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20-30년대 덴마크 폴케호이스콜레(Folkehojskole)의 한국·일본 유입과 분화·변용

        김이경 ( Yikyung Kim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8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75 No.-

        본 논문은 20세기 초 한·일에 소개된 덴마크 폴케호이스콜레(Folkehøjskole)의 수용 과정에서 나타난 분화와 변용을 살펴본다. 농촌문제 해결을 위해 두 국가에서 덴마크 폴케호이스콜레와 협동조합 개념을 도입하였다는 사실을 확인하는 것을 넘어, 한국과 일본의 각기 다른 주체들이 대응하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포착한다. 성인을 대상으로 한 시민 배움터인 덴마크 폴케호이스콜레는 1910년대 초 일본에서 국민고등학교(國民高等學校)로 번역되어 한국에 유입되었다.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농업으로 국가 재건에 성공한 덴마크는 농촌 빈곤문제를 모색하는 여러 국가들에게 해결의 실마리를 제공해주었다. 일본의 경우 소작쟁의 및 산업화에 따른 도시·농촌 불균형의 해법을 찾고자 독일 협동조합법 등을 도입했고, 덴마크 협동조합 모델에도 관심을 가지는 가운데 폴케호이스콜레 개념이 소개되었다. 폴케호이스콜레는 도쿄제국대 농학부 연구자들에 의해 소개된 후 일본과 한국의 농촌 청년들을 위한 교육기관으로 설립·활용되었다. 일본에서는 천황제 중심인 신도를 강조한 그룹에서 폴케호이스콜레를 농촌에 적용하기 위해 1925년 일본국민고등학교협회를 설립한 후 국민고등학교가 전국에 확산되었다. 일제강점기 한국에서는 ‘농민의 낙원’으로 덴마크가 알려지게 되었고, 지식인들은 1920년 전후로 식민지배 극복에 대한 방안으로 덴마크 농촌 재건 모델에 관심을 가졌다. 한국의 기독교 활동가들은 1920년대 중반부터 덴마크 농촌을 직접 답사한 후 농촌에 일본 국민고등학교 모델과 유사한 덴마크식 농민수양소를 설립했다. 반면 한국과 일본의 무교회주의 그룹은 폴케호이스콜레의 기능보다 배움터의 설립 바탕이 된 그룬트비의 기독교 사상 및 자국어와 역사·문화를 강조한 이념에 주목했다. 본 논문은 덴마크 폴케호이스콜레의 유입과 분화·변용을 농민학교 모델과 소국·자립모델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서구의 새로운 개념이 유입된 20세기 초, 개념을 번역하는 일본과 이를 수용하는 한국은 국가라는 공간적 개념의 차이를 넘어서 조직별로 적용과 분화에서 공통점과 차이점이 드러난다. 이에 본 연구는 일본 농본주의와 한국 기독교 계열, 그리고 한·일 무교회주의 계열의 활동을 분석하여 덴마크 폴케호이스콜레 개념 유입과 분화를 살펴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the acceptance of Korea and Japan by folkehøjskole in Danish early 20th century. Danish folkehøjskole is currently translated into ‘Folk High School’, which was translated into ‘國民高等學校 (National high school)’ in Japan in the early 1910s and flowed into Korea. In the late 19th century, Denmark succeeded in rebuilding the country as an agricultural country, providing a solution to each country seeking industrialization and rural issues. In order to find out the solution of the urban and rural imbalance caused by the agrarian disputes and industrialization in Japan, Folkehøjskole concept was introduced with the interest of the Danish cooperative model as well as the introduction of the German industrial cooperative Act. National high school, which is a concept translated by researchers at the University of Tokyo, Japan, was actually established and used as a youth education institution in rural areas.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High School Association in Japan in 1925, schools were founded nationwide and Korean intellectuals also visited Japan to study this model. In Ko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tellectuals were interested in the rural reconstruction model of Denmark around 1920, and Denmark was introduced as an image of ‘a paradise for farmers’. In addition, after the mid-1920s, intellectuals and Christian activists visited Denmark, and Danish style farmer school and a cooperative were established in Korean rural areas. On the other hand, the nonchurch movement from Korea and Japan focused on the idea that Grundtvig, the Christian thought and the found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folkehøjskole, rather than the function of the folkehøjskole. This study analyzed the inflow and differentiation of Danish folkehøjskole introduced through Japan, divided into peasant school models, small and independent country models. In the early 20th century, Japan translates the new concept of the Western world, and they was introduced the concept in Korea. It has a similarity and difference in application and interprets from organizations and between the two countries. This study analyzed the activities of Japanese agriculture-first principle group, Korean Christian group, and Korean - Japanese nonchurch movement group, and examined the influx and differentiation of the Danish folkehøjskole concept.

      • KCI등재

        사료내 약용작물 부산물이 가숭어(Liza haematocheila)의 성장, 혈액성상,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이봉주 ( Bong-joo Lee ),김민기 ( Min-gi Kim ),허상우 ( Sang-woo Hur ),이승형 ( Seunghyung Lee ),이진혁 ( Jinhyeok Lee ),김현종 ( Hyeon Jong Kim ),김이경 ( Yikyung Kim ),이승한 ( Seunghan Lee ),김강웅 ( Kang-woong Kim ) 한국수산과학회 2021 한국수산과학회지 Vol.54 No.4

        By-products produced from medicinal plants (MP) were evaluated as feed additives on growth performance, blood chemistry, and immune responses of the juvenile red lip mullet Liza haematocheila. A commercial diet was used as the control. Four experimental diets were prepared by combining 0.5% of MPs such as Panax ginseng (PG), Schisandra chinensis (SC), Angelica gigas (AG), and Rehmannia glutinosa (RG), via water absorption, to the control diet. Triplicate groups of fish averaging 61.8 g were fed one of experimental diets to apparent satiation for 8 weeks. Dietary supplementation of MPs did not affect the growth performance, biological indices and whole body composition of fish compared to the control. The fish fed with AG diet had an increased weight gain, and specific growth rate compared to fish in SC group. Decreased level of plasma glucose was observed in fish fed diet containing MPs. Lysozyme activ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fish fed AG diet compared to that of fish in PG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ietary supplementation of Angelica gigas may enhance growth performance and immune responses in juvenile red lip mullet.

      • 공연에서의 가상현실 기술 적용과 관객 몰입요소

        박은아(Eunah Park),김이경(Yikyung Kim) 한국HCI학회 201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1

        공연이 디지털화 되면서 무대라는 공간이 현실과 가상의 경계를 무너뜨리는 가상현실 공간으로 재해석되고 있다. 본 연구는 몰입도와 현존감을 증가시키기 위한 가상현실 기술 중에 홀로그래픽을 중점적으로 보고, 이를 활용한 공연 콘텐츠 사례를 바탕으로 무대 배경, 가상 퍼포머, 극적 소재의 가상현실화로 분류하여 정리하였다. 더불어 관객의 몰입을 증가시키거나 방해하는 요소를 분석해야 하는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As performances become more digitalized, the stage is reinterpreted as a virtual reality space of breaking the boundaries between the virtual and the real. This research focuses on holographic technology among virtual reality technologies that are designed to intensify immersion and presence, classifying the cases of its application in performance contents into three categories: stage background, virtual performer, and dramatic materials. This research thus raises the need for analyzing factors that augment or hinder audience's immersion.

      • 미국 바이든 신정부 통상정책 전망에 대한 국제통상법적 고찰

        권혁우(Hyouk-woo Kwon),김이경(Yikyung Kim),우석중(Suk-Jung Woo),윤경민(Kyungmin Yoon),신재원(Jaewon Shin) 산업통상자원부 2021 통상법무정책 Vol.- No.1

        일국의 통상정책은 국제통상규범과 상호작용하며, 이는 미국의 경우 더욱 그러하다. 본고에서는 바이든 행정부의 주요 통상정책 분야별로 정책방향을 전망하고, 미국의 통상정책이 국제통상규범과 어떻게 상호작용하게 될지를 분석하여 미국의 주요 통상정책 전망을 한 단계 더 세밀화하고 향후 국제통상규범의 변화 방향을 가늠해보았다. 우선, 바이든 행정부가 가장 중시하는 경제정책인 경제회복 및 중산층 재건의 경우 미국의 바이아메리칸 강화가 주요한 변수이다. 바이든 대통령이 대선에서 공약한 첨단산업 및 친환경 분야 대규모 인프라·R&D 투자를 추진할 시 그 중요성은 더욱 커진다. 트럼프 대통령의 의약분야 바이아메리칸 행정명령에 따른 미국의 관련 양허수정이나, 바이든 대통령이 공약한 정부조달 관련 통상규범 현대화 논의는 미국의 바이아메리칸 정책 추진강도에 따라 정부조달 분야 통상규범에 변화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관세 전반을 재검토하고 통합 전략을 마련하겠다고 공약한바, 이전 행정부에서 도입한 232조, 301조 관세의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232조 관세의 경우 WTO에서 패널 절차가 진행중이며, 301조 관세의 경우 미국이 중국에 실질적으로 패소한 뒤 상소한 상황이다. 특히 전자의 경우에는 국가안보예외와도 관련된 바, 미국이 미중간 갈등 맥락에서 취하고 있는 각종 비관세 조치에 시사점이 있는 만큼 사건 판정 결과에 주목할 필요성이 있다. 미국의 통상정책에서 미중간 경쟁이라는 맥락은 점진적으로 중요해지고 있다. 타이 USTR 대표 또한 중국에 대한 통상정책에서 해당 협정 이행확보를 최우선순위로 두겠다고 공언한 바, 해당 협정을 통해 미중간 소통이 얼마나 원만히 이루어지는지는 미국이 어떤 플랫폼을 활용하여 산업보조금이나 국영기업 등 미해결 문제를 중국에 문제를 제기하는지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더해, 최근 미중간 경쟁은 공급망이나 기술패권의 영역으로도 본격 확대되고 있으며, 수출통제나 외국인투자심사를 통한 기술안보 강화를 제외한 여타 조치는 여전히 구체화 중인 단계로 보이나 향후 관련한 무역제한조치가 마련될 경우 철강 232조 관세와 같이 국가안보예외를 원용할 수 있는지 문제가 같이 고려될 것으로 전망된다. 마지막으로 신규 무역협상을 본다면, 비록 바이든 대통령은 경제회복을 우선할 것으로 공언하였으나 미국 USTR이 무역협상을 진행하기 위해 의회로부터 협상권한과 협상목표를 부여받는 무역촉진권한(TPA)의 만료시점을 전후로 미국에서는 앞으로의 무역협상 정책에 관한 논의가 촉발될 전망이다. 차기 TPA 관련 주요 미국 전문가 사이에서의 논의에 기반해 볼 때 내용의 차원에서는 노동 및 환경, 디지털, 환율 등이 논의되고 있다고 하는데 특히 디지털 통상의 경우 USMCA와 미-일 디지털 협정에 포함된 높은 수준의 규범을 미국이 도모할 가능성이 있다. A nation’s trade policy interacts with international trade rules, and this argument stands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US. This paper provides a forecast of Biden Administration’s key trade policies, and then analyzes how they will exchange effects with trade rules. This process enhances accuracy in projecting US trade policies and the future changes in international trade norms. As for the Biden Administration’s main economic policy which is economic recovery and rebuilding the middle class, “Buy American” provisions are the key factor. President Biden visions to invest in emerging and green energy industries, and plans to discuss modernizing Government Procurement rules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o that increased spending is better directed to American jobs. President Biden has also mentioned that he will review all US tariffs and form a coherent and comprehensive strategy. This may include a review on Steel 232 tariffs and China 301 tariffs. Both tariffs are currently in the WTO DSB process. The Steel 232 tariffs are linked to the National Security Exception within international trade rules, which gained importance in the last four years under the Trump Administration. From a bigger perspective, competing with China has become an important context in American policy. USTR Katherine Tai has testified in her hearing at the Senate Finance Committee that she will prioritize China’s compliance with the US-China Trade Deal Phase one. The US-China trade deal, which was one of the few US-China channels that were in function even in the late part of the Trump Administration, may continue to be an important channel for the US to raise concerns on issues such as industrial subsidy or SOEs. In addition, US-China economic relations are under scrutiny from the aspects of technology security and supply chains. Lastly, regarding new trade negotiations, President Biden has been clear that there will be no new trade negotiations before investing in the US. However, the coming deadline of the Trade Promotion Authority will catalyze discussions within the US on future trade negotiations. Informal working groups on this issue are known to be discussing strengthening obligations of the Government towards Congress, and key negotiation purposes on Labor, Environment, Digital, and Currency.

      • KCI등재

        한국·일본의 협동조합 유입·적용 경로 비교를 통한 일제하 한국 협동조합 전개의 특징

        김이경 ( Kim¸ Yi-kyung ) (사)한국협동조합학회 2021 韓國協同組合硏究 Vol.39 No.1

        본 연구는 1870년대 후반부터 1930년 초까지 전개된 일본과 한국의 협동조합 경로를 비교하여 일제하 한국 협동조합 전개 과정의 특징을 검토하였다. 일본은 메이지유신 이후 서구를 모방한 국가건설에 매진했다. 그 과정에서 농촌의 생산량 증대와 빈곤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독일 협동조합법 등을 참고하여 산업조합법을 제정했다. 일본의 산업조합(법)이 조선에 유입되는 과정에서 자치성, 자율성, 상호부조성 등이 탈각되어 식민지배에 용이한 금융조합과 산업조합으로 변형된다. 1900년대 초 조선에는 일본의 산업조합에 바탕을 둔 협소한 개념으로 협동조합이 유입되지만, 1920년대 중반 이후 일본과 유럽을 경험한 지식인들에 의해 조선총독부의 협동조합 정책에 비판적인 관점을 갖게 된다. 이들은 조선총독부가 발(發)한 명령인 제령을 따르지 않고, 조선인을 위한 구매기관이자 자립적인 경제조직을 지향하며 사단법인이 아닌 임의기관으로 협동조합을 설립하고 협동조합 원칙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 과정을 검토하며 조선총독부에 의한 관제 협동조합을 단순히 비판하는 것을 넘어, 조선인들의 다층적인 협동조합 경험과 이해의 배경을 비교사적 관점에서 포착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co-operative development process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by comparing the paths taken in Japan and Korea towards introducing co-operatives, which took place between the late 1870s and the early 1930s. After the Meiji Restoration, Japan was focused on building a nation that imitated the West. The Industrial Co-operatives Act was established by the government, which referred to Germany’s Co-operative Law to increase rural production and reduce poverty.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Japanese industrial co-operatives into Korea, the features of autonomy and mutual aid were removed. In early Korea, co-operatives were understood as narrow concepts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but this was viewed critically by intellectuals who had experienced Japan and Europe since the mid-1920s. They did not follow orders from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but aimed at forming purchasing agencies and self-reliant economic associations for Koreans, and conducted a co-operative movement to voluntary associations, not corporations. This study reviews this process and goes beyond simply criticizing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to capture the background of Korea’s multilayered co-operative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from a comparative historical persp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