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문화예술교육 유료강좌 연속수강자의 동기요인과 충성도 형성과정연구- 국립아시아문화전당 ACC 시민아카데미를 중심으로

        정선희(Jung, Sun Hee),김인설(Kim, In Sul) 한국예술경영학회 2017 예술경영연구 Vol.0 No.42

        이 연구는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성인대상 문화예술교육 유료강좌인 ‘ACC 시민아카데미’를 수강한 고객들을 대상으로, 첫 수강 이후 다음 시즌의 유료강좌를 연속 신청한 이들의 충성도 형성과정을 자기결정성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을 통해 분석한 질적 사례 연구(qualitative case study)이다. 연구참여자 선정은 ACC 시민아카데미 상반기 강좌를 수강한 이후 연속하여 하반기 유료강좌를 신청한 이들로, 이 중 하반기 수강강좌가 최소 3건에서 최대 5건에 이르는 다섯 명의 수강자들을 유의표집방법(purposive sampling)을 통해 모집했다. 연구의 분석결과, ACC시민아카데미의 연속수강자들의 주요 동기요인은 외적요인 이외에도 수강자들이 본래 가지고 있는 타고난 성향 또한 중요한 기제로 밝혀졌다. 주요 외적요인으로 새로 개관한 기관에 대한 기대감과 유명인사의 수준 높은 강의 등이 초기 선택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이는 최초 수강에 있어 주요한 판단 자료로 쓰일 뿐 충성도와 연관된 연속수강에 판단에 있어서는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예술교육 유료강좌의 연속수강자에 대한 충성도 형성과정을 보다 면밀히 학술적으로 살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 있어 이전의 연구와 차별성을 갖는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기관이 제공하는 교육프로그램을 관객개발을 위한 전략적 접근방법 중 하나로 상정하여, 연속 수강자의 충성도 형성과정을 학술적으로 조망하고 이에 대한 함의를 예술경영적 차원에서 심층적으로 도출하는데 있다. This study is a qualitative case study that focuses on continuing participants who have successively enrolled in paid arts education programs, ACC Civic Academy , offered by Asia Culture Center; to examine their motivation to participate and customer loyalty construction by adopting a self-determination theory. For data collection methods, continuos observations and personal in-depth interviews were used.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selected by a purposive sampling method for five members who have successively enrolled in at least three to five paid arts education programs compare to one paid education program in the previous seas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se continuing participants are strongly driven by their inner motivations, such as their personalities and treats, rather than external events. Still some external events, such as their high expectation on a newly opened cultural complex, ACC; high-quality arts education programs; and famous lectures, displayed important roles for affecting them to participate in such program at the beginning. However, in terms of their choices for the continuing enrollment and loyalty construction have been far more influenced by delicate and various factors. This study is unique in a way that attempts to academically explain the process of the loyalty construction of arts education participants who continuously willing to pay for their learning. The aim of this study is to broaden the discussive scope on the arts education participants’ loyalty construction by applying an arts managerial perspective, based on the belief that arts education is a strategy for effective audience development.

      • KCI등재

        <서울어젠다: 예술교육 발전목표>에 기초한 문화예술교육 지속발전지수(SAEI)의 개발과 정책적 함의

        김인설(In-Sul, Kim),서리나(Lee-Na, Suh),김미연(Mi-Yeon, Kim),신혜선(Hye-Sun, Shin) 한국문화교육학회 2020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5 No.4

        ‘문화예술교육 지속발전지수(Sustainable Development for Arts Education Index, 이하 SAEI)’ 는 2010년 제2차 유네스코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에서 선포된 <서울어젠다: 예술교육 발전목표>를기반으로 국가별 문화예술교육의 실천과 성과에 대한 점검을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SEAI는 국가통계를 기반으로 설계한 정량적 측정지표와 국가별 상황과 맥락을 반영하여 문화예술교육의 발전상황을 자체적으로 점검할 수 있는 정성지표(체크리스트)로 구성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서울어젠다 이행 성과를 정량적으로 파악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로직모델과 국가통계를 젓심으로 개발된측정지표를 사용하여 ‘문화예술교육 지속발전지수(SAEI) 를 산출하고 그 결과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SAEI는 개발된 지표체계와 로직모델을 기반으로, 라스파이레스의 산식(Laspeyres’ Formula)을 활용하여 연도별 최종값의 추이를 파악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각 해를 대표하는 SAEI의 최종값은 서울어젠다가 유네스코에 정식으로 채택된 2011년 이후 격년(2011 년, 2013년, 2015년, 2017년)으로 수집된 자료와 함께 2018년 자료를 추가하여 분석·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지수를 통해 구현된 한국의 문화예술교육의 지속가능한 발전성은 최근 10년간 꾸준히 향상된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SAEI를 구성하는 세 개의 핵심지수 젓 ‘질적 향상성’과 ‘사회문화적 가치확산성’은 문화예술교육의 ‘보편적 접근성’ 비해 월등히 낮아 이에 대한 정책개발과노력이 요구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The Sustainable Development for Arts Education Index (SAEI) is developed as a measure to assess progress and performance of national arts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Seoul Agenda: Goals for the Development of Arts Education, which was proclaimed at the 2nd UNESCO World conference on Arts Education in 2010. The SAEI is consisted of quantitative indicators utilizing relevant national statistic-based data and qualitative indicators (checklists) measuring progress and performance of national arts education within its given circumstances and contexts. Here in this article, we focus on looking at the quantitative indicators of the SAEI by demonstrating the adopted logic model and performance indicators, and discussing about the assessment results. The SAEI’s calculations were designed based on the Laspeyres formula, and financial figures across the years have been adjusted to account for inflation using the Consumer Price Index (CPI). In order to identify Korea s implementations and progress of the Seoul Agenda during the past 10 years, we collected data of odd numbered years between 2011 and 2017. Additionally, we also included 2018 data to present the up-to-date trend and progress by utilizing the lasted available data. As a result, the recent 10 year trend of the Korea s SAEIs shows a constant increase. When looking into three core indices respectively and comparatively, the Universal Accessibility index, based on the first goal of Seoul Agenda, marks the highest over the other indices, the Quality Enhancement and the Advocating Social and Cultural Impact.

      • KCI등재

        농어촌 거주민의 문화여가 실태에 관한 탐색적 연구: 창조농촌의 개념을 중심으로

        김인설 ( Kim In-sul ),김미연 ( Kim Mi-yeon ),신동호 ( Shin Dong-ho ),최윤지 ( Choi Yoon-ji ) 한국융합과학회 2021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0 No.6

        연구목적: 창조농촌(creative village)의 개념은 창조도시(creative city)에서 확장된 개념으로, 문화를 통해 마을에 활기를 불어넣고 번영을 촉구하자는 논의와 정책적 담론을 야기해 왔다. 하지만 여전히 도농 간의 극명한 문화 격차가 존재하고 이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본 연구는 창조도시 담론을 통해 변용된‘창조농촌’이라는 개념을 분석틀로 사용하여 우리나라의 농어촌 주민들의 문화향유 실태와 삶의 질에 대한 관계를 조망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구분된 농촌거주자들의 문화예술경험 현황과 목적, 희망 문화예술활동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좀 더 실천적이며 전략적인 문화향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데이터는 「농어입인 등에 대한 복지실태조사」(2019)를 원시자료로 사용하여, 창조농촌의 개념을 대입하여 2차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창조농촌의 주요한 하위개념의 문화시설 및 접근성, 문화·여가 활동 수준, 문화소비 수준, 문화전문 인력이라는 차원에서 창조농촌을 이야기 하기에는 여전히 주민의 인식과 만족도 측면에서 우선 충족 조건이 만족할 수 없다는 현실을 확인하였다. 또한, 농업어인의 삶에 연관된 문화 및 여가활동의 개선을 위하여 조사, 연구 및 서비스 재설계가 필요한 점도 확인되었다. Purpose: The concept of a creative village is an extended concept of the creative city, and has caused discussions and policy discourses to revitalize rural village and promote prosperity through culture. However, despite of this charming discourse, the reality is still a stark that cultural gap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are wide and the discussion is needed to be continued in more serious manner. This study uses the concept of 'creative village' transformed through the creative city discourse as an analytical framework, and investigates on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the level of enjoying culture and leisure of rural resident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jectively grasp the status and purpose of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s of rural residents, and to find more realistic and strategic ways to their life more suitable namely, creative villagers. Methods: The data of this study is based on 「2019 Survey on Welfare Status for Farmers, Fishers and others」and reanalyzed based on the concept of creative village. Result: As a result of the study, it is still hard to say that rural residents are satisfied with their living conditions in terms of creative village. To overcome this, cultural and leisure activity level, cultural consumption level, and cultural professional manpower, which are the major sub-concepts of creative rural areas need to be develop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