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리적 가중 회귀분석을 이용한 지역별 치매 유병률 위험 요인에 관한 연구

        김예은(Yea-Eun Kim),박종호(Jong-Ho Park)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11

        본 연구는 지리적 가중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치매 유병률의 지역 단위 수준의 예방 가능한 위험 요인을 규명하고, 이를 통해 지역별 맞춤형 치매 예방 및 관리 사업을 시행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9년 기준 229개 시군구별 치매 유병률 자료 및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수집하였다. 치매 유병률의 지역 간 연관성, 치매 유병률이 높은 군집 지역, 지역 단위 수준의 예방 가능한 치매 유병률의 위험 요인 규명 등을 위해 공간적 자기상관 분석, 핫스팟 분석, 지리적 가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공간적 자기상관 분석, 핫스팟 분석 결과 치매 유병률은 지역 간 연관성이 있었으며,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의 시군 지역이 치매 유병률의 핫스팟 지역으로 나타났다. 지리적 가중 회귀분석 결과 걷기 실천율, 저염선호율, 고혈압 유병률, 비만 유병률이 지역 단위 수준의 예방 가능한 치매 유병률의 위험 요인으로 나타났다. 치매 유병률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치매 유병률의 핫스팟 지역을 중심으로 위험 요인의 지역 간 협업된 관리가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of dementia at the regional level and suggest a region-tailored intervention strategy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dementia. Our data were obtained from two main sources: the National Institute of Dementia and the Community Health Survey 2019. To analyze the risk factors of dementia for 229 regions at the city-district-country level, spatial autocorrelation analysis, hot spot analysis and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GWR)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spatial autocorrelation analysis and hot spot analysis revealed the regional correlation in the prevalence of dementia, and Chungnam, Jeonbuk, Jeonnam, Gyeongbuk and Gyeongnam provinces appeared as the hot spots of dementia. From GWR analysis, walking practice, low-sodium diet preference, hypertension and obesity were identified as the risk factors of dementia at the regional level. Our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regional risk factors of dementia and suggest cross-regional collaborative efforts, especially focusing on hot spots of dementia prevalence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dementia.

      • KCI등재

        우리나라 시군구의 고위험 음주율 시공간분포 특성 분석

        김예은 ( Kim Yea-eun ),박종호 ( Park Jong-ho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1 保健社會硏究 Vol.41 No.3

        본 연구는 고위험 음주율의 시공간분포 특성 분석을 통해 고위험 음주율이 높은 지역을 찾아내고, 국가 및 지역사회 중심의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고위험 음주율 관리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2008~2020년까지 13년간의 질병관리청 시군구별 고위험 음주율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ArcGIS pro 2.6.0의 공간자기상관성분석(spatial autocorrelation analysis), 발생 핫스팟 분석(emerging hotspot analysis), 포레스트 기반 시계열 예측 분석(Forest-based time series forecast analysis)을 이용하여 243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고위험 음주율의 시공간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공간자기상관성분석 결과 2008년부터 2020년까지 고위험 음주율의 시군구 단위 고위험 음주율은 매년 공간적·지역적으로 군집하고 있었으며, 발생 핫스팟 분석 결과 국가 차원의 고위험 음주율 관리가 가장 우선적으로 시행되어야 할 강화형 핫스팟, 영구형 핫스팟 지역은 강원도 횡성군, 영월군, 강릉시, 동해시, 삼척시, 평창군, 정선군으로 나타났다. 고위험 음주율 관리는 고위험 음주율이 높은 일개 시군구 차원의 관리가 아니라 고위험 음주율이 높게 군집하고 있는 지역들을 대상으로 국가 및 시도 차원의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고위험 음주율이 높게 군집하고 있는 시군구 간 고위험 음주율을 관리를 위한 거시적 전략 마련 및 업무 협력 등이 필요하다. An effective and efficient intervention to prevent high-risk drinking is required at the national and regional levels as high-risk drinking has become more prevalent and problematic in men and women of of all ages. This study examined the spatial and temporal patterns of high-risk drinking and suggested a community-based public health intervention strategy. We utilized the high-risk drinking rates from 2008 to 2020 for 243 regions in Korea using data from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o analyze the spatio-temporal patterns of high-risk drinking rates, spatial autocorrelation analysis of ArcGIS pro 2.6.0, emerging hotspot analysis, and Forest-based time series forecast analysis were performed. The spatial auto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he regional clusters of high-risk drinking rates for every year from 2008 to 2020. The specific regions where interventions may be required as their priority were identified by emerging hotspot analysis; intensifying hotspots and persistent hotspots included Hoengseong-gun, Yeongwol-gun, Gangneung-si, Donghae-si, Samcheok-si, Pyeongchang-gun, Jeongseon-gun in Gangwon-do. The result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regional clusters for the management of high-risk drinking. For better interventions on high-risk drinking, public health strategy and cooperation at both the national and local levels should be enhanced by concentrating limited manpower and resources.

      • 진로적응성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 학회지 논문을 중심으로(2006∼2017)

        김예은(Yea Eun Kim) 단국대학교 상담학연구소 2018 상담교육연구 Vol.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적응성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의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2006년부터 2017년까지 KCI등재되거나 KCI등재 후보지에 게재된 국내 학술지를 57편을 대상으로 연도,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방법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먼저, 진로적응성에 대한 연구는 2006년을 시작으로 처음 등장하였고, 2010년을 기점으로 점차 연구가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2016년에 가장 많이 연구되었다. 연구대상별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가장 많았고, 성인, 청소년,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뒤를 이었다. 연구주제별로는 진로관련 변인 연구가 35.09%로 가장 많았고, 성격 특성 및 적응, 프로그램개발, 취업 및 직무, 척도 개발 연구 순으로 많았다. 연구방법별로는, 분석대상 학술지 57편 모두 양적연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질적 연구를 사용한 연구는 찾을 수 없었다. 양적연구방법은 상관분석이 29.2%로 가장 많았고, 회귀분석, 변량분석 순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진로적응성과의 영향관계를 살펴본 관련 변인들로는 진로변인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는 진로적응성의 경향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대상의 확대, 연구방법의 다양화를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rends on career adaptability, and to provide implication for the future research. Methods: From 2006 to 2017, a total of 57 articles on career adaptability were analyzed by time, research object, research subject, and research method. Results: Studies on career adaptability emerged in 2006 for the first time. The number of articles on career adaptability has gradually increased since 2010, and reached the largest number in 2016. Among the research subjects, the undergraduate students are the majority followed by adults, adolescent, and graduate students. In terms of research subjects articles on career variable were 35.09%, followed by the features of character and adaptation variable, programs, employment, and assessment. About research metho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are used in all the 57 articles. There is no article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terms of statistical method. In statistical method, the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he majority (29.2%). Conclusion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tendency of career adaptability, it is suggested that the research objects and research method should be diversified.

      • KCI등재

        도시 및 농어촌 지역의 건강수준 개선을 위한 현재흡연율 관리 시뮬레이션 모형 개발 - 전라남도 진도군 중심으로 -

        박종호 ( Park Jong-ho ),지혜 ( Kim Ji-hye ),김예은 ( Kim Yea-eun ) 한국도서(섬)학회 2021 韓國島嶼硏究 Vol.33 No.4

        본 연구는 생태학적 방법론에 지리적 가중회귀분석(GWR) 및 대화식 의사결정나무를 접목하여 대안적 분석을 제시하기 위해 흡연을 중심으로 도시 및 농어촌 지역의 건강행태 수준 개선을 위한 지역 간 변이 관련 요인을 파악하고, 도시 및 농어촌 지역의 효율적인 흡연 관리를 위한 맞춤형 사업방안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해 시뮬레이션 알고리즘을 개발하고자 수행 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2019년 보건복지부의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 통계청 자료,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 등을 수집하여 우리나라 지역에 거주하는 성인의 흡연을 중심으로 건강행태 수준 개선을 위한 시뮬레이션 모형을 개발하였다. 지역사회 건강행태 수준 개선에 대한 시뮬레이션모형 개발 시 지역 간 변이 수준을 파악하는 방법은 EQ(Extremal Quotient)와 CV(Coefficient of Variations)를 이용하였으며, 대안적 분석 기법으로는 지리적 가중회귀분석을 통한 지역별시뮬레이션, 대화식 의사결정나무를 통한 개선할 수 있는 변수 중심의 시뮬레이션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평가하였다. 지리적 가중회귀분석을 이용한 현재흡연율의 지역 간 변이와 관련 요인을 분석한 결과 고위험음주율, 1인 평균 건강보험료,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비율, 인당 상업지역면적, 건강생활 실천율, 비만율 변수로 구성된 총 228개의 지역별 회귀모형이 산출되었다. 산출된 지리적 가중회귀모형의 전반적인 설명력은 37.4%였으며, 지역별로는 26.0%에서 35.5%까지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화식 의사결정나무(Decision Tree)를 이용한 전체 현재흡연율의 평균은 20.3%이며 현재흡연율에 대한 집단 분류에서 유형 1에 해당하는 그룹일 경우, 총 228개 지역의 현재흡연율에 비해 1.2배 정도 흡연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의 보건사업 담당자들이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엑셀을 이용하여 지리적 가중회귀분석(GWR)결과를 기반으로 개선이 필요한 지역사회 요인을 포함한 시뮬레이션 모형을 개발하여 도시 및 농어촌 지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1%, 3%, 5%, 10% 개선했을 때 현재흡연이 감소되는 것으로 지역사회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시뮬레이션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시 및 농어촌 지역 관리를 통해 건강수준이 개선됨과 동시에 사업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추후 도시 및 농어촌 지역의 건강증진사업 수립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simulation algorithm to identify regional variation -related factors to improve health behavior levels in urban and rural areas and to present basic data for efficient smoking management in urban and rural areas. For this study,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s community health survey data, Statistics Korea data, and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data were collected in 2019 to develop a simulation model to improve health behavior, focusing on smoking in adults living in Korea. When developing a simulation model for improving the level of community health behavior, EQ (Extremal Quotient) and Coefficient of Variations (CV) were used to develop and evaluate variable-oriented simulation algorithms that can be improved through geographic weighted regression and interactive decision trees. As a result of analyzing regional variations and related factors in the current smoking rate using geographic weighted regression analysis, a total of 228 regional regression models consisting of high-risk drinking rates, average health insurance premiums, basic living security recipients, per capita commercial areas, health life practice rates, and obesity rate variables were calculated. The overall explanatory power of the calculated geographic weighted regression model was 37.4%, and it was found to be distributed from 26.0% to 35.5% by region. The average current smoking rate using interactive decision trees is 20.3%, and in the group classification of the current smoking rate, the group corresponding to type 1 is 1.2 times more likely to smoke than the current smoking rate in a total of 228 reg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Geographic Weighted Regression Analysis (GWR) using Excel for easy use by local health project managers, a simulation model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the local community was presented when the factors affecting urban and rural areas were improved by 1%, 3%, 5%, and 10%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to establish health promotion projects in the future while improving its effectiveness and health through the management of urban and rural are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