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istribution of Aquaporins (Water Channels) in the Rat Salivary Glands

        정지연(Ji-Yeon Jung),한창룡(Chang-Ryoung Han),정연진(Yeon-Jin Jeong),오원만(Won-Mann Oh),김미원(Mi-Won Kim1),김선헌(Sun-Hun Kim),김옥준(Ok-Joon Kim),김현진(Huyn-Jin Kim),고정태(Jeong-Tae Koh),최홍란(Hong-Ran Choi),김원재(Won-Jae Kim) 대한해부학회 2002 Anatomy & Cell Biology Vol.35 No.3

        침샘은 하루 1.5 l의 침을 분비하며, 일반적으로 침샘에서 수분이동은 능동적 염분 이동에 따른 삼투현상에 의해 일어난다. 따라서 침샘에서 높은 수분투과성으로 인해 수분통로 단백인 aquaporin (AQP)들이 풍부하게 존재할 수 있다. 지금까지침샘에 4가지 형태의 AQP이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침샘에서 정확한 위치와 수분 이동에 대한 각 AQP들의 역할은 아직 확실치 않다. 본 연구는 300 g 정도의 흰쥐를 pentobarbital sodium (50 mg/kg, IP) 마취하에서 carbarchol (10 μg/kg)을 복강 내 투여한 후 AQP들의 역할과 분포를 면역조직화학방법으로 조사하였다. AQP1은 침샘의 미세혈관의 내피세포와 샘세포와 샘관 주위에 존재하는 근육상피세포에 존재하였다. AQP4는 침샘관의 마지막 부위인 배출관에 존재하였다. AQP5는 주로 장액세포의 바닥가쪽과 세포사이 분비소관을 포함한 세포꼭대기쪽막 에 존재하였으며 콜린성 분비 자극으로 세포꼭대기쪽막으로 이동되어 밀집되었다. AQP5는 모든 침샘의 사이관과 줄무늬 관에도 존재하였으며 점액세포는 약하게 존재하였다. AQP8은 AQP5처럼 장액세포의 바닥쪽막과 세포사이 분비소관을 포함한 세포꼭대기쪽막에 존재하였으며 콜린성 침분비 자극으로 세포꼭대기쪽막쪽으로 이동되어 밀집되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는 AQP5와 AQP8이 장액세포에서 일차 침 형성시 일어나는 수분이동의 주된 통로임을 시사하였다. The salivary glands produce 1.5 l of fluid per day. As in other organs, the general paradigm in the salivary glands is that water movement occurs secondary to osmotic driving forces created by active salt transport. Therefore, high water permeability in salivary glands is expected to need a variety of aquaporin (AQP), a water channel. Although four AQPs have been known to reside in salivary glands, the precise location and roles of AQPs have been not well examined. This study is aimed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AQPs in 3 major salivary glands and their changes after cholinergic stimulation using immunohistochemical study in Sprague Dawley rats weighing 300 g under pentobarbital sodium anesthesia. AQP1 was localized in the endothelial cells of all salivary capillary vessels and the myoepithelial cells. AQP4 was demonstrated in the epithelium of the excretory ductal cells of all salivary glands. AQP5 and 8 were abundantly present in the basolateral membrane and apical membranes of the serous acini including intercellular secretory canaliculi, whereas AQP5 was weakly present in mucous acini. In addition, AQP5 was found in the epithelium of the intercalated and striated ducts. Upon stimulation of carbachol (10 μg/kg, I.P). AQP5 and 8 tended to translocate from basolateral membrane to the apical membrane, appearing as clusters of do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QP5 and 8 are the candidate molecules responsible for the water movement in salivary acinar cells.

      • 임부(姙婦)의 Flack test에 관(關)하여

        김원재,남태현,김규수,채의업,Kim, Won-Jae,Nam, Tae-Hyun,Kim, Kyu-Soo,Chae, E-Up 대한생리학회 1976 대한생리학회지 Vol.10 No.1

        The change of heart rates during Flack Test was observed in the pregnant women, $24{\sim}48$weeks, of gestational age, to analyze mechanical and neural regulatory factors in responses to the positive lung inflation.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ings: 1) Endurance tine of Flack Test was 37.6 sec, in the nonpregnant women, and 25.1 sec. in the pregnant women. 2) When Flack Test was employed, heart rate was decreased in early stage of Flack Test in the pregnant women, while heart rate was increased in the nonpregnant women. 3) In the pregnant women bradycardia due to abdominal mechanical intervention in early stage of Flack Test was prominent, while tachycardia was found in the nonpregnant women. 4) During Flack Test, tachycardia due to sympathetic central reflex activation was observed immediately after bradycardia in early stage of Flack Test. 5) It may be noted that Flack Test employed in the present study is a useful model to evaluate and analyze the neural and mechanical abdominal intervention factor in response to the positive inflation of lung in pregnant women.

      • KCI등재

        ANN에 기반한 3상 PWM 컨버터의 다중 스위치 개방고장 진단 방법

        김원재(Won-Jae Kim),김상훈(Sang-Hoon Kim) 대한전기학회 2021 전기학회논문지 Vol.70 No.5

        For single and double open-switch faults in three-phase PWM (Pulse Width Modulation) converters, there are 21 types of fault modes depending on faulty switches, causing secondary faults in peripherals. In this paper, for diagnosing those fault modes, two-step technique based on ANNs using dc and THDs (Total Harmonics Distortions) of phase currents is proposed. Those dc and THDs are obtained through an ADALINE (Adaptive Linear Neuron) in real-time. In the first step, the ANN categorizes fault modes into six sectors in the three-phase plane. In the second step, the ANN localizes fault modes in each sector. Especially, the fault modes of both switches in the same legs are localized by comparing the number of the sampled zero current of the fault currents. The proposed method allows a real-time diagnosis with a simple and an high accuracy for the multiple open-switch faults and operates online. Simulations and experiments for a 3.7kW three-phase PWM converter confirmed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diagnostic method.

      • 초고령사회의 사회운용 패러다임의 전환에 대한 연구

        김원재(won jae Kim),유동민(dong min Yoo) 한국공공정책학회 2022 공공정책연구 Vol.28 No.1

        본 우리나라의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행되어 전국 시군구의 40%(통계청)는 이미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엔 기준은 전체 인구 대비 65세 이상 인구가 포함하는 비율이 7%, 14%, 20%일 때 고령화사회, 고령사회, 초고령사회로 분류한다. 현재의 추세대로 통계청 전망(2020~2070년 장래인구 추계)에 따르자면 2025년에는 우리나라 전체가 초고령사회에 진입한다. 이렇듯 고령화는 사회 전반에 커다란 파급효과를 가져오는 현상으로서 사회 운용 패러다임의 대전환을 요구한다. 우리나라의 인구 고령화가 세계의 다른 나라들과 같이 100여년에 걸쳐 서서히 진행된다면 사회는 변화하는 인구구조에 맞춰 서서히 적응하고 변모할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고령화속도는 그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빠르다. 한국은 OECD 회원국 중 노인 빈곤율 1위, 노인자살률 1위를 기록하고 있다. 노인의 삶의 질은 OECD평균에도 미치지 못한다. 이러한 현상들은 인구고령화라는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에 대비하지 못해 나타난 필연적 결과다. 일부 전문가들은 한국의 2050년 노인 인구 비율이 38%에 가까우며, 세계 최고령 국가가 될 전망이므로 앞으로 더 많은 문제가 등장할 것이라고 경고한다. 이는 어느 집단, 어느 정책, 특정인에 책임을 지울 수 없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총체적으로는 개인이나 집단(기업 등), 국가 모두가 머리를 맞대고 끊임없이 고민해야 할 화두이다. 현재 초고령사회를 살아가는 일본에서 힌트를 얻고, 선행연구자들이 공통적으로 주목하는 내용들을 모아 우선 순위를 매겨 보았다. 결론적으로 고령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고령자가 생산과 소비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인구의 고령화는 고객의 고령화이듯이 이를 토대로 고령친화산업의 기회로 인식하고 나아가서는 근본적인 사회시스템의 조정과 변화를 위하여 전 생애를 아우르는 교육시스템 체계의 정비와 1인가구의 증가에 따른 대안적 가족공동체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하겠다. As Korea's aging population progressed rapidly, 40% (Statistics Office) of cities, counties, and districts nationwide already entered a super-aged society. UN standards classify aging society, aging society, and super-aged society when the proportion of people aged 65 or older to the total population is 7%, 14%, and 20%. According to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s forecast (2020-2070 Future Population Estimation) according to the current trend, the entire country will enter a super-aged society by 2025. As such, aging requires a major shift in the paradigm of social management as a phenomenon that has a great ripple effect on society as a whole. If Korea's population aging progresses slowly over 100 years like other countries in the world, society will gradually adapt and change in line with the changing demographic structure. However, the pace of aging in Korea is unprecedentedly fast. Korea ranks first in the elderly poverty rate and the elderly suicide rate among OECD member countries.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falls short of the OECD average. These phenomena are inevitable results of failure to prepare for a new paradigm shift of population aging. Some experts warn that more problems will emerge in the future as Korea's elderly population is close to 38% in 2050 and is expected to become the world's oldest country. This is a well-known fact that no group, no policy, or specific person can be held accountable. Overall, it is a topic that individuals, groups (businesses, etc.), and countries should constantly think about. Hints were obtained from Japan, which currently lives in a super-aged society, and the contents that previous researchers commonly pay attention to were collected and prioritized. In conclusion, in order to solve the aging problem, the elderly must be the subject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Just as customers are aging,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n alternative family community due to the improvement of the education system system system and the increase of single-person households for fundamental social system adjustment and change.

      • KCI등재

        인공지능 미술창작에 대한 사회적 인식 연구 :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김원재(Kim, Won Jae),이진우(Lee, Jin Woo) 한국예술경영학회 2021 예술경영연구 Vol.- No.59

        본 연구는 인공지능 시대의 미술창작에 관한 사회적 인식 및 주요 담론을 분석하여, 인공지능 등장에 따른 예술계의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인공지능을 통한 창작원리와 한계를 개념적으로 이해하고, 예술사회학적 관점을 바탕으로 인공지능 미술창작을 사회적 맥락에서 해석했다. 본고는 인공지능 미술창작 관련 기사 472건을 주요 자료로 삼고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인공지능 미술창작의 주체에 대한 혼재된 관점이 언어 네트워크상에서 나타났다. 그러나 지식재산권의 인정을 표상하는 단어군집의 지배적 영향력을 미루어보아, 인공지능을 미술창작의 주체로서 간주하는 관점 중심으로 사회적인식이 형성됨을 포착하였다. 또한 해당 군집과 제도적 지원을 반영하는 군집의 밀접한 관계를 바탕으로 인공지능 미술에 대한 핵심 담론이 기술 발전과 법적 체제정비에 한정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매체로서의 인공지능의 규정및 장르로서의 인공지능 미술에 대한 정책적 담론 형성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ocial perceptions and discourses about creating arts i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with making an implication of responding to the emerge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We conceptually understand the principles and limitations of creating visual art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whilst this paper addresses ai art in the social context by borrowing the theoretical lens from the sociology of arts. This article considers 472 newspapers about artificial intelligence art as the main data, which are interpreted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The analysis of this research shows that it is a controversial issue regarding who/which creates the artworks between humans and computers. However, judging from the dominant influence of a group of words representing the recogni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we have detected that social awareness is formed around the perspective of considering artificial intelligence creates visual arts rather than artists. In addition, based on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cluster and the cluster reflecting institutional support, we confirm that the discourse about artificial intelligence art is limited to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legal system maintenance. Thus,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defining artificial intelligence as the medium of art and constructing policy discourses on artificial intelligence art as an artistic gen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