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헌법상 재산권보장조항의 공법적 쟁점 및 개헌방향

        김용섭(Kim, Yong-Sup) 한양법학회 2018 漢陽法學 Vol.29 No.1

        This paper tries to seek legal issues and revision directions of the constitutional provisions on the protection of property rights. The economic freedom of individuals and corporations secured through constitutional freedom of contract, private autonomy, protection of private property, etc. is an indispensable condition of democracy, and in particular, property rights form the basis of socio-economic activities. This paper does not understand the constitutional property rights as relative fundamental rights but considers them as supernational natural rights. The Korean constitutional academy tends to commonly accept that the provisions of Paragraph 1 of Article 23 of the Constitution declaring protection of property rights finally recognizes property rights as personal rights at the highest normative level of the Constitution, and it does not mean recognition of supernational or natural rights but embodiment of personal rights in the actual law named the Constitution. However, property is as important as freedom because it is a prerequisite for realizing other fundamental rights. Therefore, this paper does not understand property rights as the actual rights that can be restricted by the state, but consider property rights from the viewpoint of the natural rights given to human beings even before foundation of the state. The protection of property rights includes the protection of value and the guarantee of sustainability, but it cannot adhere to the guarantee of sustainability in need of the public interest, but needs to be expanded even to the protection of value for compensation of loss. The recognition of the Constitution as a union of loss compensation is due to the failure in recogniz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German and the Korean Constitutional norms. In addition, in connection with discussions on amendment of the provisions for constitutional property rights, this paper also reexamines the property rights as the natural rights in order to prevent the harms caused by excessive intervention of the state power in the economic areas under the imperial presidential system. Korea has undergone rapid domestic and international changes since 1987. Faced with today`s multifaceted social environments, Korea is also requested to revise its Constitution, the highest standard of community. Such amendment of the Constitution needs to advance towards the unification of social realities and norms overcoming the partisan interests in order to develop a new Korean society in the 21st century by realizing the integration of both industrialization and democratization forces and establishing new rules in the fields of fundamental rights.

      • KCI우수등재
      • KCI등재후보

        조정제도의 혁신을 위한 법정책적 과제

        김용섭(Yong-Sup KIM) 한국행정법학회 2023 행정법학 Vol.24 No.1

        탄력적이며 유연한 ADR(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로 평가받는 조정(Mediation)은 날이 갈수록 더욱 더 각광받는 분쟁해결의 핵심적 수단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그 이유는 그동안 대표적인 ADR이 중재로 인식되어 있었으나 중재는 판결에 근접하게 되어 절차가 복잡하며 시간과 비용의 이점이 줄어들고 있는데 기인한다. 우선 싱가포르조정협약의 국내이행을 위하여 입법조치를 취할 경우에 기존의 법률을 개정하여 대처하는 방법과 새로운 법률을 제정하여 대처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싱가포르조정협약을 비준하여 체약국이 되는 시점에 새로운 법률의 시행일을 일치시키는 것이 규율의 공백을 없앨 수 있다. 이러한 입법적 대응과 관련하여 기존의 법률을 개정하는 것보다 새로운 법률을 제정하여 대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싱가포르조정협약의 이행과 관련하여 국제상사조정에 한정하여 규율하는 방식보다는 국내조정과 국제조정을 아우르는 조정기본법이나 민간조정활성화를 위한 법률을 제정하여 싱가포르조정협약의 이행에 관한 법제를 정비하는 것이 합리적 법정책적 방향이라고 할 것이다. 행정형 조정제도의 경우에는 개별법률에 따라 부처별로 약 70여개의 분쟁조정위원회가 가동 중에 있다. 행정형 조정의 경우 사무국을 두지 않는 분쟁조정위원회도 있지만, 분쟁조정위원회에 사무국을 두어 조사관이나 심사관 등을 통한 사실조사를 한 후 조정부에 안건을 상정하는 등 다양한 규율을 하고 있다. 행정형 조정의 효력이 합리적 기준없이 재판상 화해 또는 민사상 합의로 통일성 없이 규율되고 있는 것이 문제이다. 당사자의 조정 참여를 의무화 하여 위반시에 과태료를 부과하는 경우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조정위원의 결격사유, 조정위원의 제척·기피 또는 회피에 관한 규정도 개별법에 따라 통일적이지 않다. 행정조정기본법을 제정하여 행정형 조정절차의 기본적 사항의 통일적 규율이 필요하다. ADR의 2대 지주는 조정과 중재이다. 그리고 사적자치는 조정과 중재의 기초이다. 조정제도의 혁신 과제의 하나는 조정과 중재의 결합을 통한 효과적인 분쟁해결이라고 할 수 있다. 양자를 별개로 운영하기도 하지만 결합하는 혼합적hybrid) 방식을 선택하는 것에 있어서도 사적자치가 적용되는 것이다. 그런데 효율적 분쟁해결을 위해 같은 분쟁사안에서 조정인과 중재인을 동일인으로 선택할 수 있는가의 문제가 핵심적 쟁점이다. 조정제도는 ADR 시스템안에서 혼합방식에 의한 조정과 중재의 연계제도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독일 등 대륙법계 국가의 경우에는 사적자치의 관점에서 당사자가 동의하게 될 경우에 조정인과 중재인을 겸할 수 있는 것에 대하여 특별히 문제가 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사적자치의 원칙에 따라 조정과 중재는 완전히 독립한 제도로만 운영될 것은 아니고 혼합적(hybrid) 방식이 가능하다. 조정제도의 근본적 개혁인 혁신(Innovation)의 방향은 싱가포르조정협약의 비준과 동 협약 이행을 위한 국내법 정비를 계기로, 조정인 자격과 양성 및 교육제도의 법적인 틀을 마련하는 등 새로운 물결로 다가오는 조정의 시대에 국가가 선제적으로 입법작업에 나서는 것이다. Mediation, a flexible method of ADR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is increasingly being recognized as an essential means in resolving various disputes.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arbitration, which is thought to be the leading form of ADR has lost much of its initial advantages in time and cost, since it’s procedure has become rather complex, something more akin to litigation. First, legislative measures for the domestic implementation of the Singapore Mediation Convention include amending existing laws and enacting new laws. Synchronizing the enforcement date of the new law with the timing of ratifying the Singapore Mediation Convention is not enough to prevent a gap in regulation from arising. In this regard, it is preferable to enact new laws rather than amending existing laws. Moreover, it would be a more rational approach to enact a framework act on mediation or an act specifically designed to facilitate civil mediation, as opposed to limiting ourselves only to regulating international commercial mediation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Singapore Mediation Convention. As for administrative mediation, currently there are about 70 Dispute Mediation Committees in various government and administrative agencies based on individual laws. Although there are Dispute Mediation Committees that do not have a secretariat, many have secretariats that conduct factual investigations, after which the agenda is presented to the Mediation Committee or a Mediation Division. The legal effect of administrative mediation is also problematic. Some mediation agreements have the same legal effect as settlement in court, while others are similar to civil settlement. At some Dispute Mediation Committees the parties are obliged to participate in mediation and fines are imposed in case of violation, while at other Committees, no such obligation is recognized. Uniformity or consistency are also lacking in respect of grounds for disqualification, and rules on exclusion, challenge, and avoidance. A framework act on administrative mediation should be enacted so as to uniformly regulate the basic elements of the mediation procedure. Arbitration and mediation are the two main forms of ADR. And for both, private autonomy is the essential foundation. A Task of innovating mediation is pursuing the effective resolution of disputes by way of combining arbitration and mediation. Although the two forms can be practiced separately, there are hybrid forms that combine the two, and here private autonomy remains critical. Our mediation system should allow for connecting mediation and arbitration and create a hybrid form. In civil law countries such as Germany, given the consent of the parties, there is no problem, from the standpoint of private autonomy, in recognizing the same person as a mediator and an arbitrator. Mediation and arbitration do not have to be kept separate. Not only is a hybrid form possible, it is desirable, and should be actively pursued. Ratifying the Singapore Convention on Mediation and introducing legislation on its domestic implementation should, in the advent of the Era of Mediation, serve as an opportunity for fundamentally reforming and innovating mediation by proactively preparing the legal framework for training and educating mediators, and enhancing their competencies.

      • KCI등재

        개별법상 이의신청제도의 현황분석과 입법적 개선과제

        김용섭(Kim Yong-Sup) 행정법이론실무학회 2015 행정법연구 Vol.- No.42

        개별 법률에서 이의신청, 심사청구, 재심사청구, 심판청구 등 넓은 의미의 이의신청제도를 두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의신청제도는 법적 규율면에서 체계성이 없고 일반 행정심판과의 관계가 명확하지 아니하여 국민은 권익이 침해되고도 어느 절차를 거쳐야 하는 것인지 일반 국민은 용이하게 알 수 없다. 가령 대법원 2012. 11. 15. 선고 2010두8676판결에서 판시한 바와 같이, 민원사무처리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 민원 이의신청의 대상인 거부처분에 대하여 이의신청을 거친 경우라고 할지라도 제소기간은 이의신청 결과통지를 받은 날부터 기산하지 아니하므로 당사자가 이의신청제도를 활용하려다가 행정심판이나 행정소송의 제기기간이 도과되어 보다 정식의 권리구제를 못 받는 불이익이 초래되기도 한다. 본고에서는 개별법상의 이의신청제도에 대한 현황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여 바람직한 입법적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이의신청제도는 기본적으로 2가지 유형으로 구분이 가능하다. 제1유형은 특별행정심판 내지 행정심판의 절차의 특례인 경우이고 제2유형은 간이한 불복절차가 바로 그것이다. 양자의 구분에 있어서 개별법의 규정이 매우 중요하며 입법에 의하여 특별행정심판이나 간이한 불복절차로 쉽게 판명이 되는 경우에는 큰 문제가 없다. 법률의 규정을 통하여 명확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어느 유형에 속하는지 구별의 판단척도를 기존의 이론과 판례의 고찰을 통하여 모색하고자 시도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제3의 새로운 유형이라고 할 수 있는 행정절차의 특례 유형에 대하여도 고찰하였다. 아울러 개별법상 이의신청제도의 문제점과 입법적 개선과제를 검토하면서 이의신청 등의 기간과 권리구제, 특별행정심판제도에 대한 개선과제 및 이의신청 등과 행정심판의 관계정립의 방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특히 이의신청에 대한 총칙적 규율이 결여되어 있으므로 행정심판법에 이의신청과 행정심판의 관계에 관한 기본적 규율을 마련하여 입법적으로 대처할 필요가 있다. Individual law provides for appeal system in a broad sense such as complaint, examination request, re-examination request, adjudication request, etc. However, as such appeal system is not systematic in terms of legal rules and its relation to general administrative trial is not clear, ordinary people can not easily know what procedures they have to take against infringement on their rights. Let’s take the Supreme Court’s decision dated November 15, 2012 for the case No. 2010-DU-8676 for example. The Civil Petitions Treatment Act provides for that, even though there was an appeal for refusal disposition, the deadline for filing a petition for refusal disposition shall not be counted from the date when the decision for the appeal was given but from the date when the refusal disposition was notified. Use of the legal appeal system may often result in passage of the deadline for filing of administrative trial or litigation and complainant’s failure in remedy for infringement on rights. This paper empiricall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the appeal system under individual laws and derived problems to seek methods of desirable legislative improvement. The appeal system can be basically divided into two types. The first type is a special case to the special administrative appeal or administrative trial procedure, and the second type is just a simple appeal procedure. The provisions of individual laws are very important to distinguish between them, and there is no big problem if a special administrative appeal and a simple appeal procedure are easily distinguished by legislation. If legal rules are not clear and specific, however, this paper tried to identify the type through studies of existing theories and precedents. In this connection, this paper also studied a special case to administrative procedures which can be called the third new type. Besides, this paper also reviewed problems of the appeal system under individual law and legislative tasks for improvement, and also studied appeal period, rights remedies, tasks for improvement of special administrative Appeals system, establishment of relation between appeal and administrative trial, etc. In particular, this paper concluded that, as general provisions governing the appeal system are insufficient, it is required to take legislative actions such providing for the basic rule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tition and the administrative appeal in the Administrative Appeals Act.

      • KCI등재후보

        법학전문대학원에서의 법학교육과 법조양성시스템 중간점검

        김용섭(Kim Yong Sup) 한국법학원 2010 저스티스 Vol.- No.120

        새로운 법조양성시스템인 법학전문대학원 (이하 “로스쿨” 이라 한다) 을 운영해 나가면서 지금까지 나타난 제도 운영상의 문제점과 미비점을 얼마나 잘 보완하여 나가느냐 여하에 따라 로스쿨의 성패가 달려있다. 일견 로스쿨이 정상적으로 가동되고 있으나, 법학교육과 법조양성을 결합한 형태의 새로운 한국형 로스쿨이 순조롭게 정착할 것인지 중대한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로스쿨의 입학단계에 있어 정원의 증원은 졸업생들의 진출상황을 고려하는 등 제반 여건을 감안하여 신중히 접근할 필요가 있으며, 자칫 입학정원을 늘렸다가는 합격률의 저하 등 로스쿨의 정상화에 역행할 수 있다. 아울러 입학단계의 법학지식을 묻지 못하도록 되어 있는 로스쿨법 제23조 단서의 규정은 독소조항으로 이를 삭제하여, 개별 로스쿨이 자율적으로 기본적인 법학지식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대화형 수업 등 로스쿨의 교육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 아울러 로스쿨 교육의 목표가 구체화될 필요가 있으며, 로스쿨 교육과 사법시험과의 연계성이 제대로 확보될 필요가 있다. 법조윤리의 시험은 일회적인 객관식 시험으로 그칠 것이 아니라 구술시험형태로 변경될 필요가 있다. 또한 변호사시험에 있어서 향후 변호사의 능력은 서면작성 능력 못지 않게 구두변론능력이 중요하기 때문에 구술시험의 도입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변호사시험의 성적은 개인이 정보공개를 요청할 경우에는 이를 공개하는 것이 로스쿨 교육의 수월성 확보에 도움이 된다고 할 것이다. 한편 변호사시험 합격후 변호사 수습제도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지는 로스쿨의 교육만으로 완성적 법조인을 만들어 낼 것인가의 문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제대로 된 법률가의 양성을 위하여 리걸클리닉이 활성화되거나 대학부설 로펌의 설치를 허용함과 아울러 실무가 출신교수에게 제한적 범위에서 변호사활동을 허용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필요가 있으며, 21세기의 문제해결 능력을 갖춘 양질의 법률가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3년간의 로스쿨의 교육과 변호사시험만으로는 부족하고 변호사시험을 합격한 후에 6개월에서 1년 미만의 변호사 실무수습제도를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있다. Success or failure of school of law depends on how well make up for the problems and loop holes in system and operation found in managing the new lawyers training system. School of law is normally operated at the first glance, but it faces a great challenge in the aspect whether the new Korean style law school combining the two functions of law education and lawyers training succeeds to be firmly established. Entrance quota increase of law school is required to be carefully reviewed in consideration of various circumstances including graduates' advance to legal circles. Entrance quota increase is apt to go against the efforts to normalize law school resulting in fall of eligibility ratio. In addition, the provisory clause of Article 23 of the Act on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Law School providing for that law school shall not conduct a test gauging legal knowledge to use the scores therefrom as admissions materials is a poison clause and shall be deleted so that individual law schools can voluntarily gauge basic legal knowledge to promote active education and training including conversational lessons. Furthermore, the goals of law school education are required to be embodied, and also law school education and the bar examination are required to be properly connected. Legal morals shall not be gauged through an one-time objective test but shall be tested through an oral examination. In addition, the matter of including an oral test in the examination for the bar is required to be positively reviewed, as the ability of oral pleading is no less important than the ability of document preparation for any lawyer. And, it will also be helpful for securing easiness of education in law school to open the result of the examination for the bar at request from the concerned individual. Meanwhile, the matter whether it is desirable to put a probation system for the new lawyers passing the examination for the bar is closely related to the matter whether a lawyer can be completed only with the education and training in law school. To train a proper lawyer, it is needed to activate the legal clinic system, allow establishment of law firms attached to school of law, and allow practitioner professors to act as a lawyer to a restricted extent. In conclusion, in order to train excellent lawyers capable of shooting various problems in the 21st century, the 3 years law school education and the examination for the bar are not sufficient, and a separate probation system of more than 6 months and less than 1 year for the new lawyers passing the examination for the bar is required to be established.

      • KCI등재후보

        行政法上 紛爭解決手段으로서의 調停

        金容燮(Kim Yong-Sup) 한국법학원 2004 저스티스 Vol.- No.81

        오늘날 각종 이해집단간의 대립과 갈등이 확산ㆍ증폭되고 있다. 갈등과 분쟁해결을 협상이나 재판을 통하여 해결하지만, 양자의 중간영역에 속하는 조정을 통하여 해결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조정은 당사자간의 분쟁에 개입하되, 결정권능이 없는 중립적 조정인이 조정안을 작성하는 등 협상을 원활하게 도와주는 분쟁해결수단이다. 이와같이 법원의 판결이외의 분쟁해결 수단이라고 할 수 있는 ADR(재판외 분쟁해결)은 법관 이외에 변호사 등 민간전문가가 참여한다는 의미에서 국민참여적 분쟁해결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행정법상 조정은 행정쟁송안에서 또는 행정쟁송밖에서 중립적 제3자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분쟁해결 수단으로 파악하고, 행정절차에 있어서의 조정, 행정부가 제공하는 각종 분쟁조정위원회를 통한 조정, 행정심판과 행정소송에 있어서의 조정으로 나누어 고찰할 수 있다. 행정절차에 있어서의 조정은 행정청이 내리는 결정의 전단계로서 조정인이 등장하여 갈등을 완화하고 행정결정을 용이하게 하는 분쟁예방적 메카니즘이고, 각종 행정분쟁조정위원회를 통한 조정은 주로 민사상의 문제에 대한 재판외 분쟁 해결장치로서 법원이 아닌 행정부에 의하여 조정이 이루어진다는 점이 특징이다. 행정심판이나 행정소송에 있어서의 조정은 현재 조정에 관한 입법화가 되어 있지 않아 사실상 조정의 형태로 이루어 지고 있다. 향후 행정절차법에 집단분쟁이라든가 신속한 분쟁해결을 위한 조정시스템을 강구할 필요가 있고, 아울러 개별법률마다 분쟁조정위원회가 통일성을 결여한 채 제각각인데다가 체계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이를 통폐합하거나 ADR 기본법 내지 행정분쟁조정위원회에 관한 통일적인 입법모델을 만들 필요가 있다. 아울러 분쟁조정위원회의 조정의 효력도 가능하면 사법상의 효력만 인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정한 조건을 충족한 예외적인 경우에 한하여 재판상 화해와 동일한 효력을 인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재 행정심판과 행정소송에서 법적근거가 없이 사실상 조정의 형식으로 사건해결이 상당수 이루어지고 있다. 사실상 조정제도가 탄력성있는 해결을 도모하는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도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한계가 있으며, 조정제도의 본래적 모습에 충실하게 전문적 조정인 등에 의한 분쟁해결 방향으로 나아되, 지금까지의 실험적 운영을 토대로 행정심판법과 행정소송법을 각각 개정하여 조정에 관한 사항을 입법화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향후 법과대학이나 사법연수원 앞으로 설립예정인 로스쿨 등에서 ADR에 대한 심도있는 교육프로그램을 만들어 조정능력을 갖춘 법률가를 양성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법학전문대학원에서의 송무교육과 법이론교육

        김용섭(Kim Yong-Sup) 한국법학원 2007 저스티스 Vol.- No.99

        2007. 7. 3. 법학전문대학원 설치·운영에 관한 법률이 국회본회의에서 통과됨에 따라 전문대학원 형태의 로스쿨이 2009. 3. 1 출범하게 되었다. 지금까지 로스쿨의 논의에 있어 시설기준이나 로스쿨의 수와 총입학정원 등에 대하여는 논의가 활발하였으나, 로스쿨에서의 교육내용과 교육방식에 관한 논의는 깊이 연구되지 못하였다. 로스쿨에서의 커리큘럼은 어떻게 하고, 구체적인 교수방법은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하여 본격적인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다. 로스쿨에서 송무교육과 법이론교육의 문제는 로스쿨의 교육목표를 어디에 둘 것인지 그리고 실무교육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지의 문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만약에 로스쿨을 법조양성기관 내지 변호사 양성기관으로서의 성격에 한정한다면, 이론교육보다 실무교육 중 송무교육의 중요성이 커지는 반면에 전통적인 법조직역을 넘어선 법률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기관적 성격이 강조되면, 보다 폭넓은 범위의 실무교육과 이론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로스쿨에서는 무엇보다 전통적인 직역의 인재배출 뿐만 아니라 포괄적인 법률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실무교육도 다양한 직역으로의 진출을 위한 제반 실무적 처리역량을 배양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로스쿨에서의 실무교육이란 일반적으로 판사, 검사, 변호사의 실제적 업무처리에 관한 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넓은 의미의 실무교육은 소송업무라고 하는 송무교육의 의미를 넘어서서 기업에 대한 법률자문을 위한 의견서 작성, 계약서 작성, 입법기술 등 제반 법률가가 실무적 처리에 도움이 되는 내용의 교육도 포함할 수 있다. 로스쿨도 기본적으로 대학원에서의 교육이므로 법이론 내지 법원칙을 교육하는 곳임에 틀림없다. 특히 사례중심으로 이론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로스쿨은 법학교육기관임과 동시에 법률가 양성기관의 성격을 갖고 있으므로 이론과 실무의 겸비가 로스쿨의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이 될 수 있다. 로스쿨에서의 교육은 양방향의 교육이 되어 로스쿨 학생들의 기대와 요구수준을 충족하는 내용의 교육이 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양질의 법조인에 의한 사법서비스를 기대하는 국민의 기대수준을 충족할 수 있어야 한다. 로스쿨의 성공여부는 누가 누구를 상대로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달려있다. This article is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the practice education and the law theory education in law school. As Law school act was passed by the national Assembly on July 3, 2007, Law school of graduate school will be launched on March 1, 2009. Facilities standard and entrance quota of law school are actively discussed until now, however,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in law school were not deeply discussed and researched. The real research and effort is necessary how to do about a curriculum and a teaching method in law school. The problem of lawsuit education and law theory education was closely concerned with educational objectives and practical education in law school. Practical education in law school can be generally an education for treatment about cases as a judge, a public prosecutor and an attorney at law. However, practical education in a broad definition can be contained legal inquiry of corporate, drawing up a contract and legislative skill, including the above mentioned practical education in a common meaning. Because law school system has the characteristic both the law educational institution and agency for training of a lawyer simultaneously, I think, that fusion and combination between a theory and practice can be a desirable direction of education in law school.

      • KCI등재후보

        行政訴訟 前段階의 權利救濟方法 및 節次

        김용섭(KIM Yong-Sup) 한국법학원 2008 저스티스 Vol.- No.105

        오늘날 현대적 법치국가에 있어서 행정권에 의하여 국민의 권익이 침해되었을 경우에 법원에 행정소송을 제기하여 권익을 구제받는 것이 일반적이고 가장 전형적인 방법이 된다. 그러나 법원을 통한 권리구제는 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비용이 많이 든다. 따라서 행정소송전단계의 권리구제가 유용하고 대안적이다. 행정소송전단계의 권리구제방법은 2가지 범주로 분류가 가능하다. 먼저 전형적인 절차법적 권리구제 방법으로는 행정심판과 행정절차를 들 수 있다. 다음으로 정책적 판단을 고려하는 비전형적인 보충적 권리구제방법으로는 고충민원처리, 청원, 진정, 직권취소, ADR를 들 수 있다. 행정소송 전단계의 권리구제 중 행정심판과 행정절차 및 ADR이 권리구제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고 있다. 한편, 고충민원처리와 청원도 보충적인 권리구제로서 기능하고 있으나, 실효적인 권리구제라고 보기 어렵다. 진정은 그 자체로서 권리구제로서의 의미가 크지 않고, 아울러 직권취소도 부담적 행정행위에 있어서만 권리구제적 기능을 수행하나, 실제로 그 예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오늘날 ADR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행정형 ADR의 일종인 환경분쟁조정제도는 그 활용도가 높다. 최근에 새로 출범한 국민권익위원회가 기구통합을 넘어 업무의 통합을 이루어냄으로써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고, 국민으로부터 신뢰받는 국민권익구제기관으로 새롭게 발전해 나가길 기대한다. 끝으로 향후 ADR을 통한 분쟁해결이 향후 행정소송전단계의 권리구제방법의 중심적 역할을 하게 되리라고 본다. Administrative litigation is the most typical legal avenue employed by citizens in a modern constitutional state who feel that their rights have been infringed. Various Remedies prior to administrative litigation is deemed useful and necessary in order to avoid costly and lengthy processes through the judicial court system. Here, I present two alternative remedies prior to administrative litigation. The first is administrative appeal and administrative procedure, as a typical procedual remedy, while the second involves the system of the ombudsman, petition, representation, revocation by authority and ADR, as atypical supplementary remedy. Administrative appeal, administrative procedure and ADR were relatively successful as alternatives prior to administrative litigation. However, the system of the ombudsman and petition as a grievance settlement will not be an effective permanent solution, while representation and revocation by authorities also do not provide all the answers. The Anti-corruption and Civil Right Commission Act has been newly enforced in Korea. Therefore, it is logical and necessary to employ a synergic position which advocates integration and collaboration of the Anti-corruption and Citizen Right Commissions. This move will provide a relief agency which effectively performs as an ombudsman. Finally, it is my belief that ADR will play a central role in remedies prior to administrative litigation.

      • KCI등재

        바둑문화의 진흥을 위한 특별법 제정의 필요성과 입법방향

        김용섭(Yong-Sup Kim) 행정법이론실무학회 2008 행정법연구 Vol.- No.22

        바둑에 관하여는 정부당국의 지원없이 재단법인 한국기원을 중심으로 프로 바둑이 발전되어 왔는데, 최근 프로기사의 수의 급증에 따는 재정적 부담이 가중되고 있고, 프로기사의 병역문제와 세계화의 필요성이 문제가 된다. 현재까지 정부는 바둑문화진흥에 소극적 방관자적 입장을 취하고 있다. 바둑의 긍정적 기능에 비추어 바둑문화의 진흥을 위하여 법제도를 마련하는 것이 국가적인 과제이다. 현행 문화예술진흥법이나 문화산업진흥기본법에도 바둑에 관한 규율을 하고 있지 않고 있으며, 아울러 국민체육진흥법이나 스포츠산업진흥법에서도 바둑을 스포츠로 분류하고 있지 않아 법률적인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바둑에 관하여는 태권도와 유사하므로, 태권도진흥법의 모델을 따를 필요가 있다. 입법의 방향은 문화예술진흥법에 편입하는 방법, 스포츠법제에 편입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으나, 바둑문화의 진흥을 위한 특별법을 제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입법의 방향이다. 바둑문화의 진흥을 위한 특별법에서는 정부의 진흥계획수립의무화, 바둑문화의 세계화와 해외진출필요성, 바둑관련 공연자격증, 한국기원의 특수법인화, 정부의 지원과 국공유재산의 대부와 사용에 관한 사항을 규정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가 프로바둑의 세계강국으로 지위를 계속유지하고 세계화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는 바둑문화진흥을 위한 특별법을 제정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In Korea, professional Baduk (Korean chess) has grown around the foundation named Korea Baduk Association without support of the government authorities. In the meantime, in parallel with a recent sharp rise of professional Baduk players, the foundation is faced with many challenges such as growth of financial difficulties, military service of professional Baduk players, globalization of Baduk, etc.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Korean government is still assuming the passive looker-on attitude in the matter of promoting the Baduk culture. In the light of the positive function of Baduk, legislation for promoting the Baduk culture is considered a national task. At present, Baduk is in a legal dead zone, as the existing Culture & Arts Promotion Act or Cultural Industry Promotion Basic Act does not have any provision for Baduk, and also the existing National Sports Promotion Act or Sports Industry Promotion Act does not classify Baduk as a sport. For promotion of the Baduk culture. it is required to refer to the legislation model of Taekwondo Promotion Act, as both of them resemble. In the course of legislation, Baduk may be included in the existing Culture & Arts Promotion Act or a sports related law. However, it is more desirable to legislate a separate special law for promoting the Baduk culture. Such a separate special law for promoting the Baduk culture needs to provide for the government authorities' obligations to set up promotion plans, necessity of globalizing and spreading abroad the Baduk culture, issuance of certified licenses for professional Baduk players, making the Korea Baduk Association into a specially legalized institute, supports of the government authorities, lease and use of government or public owned properties, etc. In conclusion, this paper strongly emphasizes that legislation of a special law for promoting the Baduk culture is absolutely required for the Republic of Korea to keep the position of world No. I professional Baduk country and achieve the goal of promoting the Baduk culture worldwi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