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적외선 반사율 측정을 위한 가면 착용 위변조 얼굴 검출

        김영신(Youngshin Kim),나재균(Jaekeun Na),윤성백(Seongbeak Yoon),이준호(Juneho Yi) 대한전기학회 2007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7 No.10

        특수 분장을 이용하여 매우 정교하게 제작된 가면을 쓴 얼굴 위변조의 경우 일반적인 밝기 영상으로는 검출이 용이하지 않다. 최근의 획기적인 특수 분장 기술 발전을 고려할 때 성공적인 얼굴 인식시스템 개발을 위해 가면을 쓴 열굴 위변조 검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물잘의 재질에 따른 반사율의 차이를 기반으로 가면을 착용하는 열굴 위변조를 검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우선 알비도(albedo)에 착안하여 여러 파장대의 조명에 대해 실험하였다. 실제 얼굴 인식 시스템의 적용 환경을 고려할 때 알비도를 단순히 빛의 반사량으로 간략화 할 수 있음을 보였고, 실험결과 850㎚ 적외선 조명이 적합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 KCI등재

        제 7차, 2009 개정,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광합성 관련 개념의 수평적, 수직적 연계성

        김영신 ( Youngshin Kim ),박신아 ( Shinah Park ),임수민 ( Soo-min Lim ) 한국생물교육학회 2021 생물교육 Vol.49 No.3

        The curriculum is being revised in response to social demands, and efforts are being made to increase the articulation, especially to create a high-quality curriculu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whether the articulation is properly considered according to the revision of the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photosynthesis-related concepts are properly considered for articulation as the curriculum is revised. To this end, the horizontal and vertical articulation of photosynthesis-related concepts presented in textbooks of the 7th, 2009 revised, and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analyzed. The photosynthesis- related concept wa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plant composition’, ‘transpiration’, and ‘photosynthesis’. For the analysis, Semantic Network Analysis(SNA) was use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horizontal articulation of photosynthesis-related concepts by curriculum appears to be higher as the curriculum is revised. Second, the vertical articulation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is relatively high, but the vertical articulation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is relatively low. As a result, there were few concepts commonly articulated betwee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levels. Third, as there are many concepts presented only in high school, it is necessary to optimize the concept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appropriately reflected in the revision of the next curriculum and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In future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an analysis of the articulation between the core concepts of life sciences and other science subjects such as physics, chemistry, and earth science will be analyzed.

      • KCI등재
      • KCI등재

        원격수업에서의 사회적 기업가정신 함양을 위한 PBL기반 교양교과목 개발 및 운영 사례연구

        김영신(Youngshin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2

        목적 본 연구는 대학의 교양교과목으로서 사회적 가치 이해와 사회적 기업가정신 함양을 위한 PBL 원격수업의 설계와 운영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ADDIE 모형의 절차를 적용하여 사회적 기업가정신 함양을 위한 교과목 설계 및 PBL 등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 및 사례분석을 통해 원격PBL수업 설계에서 고려해야 할 요소들을 도출하고 교과목을 설계 및 개발한 후 이를 적용하여 경기도 소재 A대학의 교양교육원에서 개설 및 운영한 「사회적 가치와 창의성」 수업의 내용과 운영방식에 대한 사례를 제시하였다. 결과 본 교과목은 사회적 가치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사회적 경제 및 경영학 분야의 이론적 학습, 그리고 이를 적용하여 사회적 문제해결방안을 모색하는 PBL학습으로 구성되며, 강의 내용의 적용할 수 있는 개인 및 조별 참여과제 및 활동을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원격PBL 프로젝트 수행 과정에서 학습자의 내적동기를 높이기 위한 방식으로 프로젝트 주제 선정 및 팀 구성, 그리고 코칭, 발표 및 토론방식 등으로 원격수업의 학습환경에 적합한 PBL 교양교과목을 설계 및 운영하였다. 결론 교과목 운영 후 수업만족도 조사 결과, 4.5(5점 만점) 수준의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고, 사회적 가치와 사회적 기업 등의 분야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향상시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보완할 점으로는 이론강의와 프로젝트의 분량과 난이도 조정과 충실한 학습자료를 제공할 필요가 있고, 프로젝트 팀 구성 및 코칭 등의 상호작용 수준을 보다 높이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example of the design and operation of PBL for improving social entrepreneurship in remote learning as a class of university liberal arts. Methods First, I reviewed the literatures of social value and social entrepreneurship course, PBL, and remote learning. Then, some implications are drawn for designing and operation of “Social Vaule & Creativity” class at A university in Kyonggi-do. Results This course consists theoretical lectures partially related to social economy, management, and PBL activity to apply knowledge. Designed to carry out learning materials. In addition, it is designed and operated in consideration of the learning environment of distance classes in communication such as selecting project topics, team formation, and coaching as a method to increase the inner motivation of learners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remote PBL projects. Conclusions As a result of the class satisfaction survey after the course operation, a high satisfaction level of 4.5 (5 points perfect score) was used.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oretical lectures and project volume and difficulty adjustments, and provide substantial learning materials, and should support for the high intensity of interaction such as project team formation and coaching.

      • KCI등재SCOPUS
      • KCI등재

        제도적 논리 관점에서의 인적자원관리

        김영신(Youngshin Kim)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8 현상과 인식 Vol.42 No.2

        전통적으로 위계 논리에 기반한 가부장적 인적자원관리 관행을 실행하던 한국 기업들은 국내외 경쟁 환경의 변화를 겪으면서 시장 지향 인적자원관리나 공동체 지향 인적자원관리의 관행들을 도입하고 실행하고 있다. 거시적 인적자원관리 분야는 기업 내 인적자원관리 관행들의 일관성을 강조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서로 다른 논리의 관행의 관계는 무엇인지, 그리고 어떻게 공존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다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기업 내에 다수의 제도적 논리가 존재함을 인적자원관리 관행들을 통하여 나타내고자 한다. 특히 기업 내에 존재하는 위계, 시장, 공동체의 제도적 논리가 반영된 인적자원관리 관행이 어떤 양상으로 존재하는가에 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이론적 배경으로서 제도적 논리 관점에서의 시장 및 공동체 논리에 대해 살펴본 후, 인적자원관리 관행에 대한 설문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인적자원관리 내에 제도적 논리 공존방식으로는 시장기반 혼합형, 위계-공동체, 공동체-외부채용, 그리고 차등화의 네 개의 유형을 도출하였고, 이들은 모두 위계 또는 시장 논리 중 하나 이상의 논리가 높게 나타났으며, 차등화를 제외하고는 공동체 논리가 강하게 작용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세 가지 논리가 공존하는 방식에 대한 결과와 해석을 제시하였다. Korean firms that have traditionally managed paternalistic human resource management(HRM) have adopted and implemented market-oriented practices and community-oriented practices since the IMF economic crisis. This study deals with two questions. What institutional logics coexist in Korean firms’ HRM system? And what is the pattern of HRM practices following multiple institutional logics? Multiple institutional logics in HRM is hierarchy, market, and community logics. The relationship among these logics has both competitive and cooperative aspects. In this study, the type or pattern of selective coupling of HRM practices was identified through cluster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sis, four clusters were derived. That is hierarchy-community, community-external staffing, market-oriented hybrid, and pay differential. Based on the results, I suggest interpretation of coexistence pattern of HRM practice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도서관을 활용한 실천적 문제중심 수업이 생애설계와 진로탐색 에 관한 학습자의 의식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

        김영신(Kim YoungShin),이연숙(Lee Yon Suk)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2 No.2

        본 연구는 현장에서 ‘생애설계와 진로탐색’ 단원의 효과적인 수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도서관을 활용한 실천적 문제중심 학습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설계되었다. 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10학년 12종 교과서의 ‘생활설계’ 단원과, 2007 개정 교육과정 해설서의 9학년 ‘생애설계와 진로탐색’ 단원에 대한 내용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문제를 정의하고 ‘생애설계와 진로탐색’ 단원의 내용을 재구성하여 10차시의 학교도서관을 활용한 실천적 문제중심 가정과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경기도 S고등학교의 재학생 139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에는 개발된 학교도서관을 활용한 문제중심 수업을 도서관에서, 비교집단에는 동일주제를 가지고 교실에서 수업을 진행한 후 ‘생애설계와 진로탐색’ 단원에 대한 의식 및 태도와 가정과에 대한 인식의 향상정도를 공변량 분석(ANCOVA)으로 알아보고, 학생의 수업방법에 대한 만족도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개발된 도서관을 활용한 실천적 문제중심 수업은 교실에서의 실천적 문제중심 수업보다 ‘생애설계와 진로탐색’과 관련된 바람직한 의식과 태도를 형성하고 발전시키는데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정교과를, 과학지식을 가정생활에 응용하는 능력을 기르는 교과, 가정과 연결된 사회문제 분석 능력을 기르는 교과, 주변사람들을 돌보고 존중하는 능력을 기르는 교과, 현대사회에서 중요한 교과라고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하는데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수업방법과 수업 전반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lesson plans of library assisted practical problem-based teaching-learning for life and career planning unit in high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and to compare the learning effect of this lesson plan with that of practical problem-based teaching-learning in class. The change in student s perception about home economics subject was also compared after two types of teaching-learning process. The contents of the high school Technology ․Home Economics textbooks and curriculum guide book for the year of 2007 curriculum revision were analyzed. Based on these analysis 10 library assisted practical problem-based teaching-learning lesson plans on life and carrer planning unit were developed. The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Gyeonggi province as an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library assisted practical problem-based teaching-learning. The control group of students who had same condition with the experimental group were taught by same lesson plans in class. After the experiment, the changes in attitudes toward life and career planning and in perception about Home Economics subject were analyzed using Analysis of Covariance. The more significant positive attitudes toward life and career planning were found in the experimental group of students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rol group of students. And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of students,the experimental group of student perceived more positively about characteristics of Home Economics subject. Thus,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made that the library assisted practical problem-based teaching-learning could be one of the useful teaching-learning methods to improve attitude toward life and career planning and perception about Home Economics subject.

      • KCI등재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과학 탐구 활동에서 나타나는 언어적 상호작용 유형과 안정성 분석

        김영신(Kim Youngsh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6

        과학 탐구 활동에서 학생들의 활발한 상호작용이 강조되고 있다. 학생들은 상호작용을 통해 다양한 의견 교환과 협의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며, 활발한 상호작용은 학습 성취와 과학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 학생들의 언어적 상호작용 유형을 분석하기 위하여 사회네트워크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과학 탐구 활동에서 나타나는 언어적 상호작용 유형과 안정성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또한 리더 역할을 하는 학생과 소외된 학생의 인지적 특성과 의사소통 유 형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1학년 70명을 대상으로 5명 1개 모둠으로 편성하여 분석하였다. 14개 모둠 중 탐구 활동이 진행되는 동안 결석한 학생이 있었던 2개 모둠을 제외하고 12개 모둠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 결과, 상호작용 유형 은 13가지이며, 소외된 학생이 포함된 유형은 7개, 모든 학생이 참여한 참여형은 6가지로 분류되었다. 상호작용 유형의 안정성은 탐구 활동이 진행되면서 언어적 상호작용 유형이 변화되는 모둠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인지수준이 높은 학생 또는 우수한 학생이 집단의 리더가 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 연구에 기초하여 학생들이 수행하는 탐구의 개방성에 따른 상호작용 유형의 변화나 교사의 피드백이나 정보제공이 학생들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학생 수에 따라서 나타나는 상호작용 유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Verval interaction among students has been emphasized in science inquiry activities. Students interact with one another to exchange various opinions and solve problems through mutual consultations, and active interaction has an effect on learning achievements and attitudes towards science. Social networking method(SNA) was used to analyze the types of verbal interaction among students.In this regard, this study sought to analyze the type and stability of verbal interaction in science inquiry activities done at schools. Also, we analyzed the cognitive level and communication types of the leaders and excluded students. To this end, 70 students in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were grouped into 14 groups of five. Among the 14 groups, 12 groups were analyzed except for the two groups with students who were absent during the inquiry activiti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 were 13 types of interaction, including seven types with marginalized students and six types in which all students participated. With respect to the stability of interaction types, a large number of groups showed changes in interaction types as the inquiry activities were conducted, and there were many cases where a student with a high cognitive level or a superior student became the leader of a group. For future work, the effects of changes in interaction types according to the openness of inquiry, teachers’ feedback or information provision on the interaction among students will have to be investigated based on this study.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a research on the interaction types depending on the number of students will be carried out.

      • KCI등재

        초, 중, 고등학생들의 과학 교사 자질에 대한 이미지

        김영신 ( Youngshin Kim ),조윤정 ( Yunjung Cho ),임수민 ( Soo-min Lim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0 科學敎育硏究誌 Vol.44 No.1

        교육의 질을 결정하는 주요 요소 중에서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교사이다. 그러므로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의 질을 향상시켜야 한다. 교사의 자질은 교직에서 요구되는 기능 즉, 교수 활동뿐 아니라 생활지도, 학급경영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 중, 고등학생들이 원하는 과학 교사의 자질을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초, 중, 고 학생 332명을 대상으로 선호하는 과학 교사의 자질과 기피하는 과학 교사의 자질을 개방형으로 기술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개념들을 언어 네트워크 분석 법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1) 학생들은 선호하는 과학 교사의 자질은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생들이 과학 교사를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면이 많은 것을 의미한다. 또한 학생들에게 다양한 면에서 긍정적인 또는 선호하는 교사의 자질을 보여 줄 수 있다는 것이다. 2) 학생들은 실험을 통해서 과학 현상과 이론, 개념을 이해하고 설명해 주길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수업에서 학생 들은 직접적인 활동이나 체험을 선호하였다. 3) 학생들은 과학 교사의 자질에서 수업과 관련된 내용을 중요시하고 있다. 과학 교수 학습 방법의 개선과 학생들을 긍정적으로 대함으로써 학생들의 과학 교사 나아가 과학에 대한 이미지를 높여야 할 것이다. 이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과학 교사의 구체적인 교수 학습 방법에 따른 이미지 연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Teachers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 contributing to determining the quality of education. Therefore, the quality of teachers should be improved to enhance the quality of education. Teacher’s competencies are defined as the skills required for teaching profession, that is, the ability to perform not only in teaching activities, but also in guidance and class manag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mpetencies of science teachers tha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ant. To this end, 332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asked to describe their preferred science teacher's competencies and avoiding science teacher's competencies as an open questionnaire. The resulting concepts were analyzed by semantic network analysis (SN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competencies of science teachers that students prefer varied. This suggests that most students think positively about science teacher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how students the positive or preferred competencies of teachers in various ways. 2) The students wanted teachers to explain the theories and concepts related to scientific phenomena through experiments. They also preferred hands-on activities and experience in science class. 3) The students put emphasis on the class-related contents in the competencies of science teachers. Accordingly, the image of science teachers and science itself should be enhanced through the improvement of science teaching methods and positive attitudes toward students. It is expected that further research on the image according to specific teaching methods of science teachers will be conduct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 KCI등재

        영작문 수업 동료 피드백에 대한 학생 인식 연구

        김영신 ( Youngshin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동료 피드백은 영어 학습 과정을 촉진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도구이다. 이와 같은 인식하에, 본 연구는 영작문 수업에서 동료 피드백에 대한 학생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28명의 영작문수강생으로부터 동료 피드백의 강점과 약점에 대한 답변을 수집하였다. 동료 피드백의 이점에 대해학생들은 동료 피드백을 통해 글쓰기 과정에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자기 성찰을 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답변하였다. 동료 피드백은 작문 과정을 보다 협력적 과정으로 만들고, 상호 학습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학생들은 동료 학생의 작문에서 강점과 약점을 찾아내는 과정뿐만 아니라 동료 피드백을 자신의 수정본에 통합해 가는 과정을 통해 학습을 하였다. 일부 학생들은 동료 피드백에 대해 회의적 답변을 하기도 하였다. 이들은 피드백이 수반하는 평가라는 작업과 자신의 영작문 실력에 대해 불안감을 느낀다고 답변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볼 때, 학생들에게 동료 피드백의 효용 및 프로세스에 대한 명확한 지침을 제공하는 것의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Peer feedback is regarded as an important tool in facilitating the process of learning English. Based on such theoretic assumption, this study analyzed the student perception of peer feedback in English writing. In order to analyze the research topic, this research collected the responses of the 28 students who took the English writing class. As to the benefits of peer feedback, students answered that peer feedback helped them to engage more with writing and encouraged the self-reflectivity that nurtured critical thinking skills. Peer feedback also made the writing process more collaborative and provided opportunities to learn from one another. Students reported that they learned as much or more from identifying strengths and weaknesses in a peer student’s paper as from incorporating the feedback into their own work. Some students were skeptical, however, about peer feedback, saying that they felt uneasy about the task of giving feedback to other students. Th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providing students with a clear guideline as to the usage and the process of peer feedbac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