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CONTRASTIVE VIEWS ON CHILD LANGUAGE ACQUISITION : A COMPARISON BETWEEN SCHLESINGER'S I - MARKER AND BROWN'S POSITION"

        김임득 한국강원영어영문학회 1987 영어영문학 Vol.6 No.1

        본 논문은 유아의 모국이 습득과정에 판한 연구이다. 유아의 모국어 습득에 환한 두 가지 입 장, 즉 70년대와 90년대의 대표적인 입장을 설명하고, 유아의 관점, 즉 모국어 습득자의 관점에서 서로의 입장을 비교 대조하려고 하였다 1장에서는 유아의 의미 습등을 강조하는 Schlesinger(982)의 언어습득 모형인 I-Marker는 유아가 갖고 있거나 배우게 되는 개념(concept)과 이 개념들이 형성하는 상관관계로 구성되어 있다. 유아의 발화문에 나타나는 것은 Brown(1973)이아 다른 심리언어학자가 주장하고 있는 바와 같이 P-Marker에 있는 문법적 범주(grammatical category)가 아니라. I-Marker속에 일어나는 의미관계 규칙 (semantic relation rule)이라고 하는 것이다. 따라서 Schlesinger에 의하면, 유아는 Agent-Action, Action-Patient와 같은 의미론적인 관계범주(relational category)를 습득하고 있는 것이라 주장하면서, 언어습득에 있어서 인지구와 의미구조를 분명히 구분하고 있다. 2장에서는 Schlesinger와는 상반되는 Brown의 언어습득모형을 설명하였다. Brown은 유아의 발화문이 갖는 가능한 의미를 고려하여 언어습득의 모형을 만들고, 이러한 의미를 나타내 주는 문법적 구조를 공식화하여 성인의 관점에서 예측 가능한 규칙을 만드는데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즉 일련의 의미관계와 그 의미를 나타내기 위한 의미관계의 문법적 배열이 더 중요하다고 본다. 따라서 brown에게는 언어습득의 과정에 있어 문법적 요소와 의미적 요소를 분리하여 생각할 수 없다고 보고 있다. 3장에서는 상이한 두 견해를 언어발달과 인지발달의 관점에서 비교해 보았고, 4장에서는 유아의 실제 발화문을 Schlesinger-type grammar와 Brown-type grammar의 관점에서 대조비교 하였다. 5장에서는 영어의 형태소 습득에 있어 일정한 예측할 수 있는 순서가 생기는 이유를 두 가지 형태의 관점에서 대조 비교하였다. 모국어 습득 과정에서는 의미가 I-Marker의 형태로 습득된 다음에 이 것이 어떻게 언어적인 형태로 실현되는 가를 배우기 때문에 유아가 문법적 범주를 점진적으로 배우고, 또 이러한 모국어 습득 과정은 설명이 가능하다고 보는 견해가 Schlesinger의 입장이다. 이에 반하여 Brown은 문법적 범주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성인이 의식적으로 갖고 있는 문법적 범주를 사용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결국 언어 습득이 생득적이라고 하는데는 논의의 여지가 없겠지만, 무엇이 어떻게 생득적인가를 설명하는 데에는 성인이 문법적 관점에서보다도 모국어 습득과정에 있는 유아의 관점에서 진실을 축출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교과교육론'의 내용과 교수방법의 질적 개선을 위한 종합적 연구

        류완영,김명희,정진곤,김임득,장경희,노부자,신차균 한국교육과정학회 1997 교육과정연구 Vol.15 No.2

        사범대학의 교육과정은 교양교육과 전공 교과교육 및 교육학, 심리학 등의 전문교육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전문교육은 교사의 가장 큰 임무가 교수이고, 비교수 내용전문가와 차별화할 수 있는 유일한 요인이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그러나 교사들에게 있어 교과내용과 교수방법을 결합하는 능력이 결여되어 있다는 비판이 끊임없이 제기되어 왔다. 교과교육론은 각 교과의 교육내용으로서의 지시과 이를 유용한 지식이 되도록 가르치는 방법을 통합하는 입문과목이라는 측면에서 그 중요성이 최근 크게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이 과목의 성격이 불분명하고 다루어야 할 내용들이 미정립 상태에 있기 때문에 소기의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으며, 과목 운영에도 많은 혼란을 놓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국어과, 영어과 및 미술과 교육론에 한정하여 그 성격을 규명하고, 운영현황을 파악하였으며, 이들 세 교과교육론에서 다루어야 할 내용과 그 교수방법을 제안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고찰, 연구진 협의회, 설문지, 학술세미나, 외국대학의 사례조사 등이 사용되었다. 아울러 효과적인 교과교육이 되기 위하여 교사교육의 방향이 기존의 실증주의적/공학적 지향에서 개인적/구성주의적 지향으로 바뀌어야 한다는 점, 학교 현장 방문과 교육실습의 기회를 확대해야 한다는 점, 교과교육론에서 다양한 내용과 교수방법을 다루어야 하며 아울러 연구능력을 길러야 한다는 점, 그리고 교과교육 전공교수를 많이 확보해야 한다는 점 등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attempt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 matters education, such as Korea, English and art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s of subject matters respectively, to identify some problems resulting from how to teach with what contents in each course, and to make suggestions for desirable contents and instructional methodology. Needless to say, it is indispensable for the teacher professionalism to improve the competence by combining contents and instructional methodology. The course called "Principles of Subject Matter Education" can be defined as an introductory course to intergrate content knowledge and effective instructional methods based on the principle. In this sense, the importance of respective courses for subject matters education has been brought into relief. The status of the course, however, is still in its infancy and its characteristics are not clearly defined, because of its scanty numbers of specialists and immaturities of its academic identity. Consequently, each course tends to be taught in a totally different way, especially, in conjunction with both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To make a comprehensive study for the improvement of current situations involved in subject matter education, a variety of research methods in taken. such as reviews of literature, questionnaires, academic seminars, case studies in foreign countries and seminars of researchers for this study. The authors make several suggestions for the activation of subject matters education. Firstly, the conceptual orientation of teacher education shoould be achieved in view of constructivist approaches, especially, to produce talented manpower necessary for the information age in the 21st century. Secondly, in order to cultivat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rinciples of Subject Matter Education" should include instructional methodology which makes it possible to get easy access to specific contents to teach. Thirdly, the course should be made not only to make use of research findings in the field, but also to foster research abilities to experiment the contents concerned. And, finally, educational institutions should hire as many subject matter specialists as needed to perform these tas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