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연변 방언 연구 -조사와 종결어미를 중심으로-

        김선희 ( Shan Ji Jin ) 한민족어문학회 2013 韓民族語文學 Vol.0 No.64

        본 논문은 연변 방언의 특성을 조사와 종결어미를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다룬 논문이다. 한중수교이후 연변 지역어에 대한 연구는 끊임없이 진행되고 있고 세분화되고 있다. 방언은 표준어와는 달리 지역에 따라 다른 경향을 보인다. 이 논문에서는 조사를 격조사와 보조사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한국과 달리 주격조사는 주로 ‘-이’로 실현되거나 주격조사가 생략되는 것이 연변 방언의 두드러진 현상이다. 또한 주격조사와 연관성을 보이는 ‘-이가’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높임을 나타내는 주격 조사 ‘-께서’는 사용되지 않고 있다. 공동격조사 ‘-(이)랑’, ‘-(이)라메’가 쓰이고 있으며 목적격조사는 주로 ‘-으/느’가 쓰이고 생략가능하다. 또한 강조를 나타내는 ‘-(이)란게/랑게, -라는게, -ㄴ게’ 등 보조사가 존재할 뿐만 아니라 ‘-(이)사’, ‘-아부라’, ‘-배끼’ ‘-마따나’ 등 보조사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종결어미에 의한 방언을 서술형, 의문형, 청유형, 명령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연변 지역어의 종결어미는 세 등분 체계로 이루어지는데 응응체, 양양체, 예예체 등 형태로 나타난다. 한국어의 일반적인 방언과 특수한 차이를 보이는 양양체는 한국의 하게체와 하오체를 넘나드는 쓰임의 폭이 광범위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연변에서는 ‘해요’체가 쓰이지 않고 있다. 연변에 정착한 경상도나 평안도 출신들은 극소수에 불과하고 현재 거주민의 대부분이 함경북도 이주민의 2,3대이므로, 방언학적 측면에서 보면 연변의 방언은 크게 ‘육진방언’과 ‘함북방언’을 기층으로 하여 이루어진 두 개의 방언으로 하위분류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researches in the two features of Yanbian dialect: Particles(Josa) and Endings(Eomi). Since the treaty of Amity of China with South Korea in 1992, the researches of the Yanbian dialect have been continuously going on, while having been subdivided according its local features. In the category of particles, this study mainly deals with case markers and auxiliary particles. Unlike the standard language in Korea, Yanbian dialect indicates the subjective case by "i", or by dropping the case marker. In addition, "iga" which is related to the subject marker exists, and comitative case markers "~(i)rang" and "~(i)rame" are used to indicate the subjective case. The auxiliary particles such as "~(i)range/rangge/raneunge/(n)ge" exist, and the particles like "~(i)sa", "~abura", "~bekki", "~mattana" are being widely used. It is also worth to mention that the subjective marker "kkeseo" is only used in written forms. This study classifies endings of Yanbian dialect into four parts: declarative, interrogative, propositive, and imperative endings. And these endings are realized by the three styles: "Eungeung", "Yangyang", and "Yeye". "Yangyang"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which features the wide usage ranging from "Hage(intimate level)" to "Hao(authoritative level)". In Yanbian, "Heyo(polite level)" style is not used any more. In Yanbian, the population of immigrants from Gyeongsang province or Pyeongan province is very small. Most of local residents are descendants of immigrants from Hamgyeong-north province. For this reason, in a dialectologcial view, Yanbian dialect can be subdivided into two dialects which have been developed from Yukjin dialect and Hambuk dial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