된 생명력을 체험하는 순간이 되는 것이다. 이 디오니소스적 도취는 예술 그리고 미 체험의 본질로서 인간에게 ‘과거로부터의 공동체적 근원과 미래에의 긍정적 의지’를 ‘지금 여기’의 삶 속에서 강렬히 현존하게 해주는 것이다. 이와 같은 디오니소스적인 것이 20세기를 지나온 연극에서 현존감 강화, 공동체감 형성, 다감각적 신체 자극을 통한 신비스러운 체험 등의 세 가지 측면에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고찰할 수 있었다. 연극에서 우선 디오니소스적인것의 지각은 무엇보다도 배우의 현존을 통해 관객에게 효과적인 현재성을 야기시키면서 연극의 현존감을 강화시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배우의 기능은 ‘부재한 자’의 현존 생성에 복무한다. 인간은 연극의 관객으로서 디오니소스적인 것의 이중성을 하나의 밀도 있는 현존감으로 경험하는 것이다. 이는 계속해서 디오니소스적인 것의 경험이 인간에게 과거로부터의 공동체적 근원과 미래에의 긍정적 의지를 지금 여기의 삶 속에서 강렬하게 현존케 해주는 공동체감 형성의 계기가 되기도 하는 것이다. 연극의 상호매체성 속에서 디오니소스적인 것의 심미적 체험은 바로 다감각적인 신체자극을 통해 체험된다. 그것은 동시대 연극이 기술매체의 ‘공연화’ 속에서 인간의 자연스러운 지각능력을 초월하는 ‘신비로운 순간’들을 생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연극의 상호매체성은 기술적 매체에게 공연 매체적 지각과정을 부여한다. 이와 같이 기술적 매체의 고유한 지각방식이 공연 매체적으로 지각된다는 것은 다감각적인 신체자극을 통해 디오니소스적인 효과라 할 수 있는 신비스러운 매혹과 경이로움을 관객에게 선사하는 것이다. 다중매체시대 속에서 연극의 체험미학으로서 디오니소스적인 것은 이와 같이 다감각적인 신체자극의 전략을 통해 실현되고 있는 것이다. 이 연구는 연극공연의 중요한 체험 미학으로서 디오니소스적인 것의 의미를 보다 포괄적으로 규명하고 아울러 동시대 연극의 다양한 스펙트럼에서 디오니소스적인 연극적 특징을 계속해서 논의할 여지를 제공한 점이 그 의의가 될 것이다.

      • KCI등재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텍스트연극성과 공연의 연극성 관계 연구 -엘프리데 옐리네크의 <레히니츠(절멸의 천사)>를 중심으로-

        김정섭 ( Kim Jeong Sub ) 한국드라마학회 2022 드라마연구 Vol.- No.68

        본 논문은 연극텍스트의 텍스트연극성을 중심으로 텍스트가 공연의 연극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삼았다. 연극공연을 위해 쓰여진 연극텍스트의 중요 특징은 등장인물 간의 대화체계 붕괴와 서사구조의 불분명함이다. 이러한 특징은 독특한 글쓰기 형식, 즉 탈기의화된 언어형식으로 인한 자기지시성을 가지는 텍스트연극성을 야기하고 있다는 점과 궁극에 포스트 드라마 연극의 비재현성을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는 점을 고찰하였다. 연극텍스트의 형식과 텍스트연극성은 포스트드라마 연극 공연화 과정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행사하고 있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포스트드라마 연극텍스는 텍스트의 재현이 아니라 텍스트와 공연 간의 상호작용과 공동 작업에서 의미를 갖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이론적 고찰을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본 논문은 엘프리데 옐리네크(Elfreide Jelinek)의 연극텍스트 < 레히니츠(절멸의 천사) Rechnitz(der Würgeengel) >를 분석하였다. 이 작품은 현대 사회의 매체 기능과 그 역할에 대한 본질적인 질문을 제기하고 있다. 이러한 질문은 포스트드라마적으로 재기능화된 사자와 그들의 비재현적 보고형식으로 형상화된다. 결과적으로 비재현적인 연극텍스트의 텍스트연극성은 공연에서 재현될 수 없는 것을 역설적으로 체험할 수 있게 하는 현존성(감)을 강화한다는 점을 확인하면서 텍스트연극성과 공연의 연극성 관계를 고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how the text affects the theatricality of the play, focusing on the theatricality of the text of the play text. An important characteristic of theatrical texts is the collapse of the dialogue system between the characters and the ambiguity of the narrative structure. It was eventually found that these characteristics reinforce the unreproducibility of post-drama plays.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form of theatrical text and the theatricality of tex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rocess of making post-drama theatrical performances. Post-drama theater texts have meaning not in the reproduction of texts, but in the interaction and collaboration between texts and performanc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more concretely, this paper analyzed Elfreide Jelinek's play text Rechnitz(der Würgeengel). This work raises essential questions regarding the function and role of media in modern society. These questions are embodied in the post-dramatically re-functionalized Envoy and their non-representative reporting format.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non-representative text theatricality reinforces the presence (feeling) that allows us to experience something that cannot be reproduced in the performance.

      • KCI등재후보

        연극 공연의 창발성(Emergenz) : 관객의 지각방식과 배우와 관객 간의 협동현상을 중심으로

        김정섭 ( Jeong Sub Kim ) 한국드라마학회 2014 드라마연구 Vol.0 No.42

        Allgemein wird mit Emergenz ein Phanomen bezeichnet, welches plotzlich neu auftaucht, ohne dass es vorhersehbar ist. Obwohl sich fur die emergenten Erscheinungen nachtraglich eine gewisse Erklarung finden lasst, konnen sie vor ihrem ersten Auftreten nicht vorausgesagt werden. Der vorliegende Aufsatz zielt darauf, dieses emergierende Phanomen im Theater zu beleuchten, und gliedert sich in folgende drei Teile. Der erste Teil beginnt mit einer Vorstellung des Emergenzbegriffs und diskutiert ihn, wie er bei Achim Stephan aus unterschiedlichen vorangegangenen Emergenztheorien zusammenstellt worden ist und damit unter dem Aspekt des Verhaltnisses zwischen der Mikro- und Makrostruktur weiterhin auseinandersetzt ist. Fur Stephan sind am Begriff der Emergenz vor allem die Unterscheidung zweier großer Aspekte von Interesse: Schwacher Emergentismus und starker Emergentismus. Zwei wichtige Eigenschaften, die die beiden voneinander unterscheiden, sind die Irreduzierbarkeit des emergenten Phanomens und dessen Unvorhersagbarkeit. Beide gehoren zu den grundlegenden Merkmalen allgemein geltendes Emergenzphanomens und spielen zugleich eine entscheidende Rolle fur die theatrale Emergenz. Zweitens wird der Modus der Wahrnehmung und die Emergenz der Bedeutungserzeugung anhand der Untersuchung von Erika Fischer-Lichte behandelt. Daraus lasst sich schließen, dass die Performativitat des Theaters dessen Emergenz verstarkt. Damit fordert die Emergenz des Theaters den spezifischen Modus der Wahrnehmung heraus. Diese Wahrnehmungsmodi veranlassen bei den Zuschauern das Erleben spezifischer Bedeutungen, die nicht von der Buhne her einseitig vermittelt werden mussen, sondern die ihrerseits emergiert werden konnen. Die Ko-Prasenz zwischen dem Akteur und dem Zuschauer als bemerkenswerte mediale Eigenschaft fur das Theater ermoglicht eine weitere Erscheinung der Emergenz im Theater. Aus der Mitwirkung zwischen den Akteuren und den Zuschauern, also deren Wechselwirkung und Selbstorganisation in der Mikroebene des Theaters emergiert jede Situation und der Verlauf der Auffuhrung als Makroebene, welche ebenfalls weder geplant noch kontrollierbar sind. 일반적으로 창발(Emergenz)이란 예상치 못한 새로운 현상이 불현듯 출현하는것을 일컫는다. 창발한 현상의 원인을 사후에 해명할 수 있을지라도 그 현상은 사전에 예측할 수 없으며 그렇기 때문에 계획하고 통제할 수도 없는 것이다. 이 논문은 이러한 창발성을 연극에서 고찰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구성해 보았다. 창발 현상의 중요한 토대인 미시-거시적 구조 간의 관계에서 비롯되는 창발성을 고찰 정리한 아힘 스테판(Achim Stephan)의 이론을 토대로 기본적인 창발성 개념을 정리하고 연극분야와의 접점을 논의하는 것으로 시작하였다. 스테판이 제시한 이론들 가운데 유기체적 속성, 미시-거시 구조 간의 비환원성 그리고 비예측성이 창발 현상의 가장 기본적인 개념이면서도 연극적 창발 현상에 중요한 조건과 특성임을 논했다. 두 번째로 창발 개념을 수행성 이론 전개에 도입한 에리카 피셔-리히테(ErikaFischer-Lichte)의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지각 방식과 의미생성의 창발적 속성을 논의하였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수행성이 강조된 연극 양식일수록 창발의 속성을 강하게 가진 다는 점이며 이는 지각과정의 새로운 방식을 요구하고 관객에게 새로운 감상의 태도를, 즉 능동적 지각 방식을 통한 의미생성의 창발성을 경험케 한다는 것이었다. 창발성을 가진 연극 현상은 관객의 수동적 지각 방식에서 다양한 의미들을 스스로 떠올리는 새로운 지각 방식으로의 전환을 요구한 것이다. 끝으로 배우와 관객의 공동현존은 연극의 매체적 주요 특징인 동시에 연극의 또 다른 창발 현상의 중요한 전제가 된다. 미시구조를 이루고 있는 배우와관객들의 협동현상인 상호작용과 자기조직의 기제를 통해 거시구조인 공연의 상황과 진행을 예측할 수 없고 통제할 수 없는 창발 현상이 되는 것이다. 이 논문의 성과는 연극에서 창발 현상의 고찰을 통해 지난 세기를 거쳐 온서구 연극의 흐름과 동시대 연극 경향이 수행성 강화와 더불어 창발성 강화의 과정을 보여 준 것임을 새롭게 이해할 수 있었던 점이다.

      • KCI등재

        실규모 현장시험 및 유한요소해석을 통한 강관매입말뚝의 공학적 거동에 대한 연구

        김정섭(Jeong-Sub Kim),정경자(Gyoung-Ja Jung),정상섬(Sang-Seom Jeong),전영진(Young-Jin Jeon),이철주(Cheol-Ju Lee)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8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9 No.4

        본 연구에서는 현장에서 실규모로 시공된 8본의 강관매입말뚝의 공학적 거동을 정재하시험, 동재하시험(EOID 및 restrike 시험) 및 Class-A 및 C1 type의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상세히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말뚝의 하중-침하, 설계지지력 및 전단응력 전이특성 등을 분석하였다. 정재하시험을 통해 평가된 설계지지력에 비해 동재하시험 및 수치해석은 이를 매우 상이하게 평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 가운데 restrike 시험이 전반적으로 최상의 결과를 도출하였고, 수치해석 결과의 신뢰성은 동재하시험에 비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각 시험에서 산정된 설계지지력을 정재하시험의 결과와 비교할 때 EOID는 정재하시험값의 20.0%-181.0%(평균: 69.3%) 의 범위를 보였고, restrike 시험의 경우 48.2%-181.1%(평균: 92.1%)의 범위를 보였다. 또한 Class-A type에서는 37.1-210.5%(평균: 121.2%)로 가장 큰 분산을 보였다. EOID 시험에서는 선단지지력이 말뚝의 전체지지력의 대부분을 차지하는데 비해, restrike 시험에서는 주면마찰력 및 선단지지력이 비슷한 정도로 발현되었다. 이때 restrike 시험에서 측정된 선단지지력은 EOID 시험에서 측정된 크기보다 작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restrike 시험에서 타격에너지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말뚝의 선단지지력이 과소평가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말뚝의 축력분포로부터 측정된 전단응력은 말뚝의 심도가 깊어질수록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수치해석 결과는 정재하시험과는 상당한 정도의 차이를 보였다. 말뚝선단 인근에 슬라임이 존재하는 경우 말뚝의 거동에 매우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슬라임의 탄성계수가 작을수록 그리고 슬라임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말뚝의 침하량이 큰 폭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In the current study, the engineering behaviour of prebored and precast steel pipe piles was examined from a series of full-scale field measurements by conducting static pile load tests, dynamic pile load tests (EOID and restrike tests) and Class-A and Class-C1 type numerical analysis. The study includes the pile load - settlement relations, allowable pile capacity and shear stress transfer mechanism. Compared to the allowable pile capacity obtained from the static pile load tests, the dynamic pile load tests and the numerical simulation showed surprisingly large variations. Overall among these the restrike tests displayed the best results, however the reliability of the predictions from the numerical analysis was lower than those estimated from the dynamic pile load tests. The allowable pile capacity obtained from the EOID tests and the restrike tests indicated 20.0%-181.0% (avg: 69.3%) and 48.2%-181.1% (avg: 92.1%) of the corresponding measured values from the static pile loading tests, respectively. Furthermore, the computed results from the Class-A type analysis showed the largest scatters (37.1%-210.5%, avg: 121.2%). In the EOID tests, a majority of the external load were carried by the end bearing pile capacity, however, similar skin friction and end bearing capacity in magnitude were mobilised in the restrike tests. The measured end bearing pile capacity from the restrike tests were smaller than was measured from the EOID tests. The present study has revealed that if the impact energy is not sufficient in a restrike test, the end bearing pile capacity most likely will be underestimated. The shear stresses computed from the numerical analysis deviated substantially from the measured pile force distribution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engineering behaviour of the pile is heavily affected if a slime layer exists near the pile tip, and that the smaller the stiffness of the slime and the thicker the slime, the greater the settlement of the pile.

      • KCI등재

        연극에서의 분위기 미학 - 공연의 수행성과 분위기적 지각을 중심으로

        김정섭 ( Kim Jeong-sub ) 한국드라마학회 2017 드라마연구 Vol.0 No.52

        이 논문은 게르노트 뵈메가 주창한 감성학의 중요한 개념인 분위기 이론을 토대로 연극 공연에서 분위기가 가지는 역할과 의미를 공연의 수행성과 분위기적 지각을 중심으로 논하였다. 우선 감성학에서 분위기 이론이 중요한 개념으로 정초되는 과정을 살펴본 후 분위기적 지각현상이 가장 근본적이고 포괄적인 공동현존의 감지로서 심미적 지각행위라는 점을 고찰하였다. 이어서 본 논문의 핵심 논제라 할 수 있는 연극에서 분위기 미학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분위기적 지각을 통해 연극공연이 어떻게 관객에게 심미적으로 체험되는지를 공연의 수행성에서 중요한 개념들인 공간성, 공동현존 그리고 의미생성 등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분위기는 공간적 특성으로서 연극의 중요한 매체적 특징인 일회성에서 수행성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었다. 아울러 `실재적` 공연장소와 `현실적` 극중 공간 사이의 경계를 넘나드는 극적 상황과 다양한 연극적 요소들이 조성해내는 극중 공간을 관객은 분위기적 지각을 통해 최초의 지각 현실로 경험하게 된다는 점도 함께 논하였다. 두 번째로 분위기적 지각은 연극에서 공동현존을 보다 선명하고 강렬하게 체감하게 하는 중요한 감성적 지각양상으로서 현대연극의 관객에게 요구되는 새로운 관람방식이 된다는 점을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직관을 표상방식으로 삼는 분위기적 지각 방식은 미분화된 감각의 총체성과 몸 전체에서 일어나는 역동적 공명성으로 말미암아 관객에게 공감각적 의미생성의 체험을 마련해주고 있다는 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의 성과를 바탕으로 연극에서 감성학을 비롯한 분위기 미학이 보다 적극적으로 연극이론 분야에서 적용되어 논의되길 기대해 본다. Die vorliegende Arbeit thematisiert die Atmosphare in der Theaterauffuhrung, die Gernot Bohme fur den Hauptbegriff seiner neuen Asthetik ?Aisthetik“ halt und ihre Bedeutung im Vergleich mit der Asthetik des Performativitat. Diese Studie besteht entsprechend aus zwei großen Teilen: Erstens dem Versuch, Bohmes Atmosphare, und zwar die atmospharische Wahrnehmung im Rahmen der Aisthetik vorzustellen und gleichzeitig zu verstehen. Der zweite Teil untersucht die Anwendbarkeit der Atmosphare in der Auffuhrungskunst, indem er die atmospharische Wahrnehmung mit der Asthetik der Performativitat vergleicht. Der erste Teil dieser Arbeit gliedert sich wiederum in drei Abschnitte. Zunachst stellt er das Grundwissen uber Aisthetik und die Atmosphare vor. Der zweite Abschnitt erklart die atmospharische Wahrnehmung als Spuren der leiblichen Anwesenheit von Subjekt und Objekt. Die Atmosphare ist also die gemeinsame Wirklichkeit der Befindlichkeit als Weise leiblicher Anwesenheit des Subjekts und der Ekstase als Weise der Artikulation von Anwesenheit des objektiven Gegenstandes. Beim dritten Teil geht es um die Atmosphare als asthetisches Phanomen, welches primare Wahrnehmungswirklichkeit ist. Der zweite Teil der Arbeit veranschaulicht die atmospharische Wahrnehmung als theaterasthetisch mit den Begriffen, Raumlichkeit, Ko-Prasenz und Bedeutungsentstehung im Mittelpunkt, die sich vor allem auf die Asthetik des Performativitat fokussiert. Die Atmosphare als eine Umgebungsqualiat verbindet sich mit der performativen Raumlichkeit unter dem Aspekt der Einmaligkeit in der Theaterauffuhrung. Die atmospharische Wahrnehmung ist eine besondere Wahrnehmungsweise im Sinne von Aisthetik, die als Spuren der leiblichen Prasenz, Gefuhle der leiblichen Ko-Prasenz zwischen dem Schauspieler bzw. dem Buhnenereignis und dem Zuschauer in der Theaterauffuhrung verstarkt. Abschließend wird diskutiert, ob die atmospharische Zuschauerwahrnehmung im Sinne von Aisthetik dazu fuhrt, nicht dem Zuschauer vorgegebene Bedeutungen zu vermitteln, sondern im Akt der Wahrnehmung sinnlich und intuitiv sowie synasthetisch zu erzeugen.

      • KCI등재

        Defect Classification of Cross-section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Image-Labeling

        Jeong-Seong Lee(이정성),Byung-Joo Choi(최병주),Moon-Gu Lee(이문구),Jung-Sub Kim(김정섭),Sang-Won Lee(이상원),Yong-Ho Jeon(전용호) 한국기계가공학회 2020 한국기계가공학회지 Vol.19 No.7

        Recentl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been presented as a new paradigm and additive manufacturing (AM) has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topics. For this reason, process monitoring for each cross-sectional layer of additive metal manufacturing is important. Particularly, deep learning can train a machine to analyze, optimize, and repair defects. In this paper, image classification is proposed by learning images of defects in the metal cross sections using the convolution neural network (CNN) image labeling algorithm. Defec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crack, porosity, and hole. To overcome a lack-of-data problem, the amount of learning data was augmented using a data augmentation algorithm. This augmentation algorithm can transform an image to 180 images, increasing the learning accuracy. The number of training and validation images was 25,920 (80 %) and 6,480 (20 %), respectively. An optimized case with a combination of fully connected layers, an optimizer, and a loss function, showed that the model accuracy was 99.7 % and had a success rate of 97.8 % for 180 test images. In conclusion, image labeling was successfully performed and it is expected to be applied to automated AM process inspection and repair systems in the future.

      • KCI등재

        마인드셋, 학업적 의지전략과 대학생활적응 관계에서 부모양육태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은지(Kim, Eun Ji),심정미(Sim, Jeong Mi),윤정(Yun, Jung),김정섭(Kim, Jung Sub)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미래교육학연구 Vol.33 No.2

        본 연구는 마인드셋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학업적 의지전략의 매개효과와 마인드셋과 학업적 의지전략의 관계에서 부모양육태도의 조절효과,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통합한 부모양육태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경남의 대학생 306명을 대상으로 마인드셋, 학업적 의지전략, 부모양육태도, 대학생활적응 설문을 실시하였다.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Aiken과 West(1991)의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을 위해 Preacher, Rucker와 Hayes(2007)의 3단계 분석법을 실시하였다. Bootstrapping으로 통계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마인드셋과 대학생활적응 관계에서 학업적 의지전략의 매개효과, 마인드셋과 학업적 의지전략 관계에서 애정적 부모양육태도의 조절효과, 애정적 부모양육태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제한점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volitional strateg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set and college adapt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ing sty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set and academic volitional strategies. For this purpose, 306 male and female four-year college students in Busan and Gyeongnam participated the questionnaires using the mindset scale, academic volitional strategies scale, parenting styles scale, and college adaptation scal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volitional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set and college adapt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ing styles on mindset and academic volitional strategies. And then, to analyz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a three-step analysis based on the method proposed by Preacher, Rucker and Hayes(2007) was conducted. At last, bootstrapping was perform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statistics.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volitional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and fixed mindset and college adapta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affective parenting styles on growth and fixed mindset and academic volitional strategies,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affective parenting attitude on growth and fixed mindset, academic volitional strategies, and college adaptation were identifi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