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단일공법 복강경하 질식자궁절제술 110예의 고찰 및 다공법과의 비교

        박병준 ( Byung Joon Park ),김용욱 ( Yong Wook Kim ),노덕영 ( Duck Yeong Ro ),김태응 ( Tae Eung Kim ),류기성 ( Ki Sung Ryu ),김장흡 ( Jang Heup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3 No.7

        목적: 통상적인 복강경기구만을 사용한 단일공법 복강경하 질식자궁절제술을 다공법 복강경하 질식자궁절제술과 비교하여 안전성 및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2007년 4월부터 2009년 11월까지 인천성모병원에서 자궁근종 또는 자궁샘근증의 질환으로 단일공법 복강경하 질식 자궁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 110명과 다공법 복강경하 질식자궁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 110명, 총 22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우리는 모든 수술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구부러지지 않는 일직선의 복강경기구를 사용하였다. 또한 단일공법 및 다공법 복강경하 질식자궁절제술 둘 다에서 수술자 (Kim, YW)의 이름을 따서 명명한 새로운 질단부 봉합 방법인 김씨 질구개 현수법 (Kim`s Vaginal Vault Suspension Method)을 사용하였다. 결과: 환자 나이, 수술 시간, 자궁의 무게, 혈색소 수치의 변화, 수혈 빈도, 수술 후 발열에서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46.7±7.0세(단일공법)와 45.5±6.3세(다공법)이었다. 평균 수술 시간은 87.2±21.0분(단일공법)과 83.3±20.3분(다공법), 평균 자궁의 무게는 261.4±139.7 g(단일공법)과 257.8±132.9 g(다공법), 평균 혈색소 수치의 변화는 1.1±0.7 g/dL(단일공법)와 1.2±0.6 g/dL(다공법)이었다. 두 군 모두에서 수술 중 장 또는 요로의 손상은 없었다. 두 군 모두에서 각각 한 건의 개복수술로의 전환이 있었다. 단일공법을 시행한 군에서 입원 기간이 유의하게 짧았다(2.6±0.6일 [단일공법], 3.3±0.7일 [다공법], P<0.05). 결론: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구부러지지 않는 일직선의 복강경기구를 이용한 단일공법 복강경하 질식자궁절제술은 다공법 복강경하 질식자궁절제술에 대한 안전하고 유용한 대체 수술이 될 수 있다. Objective: To evaluate the safety and feasibility of single-port access laparoscopically assisted vaginal hysterectomy (SPA-LAVH) using conventional laparoscopic instruments compared to multi-port access laparoscopically assisted vaginal hysterectomy (MPA-LAVH).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220 patients with uterine leiomyoma or adenomyosis who underwent 110 SPA-LAVH and 110 MPA-LAVH in Incheon St. Mary`s Hospital between April 2007 and November 2009. We performed SPA-LAVH with conventional rigid straight laparoscopic instruments in all cases. We also performed a new vaginal cuff closure method, Kim`s Vaginal Vault Suspension Method, named after the operator (Kim, YW) in both SPA-LAVH and MPA-LAVH.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atients` age, operating time, uterine weight, hemoglobin change, frequency of blood transfusion, and incidence of postoperative fever between the two groups. The patients` mean age was 46.1±7.0 years (SPA-LAVH) and 45.5±6.3 years (MPA-LAVH). The mean operating time was 87.2±21.0 minutes (SPA-LAVH) and 83.3±20.3 minutes (MPA-LAVH). The mean uterine weight was 261.4±139.7 g (SPA-LAVH) and 257.8±132.9 g (MPA-LAVH). The mean hemoglobin change was 1.1±0.7 g/dL (SPA-LAVH) and 1.2±0.6 g/dL (MPA-LAVH). Neither bowel injury nor urinary tract injury occurred during the operation in the two groups. One of the SPA-LAVH and one of the MPA-LAVH cases were converted to abdominal total hysterectomy. The mean hospital stay time was shorter with SPA-LAVH (2.6±0.6 days [SPA-LAVH] and 3.3±0.7 days [MPA-LAVH], P<0.05). Conclusion: SPA-LAVH using conventional rigid straight laparoscopic instruments can be offered as a safe and feasible alternative to MPA-LAVH.

      • KCI등재

        폐경 후 여성에서 대사증후군과 골밀도와의 연관성

        이석우 ( Suk Woo Lee ),김미란 ( Mee Ran Kim ),권동진 ( Dong Jin Kwon ),김진홍 ( Jin Hong Kim ),김장흡 ( Jang Heup Kim ),유영옥 ( Young Oak You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2 No.8

        목적: 대사증후군은 복부비만, 고혈압, 지질 대사이상, 공복혈당장애 등에 의한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도가 높아지는 대사 이상이다. 폐경 후 여성에서 대사증후군 및 위험 요소들과 골밀도와의 연관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2006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가톨릭 의과대학 성빈센트병원 산부인과를 방문한 폐경 후 여성 중 대사증후군을 진단받은 여성 66명, 그렇지 않은 여성 8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사증후군 및 허리 엉덩이둘레비율, 총 중성지방, HDL 콜레스테롤, 공복 혈당, 혈압 등의 위험 요소들과 골밀도와의 상관관계를 회귀분석 및 ANC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대사증후군이 있는 여성에서 그렇지 않은 여성에 비해 요추부 및 대퇴 경부 골밀도의 유의하게 높았으나 나이와 체질량지수를 보정한 뒤에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HDL 콜레스테롤과 요추부 골밀도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공복혈당과 요추부, 대퇴 경부의 골밀도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복부비만 및 혈압, 총 중성지방과 골밀도와는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의 양성수와 골밀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나이와 체질량지수를 보정한 뒤에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대사증후군은 체질량지수의 증가 등으로 골량의 증가 효과를 가질 것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저HDL 콜레스테롤혈증 등의 지질대사에 의해 골량이 감소되며, 체질량지수를 보정할 경우 대사증후군 자체의 골보호 효과는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Observational studies suggest that osteoporosis is associated with cardiovascular disease, although another study found that metabolic syndrome (MS) has protective effects on bon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in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We divided postmenopausal women who visited St. Vincent Hospital of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in 2006 and 2007 into groups with and without MS and measured their body mass index (BMI), waist-hip ratio (WHR), blood pressure, serum fasting glucose, lipid profile, and BMD of the lumbar spine and femoral neck. Results: Of the 151 subjects, 66 (43%) had MS and 85 (57%) did not. The women with MS had a higher BMD at the lumbar spine and femoral neck, although after adjusting for age and BMI, this correlation was lost.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BMD of the lumbar spine and both high-density lipoprotein (HDL) cholesterol and serum fasting glucose, and BMD of the femoral neck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rum fasting glucose level. The components of MS were not correlated with BMD in these postmenopausal women after adjusting for age and BMI. Conclusion: In our study, the higher BMD in MS was explained by the higher BMI in postmenopausal women. After adjusting for age and BMI, however, MS had no protective effect on bone mass. MS may be another risk factor for postmenopausal osteoporosis.

      • KCI등재

        폐경 후 여성에서 혈청 렙틴 농도와 대사증후군과의 관계

        이석우 ( Suk Woo Lee ),조현희 ( Hyun Hee Cho ),김미란 ( Mee Ran Kim ),권동진 ( Dong Jin Kwon ),김은중 ( Eun Jung Kim ),유영옥 ( Young Oak You ),김장흡 ( Jang Heup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3 No.3

        목적: 폐경이 되면 체지방 및 복부비만의 증가 및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이 증가하며 심혈관계 질환의 빈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렙틴은 지방 세포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에너지 대사 조절, 여성 생식 기관 조절 등에 관여한다. 폐경 전후 여성에서 혈청 렙틴과 대사증후군과의 연관성에 대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방법: 2006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빈센트병원 산부인과를 방문한 폐경 전 여성 56명, 폐경 후 여성 11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각각의 그룹에서 혈청 렙틴, 복부비만도, 대사증후군 위험인자들을 비교하였고 혈청 난포자극호르몬, 에스트라디올 등의 여성 호르몬과 복부비만도, 대사증후군과 렙틴과의 관계를 상관분석, 회귀분석 및 ANC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여성 중 대사증후군을 진단받은 여성은 각각 폐경 전에서 37.5%, 폐경 후에서 45.5%이었고, 폐경 후 여성에서 폐경 전보다 혈청 렙틴 농도와 체지방비율이 더 높았다. 체질량 지수를 보정하였을 때 비비만군에서 난포자극호르몬이 높을수록 혈청 렙틴의 농도가 증가하였으며, 폐경 후 여성에서 복부비만도를 나타내는 허리 엉덩이둘레비율 및 내장지방면적과 렙틴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렙틴과 대사증후군 및 위험인자와의 비교에서는 복부비만만이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체질량지수를 보정하였을 경우 대사증후군 자체와는 연관성이 없었다. 결론: 폐경 후 여성에서 난포 자극 호르몬의 증가 및 복부비만은 혈청 렙틴 농도를 증가시킨다. 렙틴과 대사증후군의 기타 다른 위험인자들, 심혈관 질환의 위험성과의 관련성 규명에 대한 더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 Objective: Menopause status may lead to increases of body fat, abdominal obesity, and the incidence of metabolic syndrome (MS). Leptin is an adipokine that is secreted by adipocytes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gulating energy homeostasis and the reproductive system.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obesity, MS, and serum leptin levels in pre- and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We divided 168 women who visited St. Vincent Hospital of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in 2006 and 2007 into premenopausal vs. postmenopausal, obese vs. non-obese groups based on their body mass index (BMI) and the presence of MS. We measured serum follicle-stimulating hormone (FSH) level, serum estradiol level, BMI, the waist-hip ratio (WHR) and visceral fat area (VFA), serum fasting glucose, lipid profile, blood pressure, and serum leptin level. Results: Of 56 premenopausal and 112 postmenopausal women, there were 21 (37.5%) premenopausal and 51 (45.5%) postmenopausal women with MS. In the non-obese premenopausal and postmenopausal women,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FSH, markers of abdominal obesity such as WHR and VFA, and serum leptin after adjusting for BMI in postmenopausal women. In the MS group, only WHR was correlated with the serum leptin level after adjusting for BMI in all groups. Conclusion: Increased serum FSH level and abdominal obesity lead to an increased serum leptin level in postmenopausal women.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leptin and the metabolic syndrom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postmenopausal women.

      • KCI등재

        복통을 호소한 20세 환자에서 발견된 인식되지 못한 질내 이물

        오은경 ( Eun Kyeong Oh ),송재연 ( Jae Yeon Song ),조현희 ( Hyun Hee Jo ),권동진 ( Dong Jin Kwon ),임용택 ( Yong Taik Lim ),유영옥 ( Young Oak Lew ),김은중 ( Eun Jung Kim ),김장흡 ( Jang Heup Kim ),김미란 ( Mee Ran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3 No.8

        The foreign bodies in vagina cause intense inflammation. Genital complaints in patients could indicate the presence of a vaginal foreign object. Vaginal bleeding and blood-stained, foul-smelling discharge are considered to be the main clinical manifestations of vaginal foreign bodies, and toilet tissue reported as the most commonly found foreign body. The insertion of foreign bodies into the vagina is not uncommon but presentation as lower abdominal pain in an gynaecological clinic is rare. The causes of insertion are sexual stimulation, sexual abuse, accident of post-surgery and most cases find a solution after vaginal speculum examination. We describe a case of foreign body in the vagina of a patient presenting with chronic lower abdominal pain but undetectable and unrecognized in general exami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