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도시디자인 가이드라인 설정과 적용에 관한 연구 : 남악 신도시 주거용지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윤학 조선대학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최근 우리나라는 대규모의 택지개발, 혁신도시, 기업도시 등 많은 뉴타운이 계획되면서 보다 쾌적하고 아름다운 명품도시를 만들기 위해 다양한 제도와 수법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의 대표적인 것이 지구단위계획, 경관계획, 총괄계획가(MA, MP), 지자체의 디자인 지침 등이다. 이중 지구단위계획제도는 2000년에 도시계획법이 개정되면서 종전의 건축법에서 규정하고 있던 도시설계제도와 도시계획법에서 규정하고 있던 상세계획제도가 통합되어 개편되면서 제도화된 것으로써, 이는 일정규모 이상의 개발에는 반드시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하여 건축, 토목, 조경, 도로 등, 공공부분이나 민간부분의 디자인에 개입하여 지침이 되도록 하는 제도이고, 경관계획은 지구단위계획 내용이 근간이긴 하지만 지구단위계획과는 별도로 수립하여 도시디자인의 실현전략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특히 경관법 제정 이후에는 도시디자인 관리의 중요한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별도로 총괄 건축가(MA, MP)는 개별 건축디자인에 직접 관여하는 것으로써 개별건축가(블록건축가, B.A)와 협의를 통해 디자인을 결정하는 것인데, 이는 디자인이란 질적인 대책이기 때문에 디자인을 제도 등으로 규정하는 것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지구단위계획이나 계획만으로는 매력적인 도시 실현이 불가능하다는 데에서 출발했다. 이처럼 지구단위계획이나 경관계획, M.P제도는 도시공간이란 다양한 소유 주체와 다양한 요소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맥락적으로 관리하지 않으면 도시공간은 혼란스럽게 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즉 근대사회를 거치면서 우리도시들은 도시공간을 구성하는 여러 요소들의 개개 개성이나 관점이 크게 존중됨으로서, 결과적으로 도시공간이 맥락적이지 못하고, 혼란스러워지기 까지 하고 있다는 비판에 대한 보완에서 출발한 것이다. 특히 도시는 사람들이 고밀도로 모여 사는 사회공간으로서 소유자가 다르고, 구성요소가 다양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견해가 존재하기 때문에, 도시를 구성하는 건축 등이 각기의 주장을 허용하게 된다면 아무리 개개의 주장이 다양성, 창조성, 지역성을 주제로 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전체적으로 보면 도시공간은 혼란이라는 획일성에 빠져버리기 쉽기 때문에 도시적 관점에서 도시공간을 통일적으로 해석하고 맥락적으로 디자인할 수 있는 도시디자인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는 관점에서 출발했고, 이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제도가 지구단위계획인데, 이는 2차 윤곽선으로써 배치나 형태, 높이, 색체 등에 대해 보다 상세한 가이드라인을 지구단위계획으로 설정하여 3차 윤곽선으로써의 건축설계의 길잡이 역할을 하도록 하고 있으나, 지나치게 광의적이거나 도시가 갖고 있는 지역성을 무시한 채 일률적이며 획일적으로 수립되게 되면서, 실제로 맥락적 경관을 창출하고 있지 못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21세기 도시과제는 도시적 관점에서 도시를 구성하는 요소의 디자인을 매니지먼트 하는 것이며, 이는 먼저 정체성 있는 도시이미지를 설정하고 이에 적합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설정하는 것이라는 전제 아래, 남악신도시를 대상으로 건축디자인 가이드라인의 설정현황과 인지분석을 통하여 맥락적 디자인유도에의 한계를 보이고 있는 지구단위계획에서의 건축 가이드라인 문제점을 돌출하고, 이의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한 연구로써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건축물의 배치는 용지별로 벽면선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게 나타나서 통일감이 없고, 아파트의 배치는 탑상형과 판상형의 주동을 적절히 배치하고는 있으나 가로방향에서의 차폐가 배경의 산자락을 가리고 있으며, 특히 진입부에서의 시야차단은 위압감까지 주면서 도시경관을 해치는 주요요인이 되고 있다. 2. 건축물의 높이는 단독주택용지나 준 주거 및 근린생활시설용지의 건축물은 지구단위계획의 내용을 준수하고는 있으나 계단실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아서 스카이라인의 균형이 깨지고 있고, 또 파라펫의 높이나 형태가 서로 달라서 통일감이 상실되고 있다. 공동주택용지의 아파트 높이는 단지 내 층수변화가 커서 위압감을 형성하고 있고, 근린공원이나 산에 연접하고 있는 아파트단지의 층수가 많게 나타나고 있어서 주요 조망경관을 해치고 있다. 3. 건축물의 입면은 대부분 창호나 발코니의 형태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나고 있는데, 특히 아파트의 정면은 발코니에 전면창을 획일적으로 배치하면서 단지 색채에 의한 입면변화를 꽤하고 있는 단지가 많아서 형태의 다양성이 떨어지고 있는 반면 일부 아파트 단지의 과도한 디자인에 의해 도시의 맥락을 형성하지 못하고 있다. 4. 건축물의 지붕형태는 단독주택용지의 경우 형태는 거의 같으나 구배가 각기 다르고, 색채 또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어서 통일성을 느낄 수 없으며, 준 주거 및 근린생활시설용지의 건축물과 공동주택용지의 아파트 지붕은 블록별로 다양한 형태를 보이고 있는데, 특히 아파트단지의 경우 지붕과 옥탑, 주동출입구의 지붕 형태가 각기 다르게 나타남으로써 형태적 통일성이 떨어지고 있다. 5. 건축물의 담장은 형태 및 재료가 아파트 단지별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어서 가로에서의 정연성과 통일성이 떨어지고 있고, 건축물의 색채는 조색과 보조색 간에는 차별성에서 미약함을 보이고 있고, 일반적인 도심지 건축물들이 사용하는 색채와 거의 유사한 색채로 보여지고 있다. 6. 진입부에서의 아파트 이미지평가는 조망위치가 아파트단지에 근접할수록 부정적으로 평가되고 있는 반면 아파트단지에서 멀어질수록 긍정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이미지에 대한 평가가 단지 아파트의 배치나 높이, 주동의 길이뿐만 아니라 발코니, 창, 지붕, 색채 등의 아파트 형태에도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보면 용지별 지구단위계획의 디자인가이드라인이 광의적이고 규범적이어서 맥락적 디자인 유도에는 한계를 보이고 있고, 건축설계 역시 지구단위계획을 지구 경관적 관점에서 해석하기보다는 단지 준수해야할 법규정도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지구단위계획은 지구가 완성되었을 때의 전체이미지가 명확하지 못하고 그 내용도 규모나 배치, 형태에 치중되어 있으므로, 앞으로는 지구이미지를 먼저 상정하고, 이를 실현하는 수법으로서 지구단위계획에서 디자인가이드라인에 대한 내용을 좀 더 상세히 설정하면서 권장이 아닌 명확한 지침으로써의 제시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Recently, as Korea has planned many new town constructions including large-scaled housing site development, innovation city and company town, various systems and methods such as district unit plan, landscape plan, master plan and local government's design guideline have been used to make more comfortable and beautiful city. District unit plan system is legal system designed to make it design guideline for construction, civil engineering, landscape architecture and road. This system was initiated from the criticism that urban space was not contextual, but confused by ensuring freedom of individual components of city through modern industrial society. Further, since urban space is not only composed of various possessive subjects and factors, but also allows a variety of opinions, it was institutionalized from the viewpoint that a device to interpret urban space wholly and induce design contextually is needed. But, as 10 years passed since such a district unit plan was executed, there has been criticism that new town developed by this plan was not so attractive as expected and the research on this reality is urgent.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s of district unit plan on formation of urban landscape with housing site, quasi-residential and neighborhood units. It extracted the contents of district unit plan and landscape plan of Namak New Town, examined placement, form and height of buildings built on each site, conducted cognitive evaluation of these areas an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1. New town to be examined was established with district unit plan and landscape plan, but actual guideline of architectural design was district unit plan. 2. There are general and ambiguous regulations and recommendations of placement, height, facade and roof style related to urban landscape among district unit plan factors and there are also limitations in making contextual landscape. Therefore, since design has limitation not to be regulated in detail because it is qualitative, institutional complement of district unit plan is required. 3. Institutional complement of district unit plan includes case making it guideline of architectural design like school transfer area and that requiring complement like design guideline or M.A system in the stage of execution. Since large-scaled development like new town is not enough with district unit plan, design guideline or M.A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4. To establish district unit plan, image of the whole city or street space when development is completed should be laid and as a means of achieving it, content and object of district unit plan are needed. And architectural design requires obedience of regulations of block and lot concerned and design view as the realization of city and street space with such an image. 5. Regulation or recommendation of district unit plan factor should be established clearly and in particular, recommendation must have incentive system to ensure the realization of the plan. And from the viewpoint of context and independence, these factors should be clear and in this case, deciding the range of the context and independence shall be important task in establishing district unit plan.

      • 농축 슬러지의 포기조 반송에 의한 슬러지 감량 및 수질개선 방안 연구

        김윤학 울산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농축슬러지의 포기조 반송이 기존하수처장의 슬러지 감량화 및 수질개선 방안으로서 타당성이 있는지를 검토하기 위한 연구였다. 따라서 농축슬러지의 포기조로 반송에 따른 슬러지 발생량 감소를 이론적으로 검토하고, 농축슬러지를 포기조로 반송되도록 공정을 개선한 환경시설관리공사으 Hㅘ수처리장을 대상으로 공정개선 전후의 운전자료 및 슬러지 발생량 자료를 이용하여 슬러지 감랸과 수질 개선 효과를 분석하여따. 또한 단위공정 평가를 위한 현장조사를 2001년 7∼8월에 총 회 걸쳐 실시하여 전체 공정에 대한 물질수지도를 작성하였으며, 농축슬러지의 반송이 영양염류 제거조건인 포기조의 C/N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였다. 공정개선전후의 유입 및 방류수질을 보면 개전선 유입수질은 BOD 100.5 mg/L, COD 66.2 mg/L, SS 134.6 mg/L, TN 36.23 mg/L, TP 4.86 mg/L이고, 방류수질은 BOD 3.9 mg/L, COD 6.9 mg/L, SS 4.9 mg/L, TN 16.68 mg/L, TP 0.86 mg/L이였다. 개선후 유입수질은 BOD 122.1 mg/L, COD 66.7 mg/L, SS 143.0 mg/L, TN 25.84 mg/L, TP 3,86 mg/L이고, 방류수질은 BOD 4.7 mg/L, COD 6.3mg/L, SS 5.1 mg/L, TN 13.51 mg/L, TP 0.64 mg/L이였다. 공정 개선 후의 유입수질은 다소 변화가 있으나 방류수질은 개전선에 비해 큰 변화가 없이 안정적인 수질을 보여주었다. 농축슬러지의 포기조 반송에 따라 포기조 유입수질과 포기조의 운영인자들이 크게 변하였다. 개선후 포기조로 유입되는 TN, TP의 수질 변화는 거의 없으나, BOD는 66.1 mg/L에서 159.3mg/L로, SS는 64.8mg/L에서 148.4 mg/L로 증가하여 포기조의 F/M비, MLSS 등의 운영인자들이 크게 향상되었다. 공정개선전의 Yield(Y)는 0.30∼0.78 (평균 0.57)이였으며, 개선후에는 0.45∼0.71 (평균 0.55)로 개선후 단위 BOD 제거당 슬러지 생산량이 약간 감소하였음을 보여주었다. 미생물 증식속도와 미생물 자산화속도를 고려한 슬러지 발생량(Y_obs)은 개선전에는 0.22∼0.59 (평균 0.40)이였으나, 개선후에는 0.14∼0.29 (평균 0.20)로 감소하였는데 이는 시스템에서 미생물 평균 체류시간(θ_c)의 증가에 따라 세포자산화가 증대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H하수처리장의 개선전의 공정인 슬러지만 반송할 경우 포기조의 C/N비는 COD/TN 2.3, COD/TN 2.6, COD/HN₄-N 3.7이며, 개선공정인 농축조 슬러지 반송이 추가되는 경우 COD/TN 2.9, COD/TKN 3.3, COD/HN₄-N 4.8로 영양조건이 향상되어 포기조에 무산소 조건이 시간적으로나 공간적으로 주어질 경우 질소제거 효율이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의 결과부터 농축조 슬러지의 포기조 반송은 슬러지 처리시설이 없는 증규모 하수처리장에서 강화되는 질소 방류기준과 슬러지 처리기준에 대응할 수 있는 실용적인 방안임을 보여준다고 사료된다. This is the feasibility study of TSRA(thickner sludge recycling to aeration tank) to reduce sludge production and improve the effluent quality in sewage treatment plant. The effect of TSRA on mean sell-residence time(θ_c) and sludge production was evaluted theoretically, shile the field study were conducted at the H sewage treatment, retrifitted for the TSRA, to assess the sludge reduction and effluent quality. The actual sludge production before and after retrofitting were compared by the Y and Y_obs using operating data obtained at the H sewage treatment plant. The effect of TSRA on C/N of aeration tank influent were also evalutated to find enhanced nitrogen removal potential. The average influent quality before retrofitting were BOD 100.5 mg/L, COD 66.2 mg/L, SS 134.6 mg/L, TN 36.23 mg/L, TP 4.86 mg/L, while the effluent quality were BOD 3.9 mg/L, COD 6.9 mg/L, SS 4.9 mg/L, TN 16.68 mg/L, TP 0.86 mg/L. After retrofitting, influent quality were BOD 122.1 mg/L, COD 66.7 mg/L, SS 143.0 mg/L, TN 25.84 mg/L, TP 3,86 mg/L, while the effluent quality were BOD 4.7 mg/L, COD 6.3mg/L, SS 5.1 mg/L, TN 13.51 mg/L, TP 0.64 mg/L, respectively. Though TSRA increase F/M and MLSS of aeration tank, the effluent quality were similar but more stable than those of before retrofitting. The total sludge Y of before retrofitting were 0.3∼0.78(average 0.57), while 0.45∼0.71(average 0.55) after retrofitting. However, Y_obs of before and after retrofitting were 0.22∼0.59(average 0.4) and 0.14∼0.29(average 0.2), respectively, which is due to the increase θ_c and endogenous respiration of the sludge. The C/N of influent to aeration tank before retrofitting were COD/TN 2.3, COD/TN 2.6, COD/HN₄-N 3.7, while COD/TN 2.9, COD/TKN 3.3, COD/HN₄-N 4.8 after retrofitting. As TSRA increase the nutrient condition for nitrogen removal, enhance removal of nitrogen are expected if proper if proper anoxic condition are imposed in the aeration tank. This study showed that TSRA(thickner sludge recycling to aeration tank) can be a practical alternative to reduce sludge production and improve the effluent quality in medium seqage treatment plant without sludge treatment process t meet the more stringent nitrogen regulation and sludge treatment procedure.

      • 廢線된 光州都心鐵道 沿邊 建築物의 特性에 관한 硏究 : 地區單位計劃樹立 豫定인 都心鐵道敷地를 中心으로

        김윤학 朝鮮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examines and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buildings at the site of scrapped railroad of 10.8 km long from Gwangju Station to Hyocheon Station which was designated as the Green Road Park by Gwangju city based on land and building registers in order to make it an attractive street space. 1. According to the current status of land category, a site was most as 83.4%, followed by road (6.7%) and rice field (3.7%) and in use of site, buildings were most as 78.l%, followed by road (83.5%) and rice field (67.9%). The area of buildings below 100㎡ was most, followed by between 100㎡ and 200㎡ (18.0%) and over 300㎡ (3.7%). Compared to the area of site, most of buildings have low capacity. 2. According to the current status of buildings by structure, wooden structure was most as 39.1%, followed by brick structure (37.9%) and concrete structure (20.0%). In the current status of buildings by year, the buildings built in 1970s were most as 52.2%, followed by those built in 1960s and in 1980s (13.6%). 3. According to the current status of buildings by use, houses were most as 74.8%, followed by complex building for commerce and residence (9.0%) and convenience facilities (8.8%). And in the number of stones of buildings, one-stored buildings were most as 68.3%, followed by two-storied buildings (25.1%) and three-storied buildings (3.0%). Surroundings around the site of scrapped railroad show different uses, structures and materials of buildings depending on its relationship with use, topography and surroundings of the area, but in general the period of construction is long and capacity and building coverage are low due to the restriction of construction on railroad site. However, when the site of scrapped railroad will be developed to green road park, regulation and guidance of use, location, height and form of buildings are needed because buildings with distorted view due to severe pressure for development may be appeared. In particular. while the uses of the area around the site of scrapped railroad are mostly residential areas, there are different designations such as commercial, industrial and green zones according to areas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 regulation of uses with the visual continuity is needed centering around the site of scrapped railroad.

      • KMTNet으로 관측된 미시중력렌즈 행성 사건들의 특성 연구

        김윤학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2021 국내박사

        RANK : 247615

        이 논문에서 미시중력렌즈 기법(microlensing technique)으로 발견한 세 가지 외계행성의 특성을 보이고, 이를 통해 미시중력렌즈 기법이 우리 은하의 행성 분포학(planet demographics)연구를 위해 제공할 수 있는 상보적인 외계행성 표본의 특성에 대해 고찰한다. 첫 번째로, OGLE-2017-BLG-1049 사건의 분석 결과이다. Caustic-crossing 현상의 감지덕분에, the angular Einstein ring radius $(\theta_{\rm E})$가 측정이 가능했던 반면, 지구 공전에 의한 시차(microlens parallax effect) 는 비교적 짧은 사건의 지속시간$(t_{\rm E}\sim29 \ {\rm days})$ 때문에 측정되지 않았다. 위의 두 가지 파라미터들은 렌즈의 질량 및 렌즈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데 필요한 요소인 관계로, 베이지안 분석법(Bayesian analysis)을 통해, 렌즈시스템의 물리량을 추정하였다. 그 결과, 렌즈계의 추정된 질량은 $0.55^{+0.36}_{-0.29} \ M_{\odot}$와 $5.53^{+3.62}_{-2.87} \ M_{\rm Jup}$이고, 렌즈계 까지의 거리는 $5.67^{+1.11}_{-1.52} \ {\rm kpc}$임을 발견했다. 또한, 두 천체 사이의 투영된 거리는 $3.92^{+1.10}_{-1.32} \ {\rm au}$임을 밝혀냈고, 이 결과는 행성이 이 항성계의 snow line $(1.49 \ {\rm au})$ 너머에서 공전하고 있음을 암시한다. 추가적으로, 렌즈와 source 사이의 상대적인 고유운동 값은 $\mu_{\rm rel}\sim 7 \ {\rm mas/yr}$임을 밝혔고, 이는 렌즈와 source 가 10년 내에 분해가 가능할 정도로 분리됨을 암시한다. 두 번째로, OGLE-2018-BLG-1428 사건의 분석 결과이다. Caustic-crossing 현상이 감지되었기 때문에, $\theta_{\rm E}$는 측정이 잘 되었지만, 상대적으로 짧은 사건 지속시간$(t_{\rm E}\sim24 \ {\rm days})$ 때문에 미시중력렌즈 시차는 특정 되어지지 못했다. 따라서, 베이지안 분석법을 활용하여 렌즈계의 모항성과 행성의 질량은 각각 $0.43^{+0.33}_{-0.22} \ M_{\odot}$인 M-dwarf와 $0.77^{+0.77}_{-0.53} \ M_{\rm Jup}$인 준 목성급(sub-Jupiter)의 행성임을 발견했다. 또한, 렌즈계는 $6.22^{+1.03}_{-1.51} \ {\rm kpc}$에 위치하고 있으며, 행성계의 모항성과 행성과의 투영된 거리는 $3.30^{+0.59}_{-0.83} \ {\rm au}$이다. 이를 고려해 봤을 때, 행성은 이 항성계의 snow line $(1.16 \ {\rm au})$ 너머에서 공전하고 있음을 암시한다. 마지막으로, KMT-2019-BLG-0371 사건의 분석 결과이다. 이 사건은 행성과 항성의 질량비가 약 0.08 $(q\sim 0.08)$ 이고, 짧은 사건 지속 시간 $(t_{\rm E}\sim 7 \ {\rm days})$과 종합적으로 고려해 봤을 때, 이 렌즈계의 secondary object는 거대 행성일 가능성이 있다 (i.e., $M_{\rm p} < \ 13 \ M_{\rm Jup}$). 베이지안 분석법을 활용하여 렌즈계의 질량을 추정한 결과, $0.09^{+0.14}_{-0.05} \ M_{\odot}$의 질량을 갖는 렌즈와 $7.70^{+11.34}_{-3.90} \ M_{\rm Jup}$의 질량을 갖는 동반행성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발견했다. 또한, 렌즈계까지의 거리는 $7.01^{+1.05}_{-1.21} \ {\rm kpc}$이고, 렌즈계의 모항성과 행성과의 투영된 거리는 $0.70^{+0.14}_{-0.16} \ \rm{au}$임을 밝혔다. 이는 행성이 모항성으로부터 snow line$(0.24 \ {\rm au})$ 너머에 위치해 있음을 암시한다. 추가적으로, 베이지안 분석법을 통해 렌즈계의 물리량을 추정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요소들이 결과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연구를 수행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렌즈와 source 사이의 상대적인 고유운동(relative proper motion)이 $ \mid \mu_{\rm rel} \mid \ < 10 \ \rm{mas \ yr}^{-1}$인 범위 내에서, $\theta_{\rm E}$가 렌즈의 질량을 추정 하는데 있어 큰 역할을 수행하는 요소라는 것을 발견했다.

      • Protective Role of SIRT1 in Platelet Activating Factor Induced Atherosclerotic Progression

        김윤학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15

        Platelet-activating factor (PAF), 1-O-alkyl-2-acetyl-sn-glycero-3-phosphocholine, is a potent phospholipid mediator and has been reported to be localized in atherosclerotic plaque. However, its role in the progression of atherosclerosis remains unclear. In the present study, PAF enhances MMP-2 production in primary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VSMCs). Silent mating type information regulation 2 homolog 1 (SIRT1) is known as a key regulator in the protection of various vascular disorders, however, no direct evidences have been reported in the progression of atherosclerosis. Thus, considering the pivotal role of matrix metalloproteinase-2 (MMP-2) in plaque destabiliz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ole of SIRT1 on MMP-2 production in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VSMCs) induced by platelet activating factor. Results are as follows: 1. When rat aortic primary VSMCs were stimulated with PAF (1 nmol/l), the expressions of MMP-2 mRNA and protei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hese upregulations were markedly attenuated by inhibiting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s (ERKs) using molecular and pharmacological inhibitors. 2. ERK phosphorylation was markedly enhanced in PAF-stimulated VSMCs, and this was attenuated by WEB2086 (PAF receptor angagonist), demonstrating the specificity of PAF receptor (PAFR) in PAF-induced ERK phosphorylation 3. In immunofluorescence studies, β-arrestin2 in PAF-stimulated VSMCs colocalized with PAFR and phosphorylated ERK (P-ERK). 4. Coimmunoprecipitation results suggest that β-arrestin2-bound PAFRs existed as a complex with P-ERK. In addition, PAF-induced ERK phosphorylation and MMP-2 production were significantly attenuated by β-arrestin2 depletion. 5. In VSMCs stimulated with resveratrol, SIRT1 activator, PAFR was internalized and then its protein levels were diminished. It was attenuated in cells pretreated with proteasome or lysosome inhibitor. 6. The degradation of PAFR in SIRT1-stimulated cells was significantly attenuated by β-arrestin2 depletion. In cells treated with nicotinamide, SIRT1 deacetylase inhibitor, PAFR internalization by resveratrol or reSIRT1 was inhibited. 7. PAF-induced MMP-2 production in VSMCs and aorta was attenuated by resveratrol. In the aorta of SIRT1 transgenic mice, the PAF-induced MMP-2 expression was prominently attenuated compared to that in wild type mice. Taken together, it was suggested that SIRT1 down-regulated PAFR in VSMCs via β-arrestin2-mediated internalization and degradation, leading to an inhibition of PAF-induced MMP-2 prod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