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운수업 근로자의 미래에 대한 기대 향상을 위한 조직지원인식과 공정성 지각의 효과에 대한 연구

        김성한(SungHan Kim),함상우(SangWoo Hahm)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5

        서울을 비롯하여 한국의 버스 운수업의 경우 일반적으로 시내버스 회사와 마을버스 회사로 구분할 수 있다. 각각의 조직에 속한 근로자들은 각기 다른 상황에 처해있다. 특히 마을버스의 경우 유사한 업무를 수행하는 시내버스 운전자에 비해 적은 임금으로 인해 직무에 불만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버스 운전의 경력을 중시하는 시내버스의 환경은 근로자가 마을버스에서 경력을 쌓고 시내버스로 이직을 하도록 촉진시킨다. 그래서 마을버스의 경우 근로자들은 현재의 업무를 시내버스 이직을 위한 경로로 여기거나, 미래에 대한 많은 불안감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마을버스 운전자들을 중심으로, 현재 기업에서 지속적으로 근무를 할 때, 미래에 기대되는 바의 중요성을 동기부여의 관점에서 설명한다. 그리고 미래에 대한 기대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현재차원의 조직지원인식의 역할을 입증하며, 나아가 조직지원인식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공정성 지각의 역할을 설명한다. 이러한 현재 차원의 동기부여를 통해, 근로자들은 현재뿐만 아니라 미래에 보다 만족을 하게 되어 현재 조직에 남아있거나, 동기부여 되고 성과도 향상될 것이다. 이를 통해 마을버스 조직들은 뛰어난 인재를 확보하고, 이직과 채용 등을 통한 불필요한 낭비를 제거하여 조직 차원의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In the case of bus transportation in Korea, the city bus company and the town bus company are generally distinguished. Workers in each organization are in different situations.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town bus, the complaints about the job are caused by the low wage compared to the driver of the city bus which performs similar tasks. In addition, the city bus company, which emphasizes the experience of bus driving, encourages workers to build up their career in town buses and to transfer to city buses. Hence, in the case of town buses, workers see their current work as a route to transfer city bus company, and they have a lot of anxiety about the future. Therefore, this study explains the importance of what is expected of the future when working in the present enterprise, focusing on the town bus driv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role of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support at the present level as a way to improve the expectation of the future and to explain the role of perceived justice as a measure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support. With this current level of motivation, workers will be more satisfied with the present as well as the future, remain in the current organization, be motivated and improve their performance. Through this process, town bus organizations will be able to secure outstanding talent, eliminate unnecessary waste through turnover and recruitment, and improve organizational performance.

      • KCI등재

        대북 비핵화 외교 평가와 한국의 안보정책 방향

        김성한(金聖翰)(Kim Sunghan)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18 신아세아 Vol.25 No.3

        비핵화 외교의 기본 전제는 북한이 비핵화에 대한 불가역(不可逆)적 조치를 보여주기 전까진 대북제재를 완화하거나 남북경협을 본격화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비핵화보다 남북관계 개선이 앞설 때 대북 비핵화 외교는 제대로 효과를 낼 수 없게 된다. 역사적인 4.27 남북 정상회담과 6.12 미북 정상회담이 이뤄졌지만 지금까지 제대로 성과를 내지 못하는 데는 ‘때 이른’ 종전선언을 요구하며 핵 프로그램의 동결 및 신고를 거부하고 있는 북한에게 일차적 원인이 있지만, 한미공조보다 남북관계를 우선시 하는 것처럼 보이는 한국 정부도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미국 역시 북한이 내건 종전선언 프레임을 신속하게 비핵화 프레임으로 바꾸지 못해 마치 미국 때문에 비핵화 협상이 답보상태에 있는 것처럼 비춰지게 만든 것도 문제다. 따라서 한국 정부는 자신의 선의(善意)에 감동하여 북한의 김정은 정권이 비핵화 조치를 취할 것이라는 낭만주의적 사고에서 벗어나 북한의 핵능력에 대한 억지력과 방어력 구축 작업을 지속적으로 해나가야 한다. 북한 핵에 대한 최대의 억지력은 한미동맹이므로 이를 잘 유지해야 하고, 북한의 핵사용에 대한 방어를 위해 한미연합전력을 강화하고 ‘3축 체제’를 완성해야 한다. 물론 이러한 조치들은 북한이 완전한 비핵화를 완성할 경우 상당부분 조정이 필요한 사안이다. 그러나 그러한 조정을 사전에 취함으로써 북한의 비핵화를 이끌어 낸다는 것은 안보정책의 근간을 흔드는 조치일 수밖에 없다. 북한이 핵을 가지고 있는 한 대북정책의 핵심 기조는 견고한 안보체계에 바탕을 두어야 한다는 자세를 가지고 비핵화 외교와 억지 및 방어책을 마련할 때 북한의 태도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South Korea’s denuclearization diplomacy is premised upon the principle that sanctions would not be eased and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would not be initiated unless North Korea shows irreversible actions toward denuclearization. There will not be tangible results when inter-Korean cooperation precedes North Korea’s denuclearization. Lukewarm progress in denuclearization is mainly the result of North Korea’s premature demand for an end of war declaration despite its refusal to freeze and declare its nuclear program. The ROK government is also responsible since it appears to put inter-Korean cooperation before ROK-US policy coordination. In addition, the United States government has been clumsy and not dealt appropriately with North Korea’s demand for an end of war declaration. The United States has not clearly rebuffed the idea of such a declaration, implying that it is interested in exchanging it for North Korea’s declaration of its nuclear programs. South Korea needs to escape romantic thinking that North Korea will move in the right direction and reciprocate South Korea’s good faith gestures. Rather, South Korea should build and reinforce its deterrence and defense capabilities against North Korea. The best deterrence and defense capability comes from the ROK-US alliance and South Korea’s “three-axis” system, although they will have to be adjusted when North Korea gives up its nuclear weapons program. South Korea’s security posture is likely to be weakened when South Korea makes readjustment measures before North Korea moves closer to final denuclearization. As long as North Korea continues to possess nuclear weapons, South Korea should make strong national security its top priority, and make it the foundation of its denuclearization diplomacy while taking measures for deterrence and defense. These combined efforts will push North Korea toward the right direction.

      • KCI등재

        미국 트럼프 행정부 출범과 한미관계의 방향

        김성한(KIM Sunghan)(金聖翰)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17 신아세아 Vol.24 No.1

        미국 트럼프 행정부 출범을 계기로 한미 양국은 어느 한 쪽이 일방적인 이익을 제공하는 동맹이라는 인식을 바꿀 필요가 있다. 자유민주주의적 가치를 공유하는 가운데 서로에게 전략적으로 이익이 되는 동맹이라는 공감대 위에 호혜적 전략동맹’을 구축해야 한다. 자유주의 국제질서의혜택을 누려온 한국으로선 보호무역주의 색채를 띠고 있는 트럼프 행정부에 대해 한미 FTA가 양측 모두에게 이익이 된다는 점을 구체적 자료를 바탕으로 강조해야 한다. 또한 트럼프 행정부는 아시아에서 다자협력보다 공세적 양자관계를 우선 시 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가 양자관계와 세력균형정책만을 중시할 경우 역내 반미감정 고조나 미국의 동맹국들에 대한 비판이 고조될 수 있으므로 미국과의 긴밀한 협의를 통해 미국의 지속적인 역내 다자협력체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 동북아 다자협력과 아태 다자협력과의 시너지 효과도 유도할 필요가 있다. 물론 한미양국이 당면한 최대 현안은 북한의 핵ㆍ미사일 위협이나 2009년 한미동맹 공동비전에서 천명했듯이 동맹을 통해 한반도 통일을 이룩하기 위해 노력하고 통일이후 한미관계에 관해 협의해 나가야 한다. 통일 후에도 한ㆍ미동맹이 지속된다는 전제 하에 특정 국가를 겨냥하지 않고 ‘아시아의 지역안정군’ 역할을 하는 주한미군의 역할 변화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With the inauguration of President Donald Trump, the ROK and the United States need to eliminate the belief that one provides the other with unilateral benefits in their strategic alliance. They must establish a “mutually-beneficial strategic alliance” based on the shared belief that the ROK-US alliance serves the strategic interests of both countries. The ROK, as a beneficiary of the liberal international order, should emphasize that the KORUS FTA is a mutually beneficial mechanism with a view to minimizing possible trade conflicts between them. In addition, the Trump administration is likely to prefer offensive bilateralism rather than regional and multilateral cooperation in the Asia-Pacific. As a US obsession with bilateralism and the balance of power without multilateral cooperation could provoke anti-American sentiment in the region, the ROK should induce the United States to show its commitment to regional multilateral mechanisms such as the EAS, APEC, and the ARF. This is also expected to create a synergistic effect between Asia-Pacific regional cooperation and Northeast Asian mini- and multilateral efforts. Although the North Korean nuclear and missile threats are a top priority for the allies, they should consult on how to achieve Korean reunification and how to redefine the rationale of the ROK-US alliance after reunification. One option is that US forces on the unified Korea will be a regional stabilizing force that will never target a particular country.

      • KCI등재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대(對) 중국 전략 : 봉쇄에서 변환으로

        김성한(Sunghan Kim)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21 신아세아 Vol.28 No.2

        바이든 행정부는 중국을 수정주의 세력으로 규정하는 트럼프 행정부의 시각을 공유하면서도 보호무역, 다자주의 거부, 동맹 경시와 같이 자유주의적 질서를 훼손하는 식으로 대응해서는 안 된다고 본다. 자유주의적 국제주의를 바탕으로 동맹 및 파트너국과 함께 체계적으로 중국에 대응하자는 것이다. 바이든 행정부는 중국의 수정주의적 대외정책보다는 반민주적 행태에 더 비중을 두는 경향이 있다. 2021년 G7, NATO, EU 정상회담에서 바이든 대통령은 ‘미국의 귀환’을 선언하고, 인태전략에 대한 유럽의 접근, 더 나아가 글로벌한 차원에서의 중국과 러시아의 행태를 바꾸도록 압박하는 ‘변환(transformation)’ 전략의 틀을 잡았다. 냉전기에는 미국과 소련 간 경제적 상호의존이 부재했기 때문에 경제적 단절과 군사적 압박을 통해 소련의 붕괴를 기다리는 ‘봉쇄(containment)’ 전략이 가능했으나, 현재의 미중관계는 경제적 단절이 불가능하므로 군사·가치·기술 분야의 복합적 압박을 통해 중국의 행태를 변환시키겠다는 것이다. 미국은 중국의 일대일로를 동쪽에선 인도-태평양 전략과 미국-일본-호주-인도 4개국 협의체인 쿼드(Quad)로 저지하고, 서쪽에서는 NATO로 압박하여 좌우 ‘협공’을 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협공의 두 축은 군사적 견제와 가치 압박이다. 그리고 중국을 글로벌 공급망에서 원천적으로 배제해야 한다고 생각했던 트럼프 행정부와 달리 바이든 행정부는 신기술 분야에 집중하고 있다. 중국을 글로벌 공급망에서 총체적으로 디커플링(decoupling)하기보다 신기술, 그 중에서도 가장 원천 기술이라고 할 수 있는 반도체 제작 기술은 미국이 압도적 우위를 점하고 있기 때문에 중국에 대한 디커플링이 가능하다고 보는 것이다. 바이든 행정부는 신기술이 군사, 경제, 안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데도 아직 글로벌 분업체계가 정립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를 주도하려 한다. 중국에 대한 군사 및 인권 압박과 더불어 미래 핵심 산업기술 분야로의 진입을 통제하는 작업을 동북아(대만-한국-일본-미국)에서 범세계적 차원으로 확대하고 있다. 그 결과 미국의 대 중국 전략의 지정학적 초점이 동남아에서 현재 동북아로 북상하고 있으며, 한국의 입장이 주요 변수로 등장하고 있다. The Biden Administration shares the previous Trump Administration’s definition of China as a revisionist state, but it opposes the China strategy that was implemented by Trump in the self-contradictory way of damaging the liberal international order such as trade protectionism, anti-multilateralism, and underestimated alliances. Biden emphasizes a systematic and liberal internationalist response to China together with U.S. allies and partners. The Biden Adminstration puts more emphasis on China’s non-democratic behavior than its revisionist external policies. President Biden declared the return of America at the G7, NATO, and EU summit meetings in June 2021, and he showed what can be called a transformation strategy that focuses on changing the behavior of China rather than containing and waiting for the collapse of China. The China strategy of the United States is thus anchored on the Indo-Pacific strategy with the expanded commitment of Asian and European allies and partners. Unlike the Cold War period when there was little economic interdependence, it is virtually impossible for the United States and its allies to cut off their ties now with China completely. In this vein, the transformation strategy is thus aimed at comprehensive pressure on China in the military, value, and technology domains by squeezing China’s BRI between the NATO and the Quad-based Indo-Pacific strategy. Among the three domains of military, value, and technologies, the Biden adminstration is paying a greater attention to decoupling China from the global value chain of emerging new technologies. In particular, the United States possesses the superiority in designing next-generation semi-conductors that constitute the core element for cutting-edge technologies in AI, 6G, quantum computing, etc.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 new semi-conductor network linking Taiwan, South Korea, Japan, and the United States is making South Korea emerge as a significant variable for the U.S. global transformation strategy on China.

      • Miniature planar stack using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s current collectors

        김성한(Sunghan Kim),차혜연(Hyeyeon Cha),차석원(Craig M. Miesse),장재혁(Jae Hyuk Jang)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8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8 No.05

        Fuel cells have the potential of providing several times higher energy storage densities than those possible using current state-of-the-art lithium-ion batteries, but current energy density of fuel cell system is not better than that of lithium-ion batteries. To achieve the high energy density, volume and weight of fuel cell system need to be reduced by miniaturizing system components such as stack, fuel tank, and balance-of-plant. In this paper, the thin flexible PCB (Printed circuit board) is used as a current collector to reduce the stack volume. Two end plates are made from light weight aluminum alloy plate. The plate surface is wholly oxidized through the anodizing treatment for electrical insulation. The opening rate of cathode plate hole is optimized through unit cell performance measurement of various opening rates. The performances are measured at room temperature and ambient pressure condition without any repulsive air supply. The active area of MEA is 10.08 cm2 and active area per a unit cell is 1.68 cm2. The peak power density is about 210 mW/cm2 and the air-breathing planar stack of 2 Wis achieved as a small volume of 18 cc.

      • KCI등재

        코로나 사태 이후 미국의 아시아 전략: 21세기형 봉쇄전략의 태동

        김성한(Kim Sunghan)(金聖翰)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20 신아세아 Vol.27 No.3

        미국은 중국을 상대로 ‘경성 봉쇄(hard containment)’와 ‘연성 봉쇄(soft containment)’를 실천에 옮기고 있다. 경성 봉쇄는 중국의 군사적 팽창을 저지하는 작업이고 연성 봉쇄는 글로벌 가치 사슬로부터 중국을 퇴출시키는 것이다. 미국은 중국의 반접근지역거부(A2AD) 전략에 대응하기 위해 공해전(Air-Sea Battle) 개념을 채택했었는데, 이를 육해공 합동작전으로 발전시켰고, 영역도 사이버와 우주까지 포함해 다전장영역(multi-domain)에서 미국이 오랫동안 누려온 서태평양 지역 패권을 수호하려고 한다. 여기엔 4차 산업혁명을 활용한 첨단기술의 획득이 동시에 수반된다. 이러한 개념과 작전들을 합치게 되면 육·해·공·사이버·우주 등 다전장영역 차원의 대 중국 봉쇄전략이 된다. 그러나 중국을 경제적으로 고립시키는 연성 봉쇄는 오랜 기간 중국과 교역하고 투자한 나라들이 단기간 내에 중국과의 관계를 단절하기는 힘들 것이므로, 무역·금융·투자 등 포괄적 분야보다는 차세대 반도체, AI, 퀀텀 컴퓨팅 등 첨단기술 분야의 봉쇄에 한정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 아시아에 대한 미국의 21세기형 봉쇄전략은 (1) 동맹 네트워크를 활용한 군사적 억제력 강화, (2) 첨단기술동맹을 통한 중국의 추격 저지, (3) 다자주의 활용 등이 합쳐질 것이다. 2019년 2월 하노이 미북 정상회담을 통해 김정은이 핵 포기의사가 없다는 것을 확인한 트럼프 대통령은 재선에 성공하더라도 북한과의 대화를 재개하기 보다는 봉쇄를 강화하는 쪽으로 갈 가능성이 크다. 재선에 성공한 대통령이 중국에 대한 압박과는 별개로 북한과 ‘스몰딜(small deal)’ 즉, 부분적 비핵화와 대북제재 완화를 맞바꾸는 불완전한 합의를 해야 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오히려 트럼프 행정부는 대북 제재의 고삐를 죄는 가운데 북한이 중국의 ‘비호’에서 벗어나 핵을 포기하고 미국과의 관계를 정상화하던가 아니면 중국과 함께 봉쇄의 고통을 감내하도록 양자택일을 요구할 개연성이 크다. 바이든 전 부통령이 당선되더라도 북한과의 섣부른 합의보다는 중장기적으로 북한의 비핵화를 염두에 두고 제재를 지속해 나갈 것이다. The United States is attempting the simultaneous hard containment and soft containment of China. Hard containment refers to a strategy of deterring China’s military expansion, while soft containment aims at weeding out China from the global value chain. The US adopted the “Air-Sea Battle” concept to cope with China’s anti-access/area denial (A2AD) strategy, but it was replaced by joint operations of the army, navy, and air forces in the second-term of the Obama administration. This has been developed by the Trump administration into the Multi-Domain Operation (MDO) that supports US hegemony in the western Pacific region by expanding coverage to the cyber and space domains. The success of MDO requires the acquisition of high technology as a by-produc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se concepts and operations can be fused into a containment strategy against China in multi-domain theaters. It will be extremely difficult, however, for US allies and friends to cut economic relations with China and join an anti-China production network, which would create a technological alliance in such sectors as next-generation semiconductors, AI, and quantum computing. The US containment strategy toward Asia in the 21st century consists of (1) strengthened military deterrence based on its alliance network; (2) a state-of-the art technology alliance with key allies and friends; and (3) multilateralism. With respect to North Korea, President Trump, if reelected, is likely to reinforce containment against North Korea rather than resuming dialogue. There would be little reason for him to strike a “small deal” that trades North Korea’s partial denuclearization for sanctions relief, apart from putting additional pressure on China. Trump is more likely to push North Korea to choose between normalizing with the US (after defecting from China) or becoming a joint target with China of US containment. Even if Joe Biden is elected, sanctions on North Korea will continue with the long-term objective of denuclearizing North Korea rather than trying to reach a short-term deal.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