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의 저영향개발과 그린인프라: 현황과 발전 방향

        김이호,Kim, Reeho 응용생태공학회 2016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ol.3 No.2

        도시홍수, 가뭄, 폭염과 열대야 등 다양한 기상재해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어 인명과 재산 피해는 물론 도시의 자연환경보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다양한 기상재해를 최소화 하고 기후변화에 적응하면서 보다 쾌적한 도시환경을 다음 세대에게 넘겨주기 위한 목적으로 저영향개발 또는 그린인프라가 주목 받고 있다. 한국의 저영향개발 및 그린인프라 기술은 현재 보육(incubating) 또는 시연 (demonstrating) 단계에 있다.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의 노력으로 법률 정비가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를 통해 물을 이용만 하는 회색인프라 (Gray Infrastructure)로 구성된 회색도시 (Gray City)에서 물을 관리하는 그린인프라(Green Infrastructure)로 구성된 녹색도시 (Green City)로 변모하기 시작했다. 보다 체계적인 확산과 보급을 위해서는 한국형 신기술의 개발, 기술의 검증, 기술 기준의 정비, 다분야의 협력과 협업, 교육과 홍보 그리고 시민들의 참여가 요구된다. Diverse types of meteorological disasters that are frequently occurring at the present time, such as urban flooding, draught, heat waves, or tropical nights do not only cause casualties and property damages but also make it difficult to preserve the natural environment of the city. That is why Low Impact Development or Green Infrastructure has recently received lots of attention as a means to minimize meteorological disasters, adapt to climate change and to leave a better urban environment for the next generation. As of now, Korea's low impact development and green infrastructure technology are standing at the stage of incubation or demonstration. Both central and provincial governments have accelerated the updating of laws and regulations, which allows us to turn the Gray City with Gray Infrastructure that only uses water into a Green City with Green Infrastructure that manages the water. To spread and distribute such a notion in a systemic way, it requires new technology development tailored to Korea, verification of technology, and maintenance of related technological standards, cooperation with other industries, training & promotion, and the participation of citizens.

      • KCI등재

        물수지 분석에 기반한 빗물이용시설의 정량적 효과 분석

        심인경(Inkyeong Sim),김이호(Reeho Kim),이정민(Jungmin Lee),박종표(Jongpyo Park) 한국방재학회 2022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2 No.6

        빗물이용시설은 「물재이용법」에 의거하여 설치되는 시설로 현재 공동주택, 업무시설, 학교, 체육시설 등의 다양한 건축물에 설치되어 있다. RHS에서 집수되는 빗물의 수요처별로 구분하면 화장실 세정수, 수목관수, 도로청소용수, 수경시설 등 다양한 수요처에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문학적 물수지 분석을 통한 물수요-공급 시계열 분석을 수행하여 빗물활용성을 산정하였다. 물 수요-공급 시계열 물수지 분석은 최근 10년 기간을 기준으로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빗물이용시설에 대한 물수지 분석은 각 시설의 수요 시나리오에 의한 공급충족률, 빗물이용률, 공급충족률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건축용도 및 수요처가 다른 다양한 RHS에 대한 빗물활용성을 확인하여 향후 대상시설의 저류조 용량 설치 계획 및 운영을 위한 지원도구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The rainwater harvesting system (RHS) is a facility installed in accordance with the 「Act on promotion and support of water reuse」 and is currently installed in various buildings such as apartment houses, business facilities, schools, and sports facilities. Rainwater is used for various needs, such as toilet flushing water, tree irrigation, road cleaning water, and landscaped facilities. In this study, rainwater utilization was calculated by performing a water demand-supply time series analysis through a hydrological water balance analysis. The water supply-supply time series water balance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the recent ten-year period, and the water balance analysis for RHS analyzed the supply satisfaction, rainwater utilization, and rainwater coverage rates according to the demand scenarios of each facility. Through this method, it is expected to become a support tool for planning and operating the storage tank capacity of the target facility by confirming the rainwater utilization for various RHSs with different building uses and demand sources.

      • KCI등재

        다목적 최적화를 이용한 유역 관리 방안 탐색 : TP 배출부하량 및 강우유출수 저감을 중점으로

        박윤경(Park, Yoonkyung),김이호(Kim, Reeho),장종경(Jang, Jong-kyung),송양호(Song, Yangho),양동민(Yang, Dong Min) 한국방재학회 2019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9 No.7

        최근 도시지역 수자원을 수질뿐만 아니라 물순환 개선까지 고려하는 것으로 유역관리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패러다임에 맞추어 본 연구는 물순환, 수질 개선할 수 있는 다수의 LID 시설 적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 부경대학교 대연캠퍼스에 다수의 투수성 포장이 적용되는 경우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총 35개의 투수성 포장 적용안이 탐색되었다. 탐색된 적용안을 살펴보면, 하나의 목적(예를 들어 수질개선)만을 고려하여 투수성 포장을 설치할 경우 다른 목적(예를 들어 강우유출수 감소)의 대한 효과가 미미하거나 예산이 과도하게 사용될 수 있는 여지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방법을 이용한다면 한정된 예산에서 두 가지 목적(수질개선 및 강우유출수 감소)을 모두 달성할 수 있는 투수성 포장 설치안 제시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Recently, in urban areas, watershed management paradigms have changed the water cycle and water quality. This study explored the implementation of multiple low impact development (LID) facilities to improve the water cycle and water quality according to the paradigms. The study area was the Daeyeon campus of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In this area, permeable pavement is installed in various LID facilities. In this study, a total of 35 optimal implementation plans of permeable pavement are presented. The suggested optimal designs confirm that the installation of a permeable pavement considering one purpose alone (for example, water quality improvement) does not satisfy the other purposes (for example, runoff reduction); in other words, such an installation is uneconomical.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optimal installation designs for permeable pavements that can achieve multiple purposes (in this case, water quality improvement and runoff reduction) with a limited budget using the methodology suggested herein.

      • KCI등재

        서울시 저영향개발(LID) 시범 시설에 대한 편익 특성 연구

        이승원(Seung Won Lee),김이호(Reeho Kim) 대한환경공학회 2016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8 No.6

        서울시는 ‘건강한 물순환 도시’ 조성을 비전으로 선포하고 도시 물환경 악화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빗물의 침투 및 저류 기능 등을 이용하는 저영향개발(LID) 시설의 설치를 확산시키기 위한 정책 및 제도 개선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저영향개발 시설은 공공이 선도하는 물순환 도시 조성과 이를 위한 빗물의 표면유출 억제와 물이용 효율화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 악화된 물순환과 물환경을 회복하기 위해 다양한 저영향개발 시설이 설치 및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체계적인 경제성 평가를 위한 편익 분석 방안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영향개발 시설의 경제적․환경적․사회적 편익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저영향개발 시설별로 물․에너지․대기질 개선․기후변화 대응의 4개 카테고리별로 편익 분석항목을 선정하였다. 이러한 카테고리별 분류에 따른 직간접인 편익효과의 정량화 및 가치 평가 결과, 각 시설별로 연간 1,191원의 단위면적 당 편익이 발생하는 것으로 산정되었다. 분석 항목별 편익 분포 특성은 시설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물: 30~90%, 에너지: 4~44%, 대기질 개선: <1~2%, 기후변화 대응: 5~22%). TBL 분석 결과, 시설별로 경제적 편익의 비중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75~90%), 환경적 편익(<1~2%) 및 사회적 편익(9~24%)이 산정되었다. 향후, 현재의 개별 저영향개발 시설에 대한 편익 분석 방안을 기반으로 단지 및 지구 단위의 물순환 연계 시스템이 적용될 경우, 도시 열섬 현상 및 홍수 재해 예방 등 저영향개발 시설 운영의 편익에 대한 시너지 효과 등을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eoul metropolitan has established a vision as ‘Healthy water-cycle city’ to resolve urban water-environmental deterioration. And it established administrative structure to expand Low Impact Development (LID) facilities to recover aggravated water-cycle and water-environment. Therefore, various LID facilities are constructed and operated, however, benefit analytic plans for systematic valuation are insufficient. In this study, to analyze economic, environmental and social benefits of LID facilities, contents for benefit analysis were selected and categorized as water, energy, air quality and climate changes. As a result of quantification and valuation to the beneficial effects, LID facilities showed the total benefit as 1,191~3,292 won/yr. Characteristics of benefit distribution by analysis contents were various reflecting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each LID facility (Water: 30~90%, Energy: 4~44%, Air quality: <1~2%, Climate change: 5~22%). As a result of Triple Bottom Line analysis, economic benefit showed the greatest portion as 75~90%. As further studies, suggested benefit assessment plans for each LID facility should be applied to inter-connected LID systems on complex-scaled area, and synergy effects by various LID systems would be evaluated such as prevention of heat island and flood disas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