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캡스톤 간호연구 수업이 문제해결능력,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김은휘(Kim, EunHwi),고영지(Ko, YoungJi),상남(Kim, SangNa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0

        본 연구는 학습자의 능동적 참여를 포함하는 캡스톤 간호연구 수업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간호학생의 문제해결능력,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이질집단 사전·사후 설계의 유사실험연구로 연구의 대상자는 G시에 소재하는 K대학 간호학과 3학년 학생으로 캡스톤 간호연구 수업(실험군 44명)과 전통적인 간호연구 수업(대조군 41명)에 참여한 학생이다. 자료는 2015년 8월에서 10월 사이 자가보고식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되었고, PASW Statistics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χ2-test,independent t-test로 분석하였다. 캡스톤 간호연구 수업은 문제해결능력에 유의한효과를 보였고(t=2.97, p=.004), 집단 간 학습만족도에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t=2.45, p=.016), 학업성취도(t=0.88, p=.384)에는 유의한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간호학생의 역량증진을 위해 학습자 중심의 자기주도적 학습경험을 포함하는 캡스톤 간호연구 수업의 적용이 확대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effects of a capstone nursing research course for nursing students. This quasi-experimental study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Subjects were 85 third year nursing students(Experimental group=44, control group=41). The experimental group had taken part in a capstone nursing research course and the control group did a traditional nursing research course. Data, regarding ability of problem-solving, and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of study, were collected from August 27 to Octobor 31 in 2015 and analyzed with two sample t-test using PASW Statistics (SPSS) 18.0 program. Ability of problem-solving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t=2.97, p=.004) and satisfaction of stud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t=2.45, p=.016). But achievement of study (t=0.88, p=.384) was not significantly increased. Application of capstone nursing research course has to be extended to increase nursing competencies.

      • KCI등재

        연령에 따른 시지각과 시각-운동통합 능력의 변화

        미애(Kim, Mi-Ae),박용경(Park, Yong-Kyung),김은휘(Kim, Eunhwi),미한(Kim, Mi Han),정성화(Jung, Sung-Hwa),서순림(Shu, Soon-Rim),홍(Kim, Hong) 한국노년학회 2013 한국노년학 Vol.33 No.1

        본 연구는 인지기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는 성별, 질병유무, 운동유무, 그리고 연령에 따라 시지각과 시각-운동통합 능력이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일반 성인의 시지각과 시각-운동통합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규명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대구ㆍ경북에 거주하고 일상생활과 의사소통이 가능하며, 인지기능 장애가 없는 건강한 20-70대의 남녀 성인 137명으로 하였다. 시지각과 시각-운동통합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측정도구는 각각 MVPT-V, VMI-3R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시지각 능력에는 성별(β=-.170, P=.012)과 연령이(β=-.614, P<.001), 시각-운동통합 능력에는 연령(β=-539, P<.001)이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고, 특히 시각-운동통합 능력이 시지각 능력보다 연령에 더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Wald's χ²=16.03, P<.001). 이러한 연구결과는 노화에 따른 인지기능의 감소가 시지각과 시각-운동통합 능력의 감소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따라서 노화에 따른 인지기능의 감소를 적절하게 예방하기 위해서는 연령에 따라 크게 감소하는 시각-운동통합 능력에 대한 적절한 평가와 효과적인 측정도구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visual perception (VP) and visual-motor integration (VMI) depending on various factors. The survey was conducted by 152 subjects (aged 20 to 70 years old; both gender, n=10 in each ages) living in Dague and Gyeongbuk district and 137 proper data were collecte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based questionnaires which were constructed to include the Motor Free Visual Perception Test-Vertical Format (MVPT-V) and the Visual-motor integration 3rd Revision (VMI-3R).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and most results were expressed the mean ± standard deviation (SD) or percentage (%). As a results, the main factors were gender and age on VP and age on VMI. Particularly, VMI is more affected by age than VP.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regular evaluation of VMI is very important to protect cognitive deficit by aging process effectively.

      • KCI등재

        코로나19 유행 상황에서 농어촌지역 건강마을 건강위원의 역할

        윤영(Yunyoung Kim),건엽(Keonyeop Kim),홍남수(Nam-Soo Hong),강수진(Soo Jin Kang),김은휘(Eunhwi Kim),종연(Jong-Yeon Kim),박민아(Min-Ah Park) 한국농촌의학 지역보건학회 2021 농촌의학·지역보건 Vol.46 No.4

        코로나19 유행에서 건강마을 위원들을 대상으로 주요 건강문제, 건강리더의 역할, 필요한 사업, 비대면 사업 추진을 위한 디지털 환경을 조사하여 코로나 장기화에 따른 농어촌 주민 대상 건강마을 사업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020년 11월 30일부터 12월 21일까지 건강마을의 건강위원 총 585명을 전화면접조사 하였다. 주민들이 인식하는 건강문제는 코로나19 감염우려(48.5%), 우울(32.5%), 의료서비스 이용 어려움(9.4%), 운동 부족(7.7%)의 순이었다. 코로나 상황에서 건강위원회의 역할은 방역수칙을 지키도록 격려하였다가 91.3%로 가장 많았다. 필요한 건강마을 사업으로 건강물품 제공, 정신건강사업 요구도가 높았다. 가정 내 인터넷이 연결된 컴퓨터나 스마트 기기가 있다는 17.9%, 인터넷 정보의 접근과 이용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쉽게 도움 받을 사람이 마을 내 있다는 42.2%였다. 주민 공공시설에 동영상 시청은 36.9%, 인터넷 사용 가능은 22.2%였다. 코로나 방역과 치료로 농어촌 주민들에 대한 보건의료 서비스 제공이 원활하지 않은 공중보건 위기 상황에선 마을 내 건강리더를 통한 건강관리와 방역이 필요하며, 비대면 환경에서 주민 참여형 건강마을 사업을 할 수 있는 디지털 환경 인프라 구축이 요구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Healthy Village project for rural residents in accordance with the prolonged COVID-19 by investigating the digital environment for major health problems, the role of a health leader, necessary projects, and non-face-to-face projects for Healthy Village members in the COVID-19 epidemic. Methods: Telephone interview surveys were conducted with 585 residents from November 30, 2020 to December 21, 2020. Results: Health problems perceived by residents were in the order of concerns about infection (48.5%), depression (32.5%), difficulties in using medical services (9.4%), and lack of exercise (7.7%). The role of the health committee in the COVID-19 situation was “encouraging people to follow quarantine rules” with 91.3%. As a necessary health village project, there was a high demand for the provision of health products and mental health projects. 17.9% said that there is a computer or smart device connected to the Internet in their home, and 42.2% said that there is someone in the village who can easily get help if there is a problem in accessing and using Internet information. 36.9% were able to watch videos, and 22.2% were able to use the Internet through public facilities. Conclusion: In a public health crisis, where the provision of public health and medical services to rural residents is not smooth, it is necessary to manage health and quarantine through health leaders in the village, and it is required to establish a digital environment infrastructure that can conduct community participatory health village projects in a non-face-to-face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