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ancer caregiving of older parents: Caregiving stress, psychosocial resources, and quality of life of adult children

        Yojin Kim(김여진),Hyunsook Yoon(윤현숙),Hyun Joo Lee(이현주),Yeon Ok Lim(임연옥),Ilsung Nam(남일성),Kyoungwon Choi(최경원)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7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53 No.-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caregiving stressors, psychosocial resources of optimism and social support and the quality of life of the Korean adult children providing care to their older parents with cancer. Caregivers (N= 165) of parents with cancer were recruited from four sites of university-based hospitals and a medical center in Kore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on analysis with bootstrapping approach were used. Caregiving stressors directly affected the quality of life of caregivers and indirectly affected quality of life through the pessimism dimension of optimism. The indirect effects of stressors via social support also were found. It is suggested that social work program should be developed specifically meeting their needs focusing on caregiving stressors as well as optimism and social support. 본 연구는 노인암환자를 돌보는 성인자녀 수발자의 수발 스트레스, 사회심리적 자원인 낙관성과 사회적지지, 그리고 그들의 삶의 질의 관계를 조사한 연구이다. 국내 5개의 대학병원 및 종합병원에서 노인암환자를 돌보는 165명의 성인자녀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다중회귀분석과 부트스트래핑 방법을 활용한 매개효과검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수발 스트레스는 자녀 수발자의 삶의 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낙관성 중 비관영역과 사회적 지지를 매개로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성인자녀 수발자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 낙관성 중 비관에 초점을 맞추고, 사회적 지지의 수준을 높이는 등 이들에게 적절한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개입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성인자녀와 부모의 기능적 세대연대와 세대별 차이

        김여진(Kim, Yojin) 한국인구학회 2017 한국인구학 Vol.40 No.2

        본 연구는 성인자녀가 부모에게 제공하는 지원을 중심으로 기능적 세대연대의 세대별 수준과 관련 요인을 조사하였다. “고령사회의 세대공생: 세대갈등에 관한 다면적 진단과 해법” 연구에서 지역, 연령, 성별 층화표집을 한 성인 1,21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이용하여, 성인자녀의 가치관(효의식, 성역할태도, 결혼관), 친밀감, 부모가 제공한 지원, 그리고 인구사회학적 변인이 부모에게 제공하는 지원 형식의 기능적 세대연대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그것이 세대별로 다르게 작용하는지를 기술통계 및 회귀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기능적 세대연대의 하위영역(경제, 도구, 정서)에서 응답자의 세대별 차이가 드러났고, 영향을 미치는 요인도 세대별로 달랐다. 효의식과 같은 가치관은 20대나 50대에게서만 드러나고, 30대와 40대는 상호 호혜성의 영향이 드러나는 등 세대별로 상이하게 작용한 결과를 보였다. 이는 부모와 성인자녀와의 관계에서 개인차원의 생애주기적 영향력의 중요성을 일면 보여 준 것이지만, 왜 그러한 양상을 보이는지에 대한 사회구조적 요인의 탐색과 추후 생애주기적 특성이 유지 또는 변화하는지 종단적으로 검증해 볼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actors affecting intergenerational functional solidarity from adult children to their parents and if the level of solidarity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factors differ among generations. The data comes from the project “Generational coexistence in ageing society” based on survey conducted with 1214 Korean using stratified sampling method. Factors such as familial values, emotional closeness to parents, supports from parents, and socio-economic factors are analyzed in relations to the level of functional solidarit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functional solidarity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factors vary by generations. Filial piety was found to be effective with 20s and 50s, while level of supports from parents were found to be important for 30s and 40s, suggesting life cycle factors were essential. It would be necessary to further investigate whether these phenomena sustain, with longitudinal data.

      • KCI등재

        세대별 주관적 안녕감: 사회적 세대의 탐색적 비교연구

        김여진(Yojin Kim),최유석(Youseok Choi)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5

        이 연구는 한국인의 주관적 안녕감을 삶의 의미와 가치의 맥락을 담은 유데모니아 관점에서 사회적 세대별로 비교분석하였다. 층화표집법을 활용하여 전국 19세 이상 성인 1,214명을 대상으로 기술통계분석과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유데모니아 관점에서 측정하였으나, 물질적인 요인이 여전히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산업화 세대의 주관적 안녕감의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경제수준 만족도와 가족관계 만족도는 모든 세대에 공통적으로 주관적 안녕감과 관계가 있었다. 반면에 사회참여활동은 세대별로 다른 유형의 활동이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쳤다. 이 연구에서는 급격한 사회변화를 다르게 경험한 세대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혔으며, 향후 세대별 특성을 반영한 심층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Examining the experiences of different generations, this study assesses the subjective well-being(SWB) from eudaemonic perspective. Data was drawn from a survey of 1,214 adults in Korea. This research conducted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how that even assessed from eudaemonic approach, material factors are still essential in explaining the variation of SWB. People in industrialization generation are less happy than other generations. Satisfaction with family and different types of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are related to SWB. This study suggests needs for focused attention on the factors affecting SWB in each generation.

      • KCI등재

        한국 노인 주관적 안녕감의 성별차이 메타분석

        김여진(Yojin Kim),임연옥(Yeon Ok Lim)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9

        본 연구는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의 국내 연구를 분석하여 주관적 안녕감의 성별차이를 밝히고자 노인대상의 연구가 활발하게 시작된 2000년 이후부터 2013년까지의 연구들을 메타 분석하였다.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성에 따른 차이에 대해 아직까지 일관된 결과를 제시해 주고 있지 않기 때문에 그동안의 연구를 통합하여 분석하는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선정기준에 적합한 총 74개의 논문을 대상으로 성별차이의 효과크기와 가중평균을 계산하고, 논문특성에 따른 분석을 위해 SPSS에서 메타분석 macro를 활용한 메타분석과 메타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남성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이 여성노인보다 높은 것으로 밝혀졌고, 주관적 안녕감의 성별차이의 효과크기(es = .1157)는 95%의 신뢰구간 .0528에서 .1787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조절변인으로서의 논문의 특성에 따라 성별효과크기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이 밝혀졌다. 다수의 연구가 건강과 사회적 관계의 영향요인을 분석하였으나 성별차이와의 상호작용을 검증한 논문은 극히 일부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함의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meta-analysis of the research studies between the year 2000 and 2013 on the gender difference of the subjective-welling of Korean older adults. 74 research studies that meet the criteria are analyzed with SPSS and Meta-analysis macros. Results indicated that Korean elder men are better off in terms of subjective well-being (es = .1157, CI95% .0528-.1787) than women. No moderating effects are found. Few studies examine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gender difference effect and main factors such as health and social relationship that affect subjective well-being. Based on the results som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의료사회복지사의 문화적 역량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김여진 ( Kim Yojin ),이지연 ( Lee Jiyoun ),조선희 ( Cho Sun-hee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保健社會硏究 Vol.31 No.3

        본 연구는 국내의료사회복지사가 인지하는 문화적 역량의 현황 및 관련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이다. 문화적 역량을 문화적 이해 및 지식, 문화실천기술, 그리고 조직의 지 지의 세 가지 하위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국내 의료사회복지사들에게 자기기입 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187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t-검증과 ANOVA로 변인별 문화적 역량의 수준을 비교하고 다중회귀분석에 의하여 문화적 역량과 관련된 요인들을 탐색적 수준에서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의료사회복지사의 문화적 역량의 수준은 문화적 이해 및 지식이 2.83, 문화실천기술 2.43, 그리고 조직의 지지가 2.32로 4점 척도에서 중간값을 상회하였다. 그리고 연령, 외국인 친구의 유무, 외국어 능력 수준, 다문화 사례담당 경험 여부, 다문화 관련 슈퍼비전의 경험 여부, 다문화 관련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지 정도 등이 의료사회복지사가 인지하는 문화적 역량의 수준과 유의한 관계가 있었으며 특히 지역사회의 다문화 서비스 기관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 변인임을 발견 하였다. 분석 결과에서 의료사회복지사의 문화적 역량강화를 위해 경험을 쌓을 수 있는 교육 훈련이 필수적이라는 함의를 추론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evel of perceived cultural competency of medical social workers in Korea and explore factors that are related with their cultural competency. Responses from 187 medical social workers are analyzed for this study. They were asked to fill out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alytic methods such as t-test, ANOVA, and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are us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indicated that personal experiences such as working with multicultural client are related with higher level of cultural competency. Also, the knowledge of the other local agency that provides services to multicultural client has something to do with a higher level of cultural competency. Other factors are associated with each of three factors of cultural competency: Knowledge/Awareness, Skills Development and Organizational Support. Also emphasized is the important role of the supervision and education for cultural competency.

      • KCI등재

        한국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참여 관련요인 : 연령집단별 분석

        김여진(Yoji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4

        한국의 고령화로 증가한 노인인구가 행복한 노년의 삶을 사는데 필요한 요소 중의 하나로 사회활동의 참여가 있다. 다양한 사회활동의 하나 중 자원봉사활동은 사회적으로는 시민사회의 기반이 되는 역할을 하며 개인적으로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연구는 한국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현황과 자원봉사활동 참여 요인을 분석하되 노인인구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연령집단별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 고령화 연구 패널의 2차년도 자료에서 55세 이상의 노인을 예비노인(55세-65세), 전기노인(65세-74세), 후기노인(75세 이상)으로 분류하여 기술통계와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참여율은 매우 낮았으며, 노인의 사회적 관계가 노인이 자원봉사활동 참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연령별 다양성을 고려해야 할 필요성도 확인되었다. With the increase of the aging population in Korea, the welfare of Korean elderly has become one of main concerns of the society. One essential factor that may enhance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is the active social participation. Involvement in the volunteer activity is one form of social participation that benefits both society and individu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vel of Korean elderlys participation in volunteer activities and factors related to their participation in the context of different age group. People aged 55 and over from wave 2 data of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are grouped into pre-old(55-64), young old(65-75), and old old (75 and older). Main analytic tools include descriptive statistic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social relationships of the elderly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related with their participation with voluntary activities. Also highlighted i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the diversity among the older population.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인의 행복 격차: 집단 간 변화 추이와 관련 요인

        최유석(Youseok Choi),김여진(Yojin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12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의 행복 수준과 변화를 밝히고, 집단 간 행복의 격차와 관련된 요인을 밝히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만19-69세 성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2013-20 사회통합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인의 행복감은 전반적으로 향상되는 추세를 보이다가 2018년 이후 다소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다양한 집단 간 행복의 격차는 전반적으로 감소하였다. 여성이 남성에 비해, 20, 30대가 40-60대에 비해, 배우자가 있는 집단이 이혼, 사별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행복감을 경험하고 있다. 교육수준, 소득수준, 사회적 지위, 자유결정 정도, 사람에 대한 신뢰가 높을수록 행복감이 높았다. 하루에 접촉하는 가족 수, 우울하거나 스트레스를 받을 때 대화할 사람이 많을수록 행복감이 높았다. 사회적 지위에 따른 행복감의 격차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 사회적 지위, 자유결정 정도가 행복수준에 상대적으로 높은 관련성을 맺었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행복격차를 완화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happiness levels and their changes across different groups of Koreans. It also identifies factors related to the variations in the happiness level.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tilizes the "2013-20 Social Integration Research", which surveyed Korean adults aged 19-69.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happiness level had increased until 2018, then it has slightly decreased since 2019. Overall, the happiness differentials across groups have decreased over time. Females in their 20s and 30s and people living with their spouses are happier than their counterparts. People with a higher level of education, income, social status, free decision making and trust are happier than those with lower levels of education, income, and social status. Apart from this, people who contact family members several times a day and when they feel depressed or stressed are happier than their counterparts. Moreover, th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social status and the chance to make free decisions explain the largest variations of happiness among the eleven attributes of people. Finally, this study discusses the policy implications to increase happiness and alleviate the happiness differentials across various groups.

      • KCI등재

        수술 후 항암치료를 받은 남성노인위암환자의 치료경험

        이현주(HyenJoo Lee),임연옥(YeonOk Lim),윤현숙(Hyunsook Yoon),김여진(Yojin Kim),최경원(Kyoungwon Choi) 한국노년학회 2014 한국노년학 Vol.3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수술 후, 항암치료를 받은 남성노인위암환자의 치료경험을 한국의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상자에게 적합한 복지서비스 개발의 근거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참여자는 65세 이후에 위암진단을 받고 수술 후 항암치료를 받은 경험이 있는 남성노인으로 총 7명이다. 의도적 표집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심층면담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Colaizzi가 제시한 6가지 단계들에 의거하였다. 연구결과, 9개의 주제묶음과 20개의 주제가 도출되었으며 이를 주제묶음을 중심으로 제시하면, <암이라는 불청객과의 조우>, <지옥과도 같은 중환자실>, <항암치료라는 이름의 형벌>, <낙이 없고 무력한 삶>, <건강을 위한 생활의 재구성>, <최고의 버팀목은 가족>, <내 생사를 좌우하는 의사>, <소박하고 단순해진 삶의 의미>, <의료서비스에 대한 아쉬움>이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수술 후 항암치료를 받은 남성노인위암환자의 치료경험의 의미를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논의하고 의료 및 사회복지적 함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treatment experiences of male elderly stomach cancer patients who are going through chemotherapy after the surgery in Korean socio-cultural context and to provide base data that will help develop adequate social services for this population. This study used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The research participants comprised of 7 male elderly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stomach cancer after the age of 65. With purposive sampling, the data were gathered with in-depth interviews. The data were analyzed based on 6 steps of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As a results, 9 theme clusters and 20 themes emerged and the theme clusters are as follow: "encounter with uninvited visitor, the cancer", "a hell-like ICU", "a punishment named chemotherapy", "joyless and helpless life", "restructuring life for health", "family as the best pillar for me", "doctors who influences my life and death", "simplified meaning of life", and "insufficient medical services". Based on these results chemotherapy treatment experiences of male elderly stomach cancer patients after the surgery were discussed in Korean socio-cultural context and some social work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ies a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