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 기호학적 관점에서의 스마트폰 아이콘 연구

        김성훈(Kim, Sunghun),권동은(Kwon, Dongeun)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1 디자인지식저널 Vol.18 No.-

        21세기 디지털미디어(Digital Media) 시대에 HCI(Human Computer Interaction)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새롭고 다양한 인터페이스(Interface)의 등장은 대량의 정보를 빠르고 정확하게 다룰 수 있도록 하였을 뿐만 아니라 조형미가 뛰어난 GUI(Graphic User Interface) 디자인(Design)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는 대표적인 모바일디바이스(Mobile Device)인 스마트폰(Smart Phone) GUI의 아이콘(Icon) 디자인을 기호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그 문제점을 도출하여 보다 효율적인 정보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을 위한 아이콘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스마트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디자인에 있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사용성은 원활한 정보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매우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높은 효율성과 학습 용이성, 사용 만족성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의미 전달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져야 하며 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의 구성요소 중 하나인 아이콘의 긍정적 특성을 통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이콘의 특성을 보다 효율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시각적 표현에서 기호학적 관점의 아이콘 분석은 매우 중요하며 아이콘이 나타내는 기호학적 구성요소인 표상체와 대상체, 해석체의 일치를 통해 아이콘이 본래 나타내고자 하는 의미와 기호구성이 일치시켜 의미전달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 아이콘의 기호학적 분석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의 아이콘과 기호학의 연관성을 증명하고 아이콘 디자인 발전을 위한 기초로 삼고자 하였다. Now in the 21st century is the digital media era. HCI technology and a new interface to use the information made it possible to quickly and accurately. In addition to the beautiful GUI design possible. Accordingly, Smart phone design of the GUI icon semiotics analyzed. Usability of the smart phone user interface is very important in communication. Icons feature is very effective to increase the usability. Because semiotic analysis of icons are very importance. And semiotics of the component representation Sign, Object, Interpretant the identification is very important too. Through this, the meaning of the icon of the communication is maximized. This study proves an association between the icon and semiotics and uses a semiotic analysis on the smart phone icon design.

      • KCI등재

        스마트폰의 시각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을 위한 아이콘 조형요소 연구

        김성훈(Kim Sunghun),권동은(Kwon Dongeun),권동은(Kwon Dongeun)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1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1 No.3

        스마트폰(Smart phone)의 급속한 발전과 확산은 인간생활에서의 커뮤니케이션에 있어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스마트폰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통한 시각커뮤니케이션은 디지털 네트워크를 통한 커뮤니케이션 패러다임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의 효율적인 시각커뮤니케이션 형성을 위해 스마트폰 GUI의 중요 구성요소인 아이콘의 커뮤니케이션 구성요소와 아이콘 조형요소를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시각커뮤니케이션의 개념과 과정상의 구조를 문헌연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스마트폰의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구조를 도출하였다. 또한 스마트폰 GUI 구성요소로서 아이콘의 중요성을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하여 알아보고 아이콘의 개념 및 특성과 커뮤니케이션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아이콘의 시각커뮤니케이션 특성을 고찰하였다. 또한 아이콘의 조형요소와 시각커뮤니케이션 과정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스마트폰의 시각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조형요소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스마트폰의 효율적인 시각커뮤니케이션을 위해서는 시각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스마트폰이 사용자에게 전달하고자하는 의미를 신속하고 명료하게 전달하기 위한 시각적 매체표현과 사용자의 피드백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스마트폰 이용 환경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특성의 표현이 매우 중요하다. 아이콘은 스마트폰 GUI의 구성요소로서 시각커뮤니케이션의 주요 매체에 해당하며 아이콘의 형상을 구성하는 조형요소는 시각커뮤니케이션의 메시지를 표현하는 중요요소로 나타났다. 앞의 연구를 이론적 바탕으로 스마트폰 아이콘을 분석하여 스마트폰의 시각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아이콘 디자인의 조형요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스마트폰 아이콘의 효율적인 시각커뮤니케이션을 위해서는 의미전달과정에서 시각요소를 중심으로 간결하고 명료하게 표현하고 사용자 피드백과정에서 상관요소를 중심으로 조형요소간의 상대적 표현이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아이콘디자인에 있어 조형요소 상호관계성을 분석하여 스마트폰 아이콘 디자인을 위한 연구를 지속하고자 한다. Smart phone has developed rapidly and spread. It has revolutionized human life and communication. GUI is important for effective visual communication and transformation paradigm in communications. This study analyzed analysis formative elements for the icon design guide proposal. In order to study I analyze the concept and structure of communication and icon. Also studied the formative elements of the icon and visual communication. And these were analyzed and correlated. Effective community needs fast and accurate delivery of messages in the process of visual communication. Also Characteristic representation of interactive communication is very important. Icon is media of visual communication and message is the formative elements of icon. Based on Previous studies I have analyzed the formative elements of Smart phone Icon. Focusing on the visual element Must express simple and accurate representation in visual communication process. Also Focusing on the Correlation element Must express Relationship in user feedback process. As a result This study is proposed formative elements interactive guide for icon visual communication design.

      • KCI등재후보

        매체 접촉 경험과 수용자 선유경향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무료신문 수용자 변인 및 유료신문에 대한 평가 변인을 중심으로

        김성훈(Kim Sunghun),권수미(Kwon Soome) 한국옥외광고학회 2007 OOH광고학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전통적인 신문매체에 적용되던 준거틀을 벗어나 무료신문 자체의 정체성을 이루는 준거틀을 분리하는 작업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다. 우선 무료신문을 요약된 정보 전달, 연예/스포츠 기사특화 매체로 규정한 과거의 연구결과를 첫 번째 독립변인으로 하였다. 또한 무료신문이라는 매체의 선택에 유료신문에 대한 낮은 만족도가 영향을 미쳤다는 선행연구의 결론으로부터, 유료신문에 대한 수용자 인식이 무료신문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계량적 검증을 시도하였다. 유료신문에 대한 만족도는 유료신문에 대한 신뢰도와 전문성 인식으로 구분되었으며 이는 두 번째 독립변인을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매체접촉횟수, 매체 접촉의사, 매체이용 만족도, 광고관심도를 세 번째 독립변인으로 하였다. 각 독립변인간의 상관관계분석 방식을 이용한 본 논문의 연구결과 수용자의 요약된 정보탐색 욕구는 유료신문의 접촉횟수와 접촉의사를 대체로 낮추는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무료신문에 대한 접촉횟수와 접촉의사 역시 요약된 정보탐색 욕구가 클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임으로써 요약된 정보제공 매체로 인식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연예/스포츠 정보에 관심을 가진 집단일수록 무료신문을 자주 접촉한다는 것이 확인되어 선행연구에서 무료신문의 오락/연예/스포츠 면을 즐겨본다고 밝혔던 피험자 태도와 일치된다. 이는 TV 수용자에게서도 마찬가지 결과를 보여, 무료신문과 TV는 오락성을 추구하는 매체이용자에게 선택되기 좋은 대안으로 확인되었다. 수용자에 의한 유료신문의 신뢰성, 전문성 인식수준은 유료신문 매체 접촉도 및 만족도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에 유료신문의 신뢰성 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무료신문의 접촉도는 낮아졌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유료신문에 대한 만족도가 무료신문 선택에 영향을 준다고 해석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ertify non-paid newspaper-related variables which have the effects on audiences' media use experiences, excluding some bias caused by the application of the existing paid newspaper-related variables. And there was the other purpose to determine wether the evaluation of paid newspapers gives the influences on the media including non-paid newspapers. The variables in regard of non-paid newspaper were divided into the briefed news property and the entertainment/sports news property. And the items for the evaluation of paid newspapers were divided into the credibility and professionalism. From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variables, it was resulted that audiences' pursuit for the briefed news plays role to lesson the desire of usage toward paid newspaper and non-paid newspapers. This findings showed that audiences of non-paid newspapers don't recognize them as the briefed news messengers. Therefore, it means that the marketers and staffs of the non-paid newspapers should try to extend the characteristics as the information messengers. And also the more interests in entertainment/sports news audiences have, the more frequently they tend to use non-paid newspapers. Finally, the recognition level of paid newspapers' credibility and professionalism have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audiences' frequency in use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paid newspapers' credibility have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audiences' frequency in u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