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와 콘텐츠 산업: 사회자본 관점에서의 신한류 현상 분석

        김인설,이종석,Kim, InSul,Lee, Jongseok 한국산업정보학회 2012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17 No.7

        Unlike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Wave (Hallyu 1.0), which mainly refers to the exports of Korean TV dramas via broadcasting systems, the New Korean Wave (Hallyu 2.0) era has been brought by K-pop (Korean popular music) via the rapid growth of social medi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mpact of this significant shift in media on global fans and their way of adopting Korean cultural goods from a social capital perspective, in order to draw some implications for the current Korean content industries. Most global fans of K-pop are young and use social media to access digital content and share their opinions spontaneously. SNS providers such as YouTube and Facebook not only act as information providers to usher the fans to online music retailers; but also function as links between these fans and cultural producers by turning bonding social capital into bridging social capital. Telecommunication and advertising companies participate in this market as a third party by providing funds for supporting digital circulation and distribution. In this multi-sided market with the interdependent agents, it is extremely important to secure a platform that leads the evolution of its business ecology. Without owning the platform, there is also a very little chance to produce linking social capital as a means to maximize the impact of New Korean Wave. 드라마 위주의 방송을 매체로 한 이전의 한류와 달리, 케이팝을 중심으로 한 신한류의 확산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이루어졌다. 본 논문은 이러한 확산 방식의 차이가 사회자본 관점에서 한류의 수용층과 수용방식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콘텐츠 산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소셜미디어를 통한 신한류의 수용자들은 자발적으로 케이팝을 찾아 공유하고 자신들의 의사를 표출하는 젊은 열성 팬들로 구성된다. 유튜브나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기업들은 이들을 결속형에서 교량형 사회자본으로 변화시켜, 음원제공 사이트에서 케이팝의 판매를 촉진하는 정보제공자의 역할을 한다. 통신사와 광고주는 이러한 시장에 제3자로 참여하여 미디어가 소비자들 사이에서 유통될 수 있도록 자금을 지원한다. 이처럼 서로가 서로를 지원하는 다면시장에서 생태계의 변화를 유도하는 플랫폼의 확보 없이는 신한류의 파급효과를 극대화하는 연계형 사회자본 형성은 어려울 것이다.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기능과 방향을 위한 탐색적 연구

        김인설(InSul Kim) 한국문화사회학회 2017 문화와 사회 Vol.24 No.-

        이 논문은 문화예술교육과 사회정의의 관계를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기능이 사회정의 구현을 위해 어떻게 그리고 왜 가능한가를 시론적으로 탐색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중심질문은 ‘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기능과 가능성은 사회정의이론을 통해 어떻게 설명되고 구조화 될 수 있는가?’이다. 이를 위해 사회정의이론의 거시담론을 구성하는 지배주의적 이론(hegemonic theory), 회의주의적 이론(skeptical theory), 다원주의적 이론(pluralistic theory)을 고찰하고, 문화예술교육의 논리적 당위성을 구축하는데 가장 유용하다고 판단되는 다원주의적 사회정의이론과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주요담론들을 연결하여 주요 공통점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논의가 현 문화예술교육정책의 방향과 지향점을 설정하는데 있어 중요한 이유와 의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nterrelated relations between the social roles of arts & cultural education and the theoretical notions of social justice. The research question is; how can the social roles and possibilities of arts & cultural education be translated into social justice theories and be structurally explained? In order to answer this question, three major theoretical discourses in social justice theories were applied: hegemonic theory, skeptical theory, and pluralistic theory in social justice. The paper argues that pluralistic theory provides the most adoptable perspective among the threes for constructing the logical justification of arts & cultural education. For closing, some possible directions and visions of arts & cultural education are shared within the social justice frame for its rationales and contributions.

      • KCI등재

        농어촌 거주민의 문화여가 실태에 관한 탐색적 연구: 창조농촌의 개념을 중심으로

        김인설 ( Kim In-sul ),김미연 ( Kim Mi-yeon ),신동호 ( Shin Dong-ho ),최윤지 ( Choi Yoon-ji ) 한국융합과학회 2021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0 No.6

        연구목적: 창조농촌(creative village)의 개념은 창조도시(creative city)에서 확장된 개념으로, 문화를 통해 마을에 활기를 불어넣고 번영을 촉구하자는 논의와 정책적 담론을 야기해 왔다. 하지만 여전히 도농 간의 극명한 문화 격차가 존재하고 이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본 연구는 창조도시 담론을 통해 변용된‘창조농촌’이라는 개념을 분석틀로 사용하여 우리나라의 농어촌 주민들의 문화향유 실태와 삶의 질에 대한 관계를 조망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구분된 농촌거주자들의 문화예술경험 현황과 목적, 희망 문화예술활동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좀 더 실천적이며 전략적인 문화향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데이터는 「농어입인 등에 대한 복지실태조사」(2019)를 원시자료로 사용하여, 창조농촌의 개념을 대입하여 2차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창조농촌의 주요한 하위개념의 문화시설 및 접근성, 문화·여가 활동 수준, 문화소비 수준, 문화전문 인력이라는 차원에서 창조농촌을 이야기 하기에는 여전히 주민의 인식과 만족도 측면에서 우선 충족 조건이 만족할 수 없다는 현실을 확인하였다. 또한, 농업어인의 삶에 연관된 문화 및 여가활동의 개선을 위하여 조사, 연구 및 서비스 재설계가 필요한 점도 확인되었다. Purpose: The concept of a creative village is an extended concept of the creative city, and has caused discussions and policy discourses to revitalize rural village and promote prosperity through culture. However, despite of this charming discourse, the reality is still a stark that cultural gap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are wide and the discussion is needed to be continued in more serious manner. This study uses the concept of 'creative village' transformed through the creative city discourse as an analytical framework, and investigates on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the level of enjoying culture and leisure of rural resident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jectively grasp the status and purpose of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s of rural residents, and to find more realistic and strategic ways to their life more suitable namely, creative villagers. Methods: The data of this study is based on 「2019 Survey on Welfare Status for Farmers, Fishers and others」and reanalyzed based on the concept of creative village. Result: As a result of the study, it is still hard to say that rural residents are satisfied with their living conditions in terms of creative village. To overcome this, cultural and leisure activity level, cultural consumption level, and cultural professional manpower, which are the major sub-concepts of creative rural areas need to be develop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서울어젠다: 예술교육 발전목표>에 기초한 문화예술교육 지속발전지수(SAEI)의 개발과 정책적 함의

        김인설(In-Sul, Kim),서리나(Lee-Na, Suh),김미연(Mi-Yeon, Kim),신혜선(Hye-Sun, Shin) 한국문화교육학회 2020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5 No.4

        ‘문화예술교육 지속발전지수(Sustainable Development for Arts Education Index, 이하 SAEI)’ 는 2010년 제2차 유네스코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에서 선포된 <서울어젠다: 예술교육 발전목표>를기반으로 국가별 문화예술교육의 실천과 성과에 대한 점검을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SEAI는 국가통계를 기반으로 설계한 정량적 측정지표와 국가별 상황과 맥락을 반영하여 문화예술교육의 발전상황을 자체적으로 점검할 수 있는 정성지표(체크리스트)로 구성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서울어젠다 이행 성과를 정량적으로 파악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로직모델과 국가통계를 젓심으로 개발된측정지표를 사용하여 ‘문화예술교육 지속발전지수(SAEI) 를 산출하고 그 결과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SAEI는 개발된 지표체계와 로직모델을 기반으로, 라스파이레스의 산식(Laspeyres’ Formula)을 활용하여 연도별 최종값의 추이를 파악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각 해를 대표하는 SAEI의 최종값은 서울어젠다가 유네스코에 정식으로 채택된 2011년 이후 격년(2011 년, 2013년, 2015년, 2017년)으로 수집된 자료와 함께 2018년 자료를 추가하여 분석·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지수를 통해 구현된 한국의 문화예술교육의 지속가능한 발전성은 최근 10년간 꾸준히 향상된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SAEI를 구성하는 세 개의 핵심지수 젓 ‘질적 향상성’과 ‘사회문화적 가치확산성’은 문화예술교육의 ‘보편적 접근성’ 비해 월등히 낮아 이에 대한 정책개발과노력이 요구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The Sustainable Development for Arts Education Index (SAEI) is developed as a measure to assess progress and performance of national arts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Seoul Agenda: Goals for the Development of Arts Education, which was proclaimed at the 2nd UNESCO World conference on Arts Education in 2010. The SAEI is consisted of quantitative indicators utilizing relevant national statistic-based data and qualitative indicators (checklists) measuring progress and performance of national arts education within its given circumstances and contexts. Here in this article, we focus on looking at the quantitative indicators of the SAEI by demonstrating the adopted logic model and performance indicators, and discussing about the assessment results. The SAEI’s calculations were designed based on the Laspeyres formula, and financial figures across the years have been adjusted to account for inflation using the Consumer Price Index (CPI). In order to identify Korea s implementations and progress of the Seoul Agenda during the past 10 years, we collected data of odd numbered years between 2011 and 2017. Additionally, we also included 2018 data to present the up-to-date trend and progress by utilizing the lasted available data. As a result, the recent 10 year trend of the Korea s SAEIs shows a constant increase. When looking into three core indices respectively and comparatively, the Universal Accessibility index, based on the first goal of Seoul Agenda, marks the highest over the other indices, the Quality Enhancement and the Advocating Social and Cultural Impact.

      • KCI등재후보

        국제개발협력 참여자의 사회참여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NGO에 대한 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조성희(Sunghui Cho), 김인설(Insul Kim), 조영미(Youngmi Cho), 정경은(Kyoungeun Chung) 협성대학교 교양학연구소 2023 교양학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국제개발협력에 있어서 현지 주민들의 참여와 NGO 역할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상황에서 국제개발협력 참여자들의 사회참여 수준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과 NGO에 대한 인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제개발협력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네팔과 동티모르의 현지 참여자 191명을 대상으로 조사된 설문자료를 기반으로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현지 참여자들의 사회참여와 삶의 질은 보통보다 높은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NGO에 대한 인식 또한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었다. 현지 참여자들의 사회참여는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참여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NGO에 대한 인식은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국제개발협력에 있어서 현지 주민들의 사회참여의 중요성과 NGO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증진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participation on the quality of lif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ptions of NGOs in a situation where the importance of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and the role of NGOs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is emphasized. For this purpose, a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survey data of 191 local participants in Nepal and East Timor participating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ocial participation of local participants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and the perception of NGO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was analyze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importance of local residents' social participation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a plan to promote positive perceptions of NGOs were suggested.

      • KCI등재
      • KCI등재

        오케스트라 기반 문화예술교육 참여 아동의 확장학습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 꿈의 오케스트라를 중심으로

        김미연 ( Mi-yeon Kim ),김인설 ( Insul Kim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3 교육문화연구 Vol.29 No.4

        이 연구는 오케스트라 기반 문화예술교육에 참여한 아동의 변화를 공동체 구성원과 상호작용하며 발생한 집단적 차원의 확장학습(Expansive Learning)으로 바라보고, 그 과정과 매개요소를 탐색하고자 수행된 질적 연구다. 자료수집을 위해 꿈의 오케스트라를 진행하고 있는 B기관에 격주에 한 번씩 방문하여 참여관찰을 수행했으며 참여 아동(n=7)을 대상으로 1년 이상의 기간을 두고 총 3회의 면접조사를 진행했다. 엥게스트롬(Engeström)의 확장학습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한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활동 주체인 참여 아동에게 악기와 새로운 친구와의 만남은 오케스트라 활동에 의미를 부여하는 매개요소로서 주요한 도구로 기능한다. 부모의 권유로 오케스트라를 시작했지만, 활동이 축적되어가며 악기와 음악은 자신의 일상이 되고 또래 관계를 형성하며 안전한 쉼터로 의미가 변화함이 분석되었다. 둘째, 참여 아동과 오케스트라 공동체를 매개하는 규칙으로는 스스로 연습하기, 서로 알려주기, 틀려도 기다려주기가 도출되었다. 그리고 오케스트라 활동을 지속하며 다양한 암묵적·공식적 규칙을 만들고 지키기 위한 아동의 노력과 변화는 내적 모순과 갈등을 승화시킨 결과라 할 수 있다. 셋째, 강사와 아동집단, 오케스트라 활동을 매개하는 분업체계는 수석 제도와 위계적이지 않은 교육강사와 아동 관계가 도출되었다. 활동 기간이 점차 길어질수록 위계적이지 않은 분위기에서 아동과 강사 사이의 유대감과 친밀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참여 아동의 내적 모순과 갈등을 중재하는 주요한 지점으로 분석되었다. 오케스트라교육 사례에 확장학습이론을 적용하여 아동과 단원공동체, 강사집단의 상호작용을 통해 변화과정을 탐구한 이 연구는 예술의 사회적 영향 발현에 대한 구조적 이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문화예술교육 참여자의 긍정적 변화는 공동체 내·외부의 다양한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발전하는 상호작용의 결과임을 방증한다. This qualitative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mediators of children‘s learning process within orchestra activities by looking at the procedure as an expansive learning process with diverse members of its community. To collect the data, the site for the research were visited every other week for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nonformal interviews. Form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participating children (n=7) three times during a year.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usical instrument and meeting with new friends functioned as major mediators, so called tools to give new meaning to children’s orchestra activities. As the activities accumulated, the orchestra and music became part of their daily lives, and functioned as a safe shelter. Second, new rules as mediators in children and the orchestra community played major roles for self-practicing, instructing each other (peer teaching), and waiting for other pupils who needs more time to play correctly. Third, as for the division of labor that mediates the activities of music instructors and children's groups the senior-player’s system and non-hierarchical relationship were derived for negotiating inner dilemma and conflicts. As the activity gradually developed, the bond and intimacy between the children and the instructor grew stronger and non-hierarchical atmosphere functioned as a major mediator to deal with the inner dilemma and conflict of the children. To summarize, the result of this study, which explores the process of change through the interaction of children, member communities, and instructor groups by applying expansive learning theory to the case of orchestra education, is expected to provide some structural understanding of the social impacts of the arts. As well, it proves the positive changes of arts education participants are initiated from its interactions among inside and outside their learning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