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학교 가정과 선택과목 개발을 위한 미국 미네소타 주 고등학교 가정과 교육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김샛별 ( Saetbyeol Kim ) 한국교육과정학회 2021 교육과정연구 Vol.3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 미네소타 주 고등학교 가정과 선택 교육과정 사례를 분석해 우리나라 가정과 교육의 고교학점제를 준비를 위한 선택과목 개발에 관한 시사점을 탐색한 것이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3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학생들의 학습 선택권 보장과 진로 탐색을 위해 가정과 교육의 5개 영역별 선택과목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현재, ‘의복과 패션’, ‘주거와 환경’, ‘가정 자원과 소비자’ 영역의 진로 선택과목이 부재하므로 이에 관한 선택과목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인간 발달과 가족’ 영역은 ‘관계’, ‘돌봄’과 같은 사회적 이슈 및 직업윤리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의복과 패션’, ‘주거와 환경’ 영역은 ‘디자인’ 주제를 중심으로 산업 현장에서 활용하는 기계와 프로그램을 적용해 선택 교육과정을 개발할 것을 제안한다. 둘째, 학생들이 건강하고 자립적인 삶을 영위하도록 도움을 주는 선택과목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미네소타 주의 경우 ‘성인의 역할과 책임/인간의 성’, ‘가족과 대인 관계’, ‘자립적인 생활’과 같은 건강한 가정생활과 직업생활에 도움을 주는 진로 선택과목을 개발하였고, 실제 일선 학교에서도 ‘진로와 10대 이슈’, ‘자립적인 생활’ 교과명으로 선택과목을 개설해 운영하고 있었다. 이에 고교학점제가 오직 대학 입시를 위한 지식 전달 위주의 획일적 교육과정을 탈피하고 가정과 교육의 사회적 책무성을 실현할 수 있는 선택과목 개발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학생 활동 중심의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토론, 개별 프로젝트, 프리젠테이션, 실습, 애플리케이션 혹은 시뮬레이션 등을 활용한 수업)을 적용해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실생활에 적용할 수있도록 교육과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and draw lessons from the case of Family and Consumer Sciences(FCS) curriculums in Minnesota and to provide implications to the designing of HE elective courses for high schools in Korea. First, there is a need to develop electives within the 5 broad areas of HE for career development and to ensure students’ right to choose classes. Specifically, career development related elective courses in “clothing and fashion”, “home and environment”, and “home resources and consumers” are needed. And we suggest following Minnesota’s curriculum by developing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courses focusing on social issues and work ethics such as “relationship” and “care”. “Home and development” and “clothing and fashion” courses need to center on “design” by incorporating programs and technologies being used in the field. Second, we need to develop elective courses that can help students to maintain healthy and independent life. The state of Minnesota has developed elective courses such as “adult role and responsibilities/ human sexuality”, “familie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dependent living” that can lead to healthy home and work life. The courses are offered in schools under the names of “career and issues in teen life” and “independent living”. Thus, we suggest developing elective courses that go beyond the rigid, college-prep curriculums to emphasize the social and family responsibility. Lastly, we need to develop curriculums that can be directly applied to the real world and foster interests from students by applying student-centered teaching methods such as discussion, individual project, presentation, field work, application or simulation.

      • KCI등재

        고등학교 가정과 선택과목 개발을 위한 미국 고등학교 가정과 교육과정 사례 연구: 미국 오하이오 주(州)를 중심으로

        김샛별(Kim, Saetbyeol)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2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and draw lessons from the case of Family and Consumer Sciences(FCS) curriculumsin Ohio and to provide implications to the designing of HE elective courses for high schools in Korea. For this, 19 curriculumdocuments that are available from the website of the Ohio Ministry of Education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following the example of the Ohio Pathway which was developed in consideration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eld, college admission, student’s interests, and the societal change, it is recommended that KoreanHE curriculum consider developing HE Pathway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HE education system. Second, Ohio’sFCS curriculum offers a well-structured system consisting of total 18 courses and contents within the four broad FCS Pathwaythemes. Thus, it is suggested that the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organize a task force to develop ‘HEPathways’-‘College majors’-‘Elective career focused courses’, and student-centered career exploratory elective courses focusingon the students’ needs. Third, it is necessary for HE teachers and professors to newly develop basic elective courses whichlays the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of Home Economics and help students to follow advanced HE elective courses. Lastly,there is a need for designing career-focused elective courses that can provide practical resources for the college admission processby interviewing college admission officers, education specialists, career counselors, college admission specialists, home economicprofessors and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가정과 진로 선택과목을 개발해 운영하고 있는 오하이오 주 가정과 교육과정 사례를 살펴, 우리나라고교학점제를 대비하기 위한 가정과 진로 선택과목 개발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오하이오 주 교육청홈페이지에서 교육과정 문서 19건을 다운받아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오하이오주가 제시한 가정과 진로 계열은 학문적 특성, 대학 입시, 학생들의 관심과 요구, 사회의 변화 등을 고려해 개발한 것으로,이를 참고하여 우리나라 가정과 교육 실정에 맞는 가정과 진로 계열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오하이오 주 가정과 교육은4개의 가정과 진로 계열과 각 계열에서 이수할 수 있는 총 18개의 선택과목명과 내용체계를 제시하고 있었다. 이에 한국 가정과교육학회 차원에서 TF팀을 구성하여 ‘가정 진로 계열’-‘대학 학과’-‘진로 선택과목’ 안을 개발한 뒤, 이를 기반으로 가정과 진로선택과목에 관한 고등학생들의 요구를 파악해 수요자 중심의 진로 선택과목을 개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셋째, 일반 선택과목인‘기술⋅가정(가정 교과)’, 그리고 진로 선택과목인 ‘가정 과학’의 위계성과 내용 계열성을 고려하여, 가정과 진로 선택과목을이수하기 위한 기초과목으로써 새로운 일반 선택과목 개발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고등학생들의 대입 전형에 실제적인 도움이주기위해 입학사정관, 가정과 교육과정 전문가, 진로 교사, 대입 전문가, 교수, 가정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및 의견을 반영하여 가정 계열 대학 진학을 위해 필요한 진로 선택과목을 개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고등학교 가정교과 수행평가 계획서 분석

        김샛별(Kim, SaetByeo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4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처음 시행된 2018학년도 전국 고등학교 수행평가 계획서를 분석해, 고등학교 교육 현장에서 가정교과의 수행평가가 어떻게 시행되고 있는지 그 실태를 파악하고 가정과 수행평가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안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분석대상은 학교알리미(http://www.schoolinfo.go.kr/index.jsp)에 탑재된 전국 고등학교 2,358개교(KOSIS, 2018. 12. 04) 중 무작위로 287개교를 추출하여, 기술·가정 수행평가를 실시하는 204개교의 1, 2학기 가정과 수행평가 계획서이다. 분석결과 총 798개의 수행평가 과제가 추출되었으며, 고등학교의 경우 한 학기에 약 2개의 가정 수행평가 과제를, 평가 방법으로는 실험·실습 26.3%(210개), 서술·논술 18.4%(147개), 연구보고서 12.0%(96개), 포트폴리오 10.3%(82개) 순으로 수행평가를 실시하고 있었다. 또한 핵심개념별 수행평가 과제를 분석한 결과 ‘생활 문화’ 핵심개념의 단원에 수행평가 과제가 집중되었으며, ‘안전’, ‘관리’, ‘생애 설계’ 핵심개념의 단원에는 수행평가의 개수와 종류가 제한적이었다. 이에 ‘핵심개념’별로 다양한 수행평가 방법을 적용한 균형 있는 수행평가 과제 개발과 현장 적용을 제언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performance assessment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is being implemented in high schools by analyzing the 2018 performance assessment plan of high schools, applying newly revised curriculum in 2015, across the country. With the results, we would like to suggest the right direc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of Home Economics. 287 school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2,358 national high school listed in School Info (http://www.schoolinfo.go.kr), and the performance assessment plans of 204 schools carrying out performance assessment of Home Economics for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 finally were analyzed. 798 performance assessment tasks were extracted, it indicates that a high school performs approximate 1.96 performance assessment of Home Economics per one semester. The type of performance assessment was in the order of “Experiment and Practice (26.3%),“Narrative and Essay Writing (18.4%)”, “Research Report (12.0%)”, and Portfolio(10.3%)”.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 tasks of performance assessment are highly concentrated on the core concept of “Living Culture”, while the number and type of tasks in terms of “Safety”, “Management”, and “Life Course Design” are very scarce. Therefore, we propose that it is required to develop more balanced performance assessment tasks applying various types and methods of performance assessment across the core concepts.

      • KCI등재

        2015 개정 중학교 가정 교과서 지속가능발전교육(ESD) 연관성 및 탐구 성향 분석: ‘청소년기의 소비생활’ 단원을 중심으로

        김샛별(Kim, Saetbyeol),예슬(Kim, Yeasle)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2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2 No.3

        본 연구는 2015 개정 중학교 가정 교과서의 ‘청소년기의 소비생활 단원을 지속가능한 발전(ESD)의 측면에서 분석해 ESD와의연관성을 찾고, Romey 분석을 통해 ‘청소년기의 소비생활’ 단원의 탐구 성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선행연구에서 사용된ESD와 관련된 평가 기준을 정리하여 환경적 관점(천연자원, 기후변화/재해예방 및 완화, 지속가능한 농촌과 도시), 경제적 관점(기업의 지속가능성, 시장경제, 빈부격차 완화), 사회⋅문화적 관점(인권/평화/인간보호, 문화적 다양성과 이해, 건강/안전, 시민참여,국가경영)으로 11개의 핵심 내용을 가진 분석틀을 설정하였다. 설정한 분석틀을 바탕으로 중학교 가정 교과서 12종의 ‘청소년기의소비생활’ 단원의 학습 내용을 분석하였고, Romey의 탐구적 교과서 분석방법에 따라 본문문장, 사진⋅삽화⋅표⋅그래프, 활동과제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경제적 관점의 ‘시장경제’, ‘국가경영’의 핵심 요소를 모든 교과서가 본문문장, 사진⋅삽화⋅표⋅그래프, 활동과제의 3가지 형태로 다양하게 제시하고 있었으나, 건강/안전, 시민참여, 지속가능한 농촌과 도시, 기업의 지속가능성핵심 내용의 내용 요소는 상대적으로 부족해 ESD의 다양한 내용을 다루는 교과서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보았다. 또한 Romey분석 결과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본문문장, 사진⋅삽화⋅표⋅그래프는 권위적 성향으로, 활동과제의 경우 탐구적 성향으로 나타났다. 청소년들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소비 가치관 형성과 행동 실천을 위해 보다 다양한 ESD 관련 내용을 가정과 수업에반영하고, 탐구적 성향의 학습활동을 수업에 창의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가정과 ESD 수업 모델을 개발해 가정과교육 현장에서 실천하여 효과를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relevance of ‘Adolescence consumption’ units to ESD(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and to analyze the unit s inquiry tendency through the Romey analysis method. The assessment criteria in association with ESDdeveloped in the previous literature were summarized and established to set up an analysis framework consisted of 11 key pointsincluding environmental perspective (natural resources, climate change/disaster prevention and mitigation, and sustainable ruraland urban systems), economic perspective (corporate sustainability, market economy, and poverty gap mitigation), and socio-culturalperspective (human rights/peace/human protection, cultural diversity and understanding, health/safety, civic engagement, and managementof nation). With this framework, the learning contents of ‘adolescence consumption life’ unit in twelv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textbooks were analyzed including the texts, images/illustrations/tables/graphs, and activitie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core elementsof the ‘market economy’ and ‘management of nation’ from the economic perspective were presented in three different formats: texts,images/illustrations/tables/graphs, and activities. However, relatively insufficient contents were presented in terms of health/safety,civic engagement, sustainable rural and urban systems, and corporate sustainability, and thus, development of textbooks dealingwith various ESD contents is neededrecommended. Additionally, most textbooks’ texts and images/illustrations/tables/graphs tendto be authoritative, while activities and assignments exhibited an inquiry tendency. It is advisable to incorporate a wider varietyof ESD-related content in Home Economics classes and creatively employ inquiry-based learning activities for the developmentof pro-sustainable-development consumption values and behavioral tendencies among young students.

      • KCI등재

        2015 개정 고등학교 가정과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6개 핵심개념을 중심으로

        김샛별(Kim, Saetbyeol) 한국생활과학회 2020 한국생활과학회지 Vol.2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maker education programs for home economics (HE) based o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t can be argued that HE is an ideal subject for implementing a maker education program as it embraces the three core elements of maker education, that is, making, makers, and makerspaces. However, there are a paucity of maker education programs which can consistently be provided for high school students. Thus, this study, adopting the TPMS model, developed HE maker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he six core concepts of the HE national curriculum. Especially, the program was developed following the ADDIE process. To be specific, in the stage of design, this study planned content, maker tools, and maker activities. The goal of the development phase was to present maker education programs for the respective core concepts. In the implementation phase, this study conducted a pilot testing with 24 students. Last, in the evaluation phase, a validation test with five teachers and interviews with 24 students was administered, to complete the models based on valuable feedback from the teachers and students. This study suggests that future research in this area examine the effect of various maker education programs, and finally, hopes that the outcome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ing the HE maker education.

      • 재범주화를 통한 IPTV의 메뉴구조 개선 및 평가

        방동민(Dongmin Bang),안진철(Jincheol Ahn),박성수(Sungsu Park),김샛별(Saetbyeol Kim),신우(ShinWoo Kim) 한국HCI학회 201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3 No.1

        국내 IPTV의 사용자 수는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IPTV를 이용하기 위한 메뉴의 불편함은 서비스 시작부터 현재까지 해소되지 않고 있다. 그 원인으로는 최상위 메뉴 계층의 직관적이지 못한 범주화 및 부적절한 메뉴명칭의 사용, 상위메뉴와 하위메뉴의 일관성의 결여, 그리고 IPTV 사용에서 매우 중요한 검색기능의 사용을 불편하게 만드는 메뉴구조 등을 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메뉴구조를 재범주화 하여 개선안을 도출한 후, 개선안과 기존안을 효율성과 오류의 측면에서 비교하였다. 그 결과 참가자들은 개선안이 기존안에 비해 더 빠르고 정확한 반응을 보였으며, 개선안에서는 사용자 경험수준에 따른 과제완료시간과 오류의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Although the number of domestic IPTV users has rapidly increased, the inconveniencies involving menu structure have not yet been resolved since the onset of its service. Reasons for the inconveniences include unintuitive categorization of menu hierarchy, inadequate menu labels, inconsistency between high- and low-order menus, and the menu structure itself that hinders use of search function critical to IPTV. To address these issues, in this research we came up with an alternative menu structure through recategorization of the previous one, and then compared the new vs. old menu structures with respect to use efficiency and error rate. The results showed that users were faster and more accurate In the use of our alternative menu design, and in the use of our new menu design there was no time and accuracy difference across groups of different expertise with IPTV.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