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각화전략을 통한〈지구를 지켜라〉의 다성적 내러티브 구축

        김병정(Byeongjung Kim) 한국콘텐츠학회 200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10

        포스트 모던 시대의 내러티브는 고전적인 일방향 소통방식에 비해 작가와 수용자의 관계를 특별하게 변화시켰다. 이러한 스토리텔링에서는 수용자가 플롯에 직접 관여하여 내러티브를 변화시킬 수 있는 형식에 대한 논의가 있어왔다. 그러나, 이런 연구들은 일방향적 내러티브 분석에 적용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런 가운데〈지구를 지켜라〉는 영화의 매체적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수용자의 역할을 강조하는 내러티브를 활용하고 있다.〈지구를 지켜라〉의 내러티브는 관객들에게 다성적으로 읽힌다. 관객들은 영화가 제공하는 서로 다른 목소리를 통해서 표면적인 이야기 외에 스스로가 재구성한 또 하나의 이야기를 만들어 내도록 유도 받는다. 이 글에서는〈지구를 지켜라〉의 내러티브를 구성하는 요소들이 어떻게 관객들에게 새로운 이야기를 구성해내도록 하는지 살펴보면서, 두 가지 이야기의 상호작용 속에서 구축된 내러티브를 살펴보고자 한다. The narrative in the post mordern age specially chang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riter and the audience. There has been discussions in digital story telling on the format where the audience directly get involved in the plot and change it. However, relevant research has a problem that makes it hard to be applied to unilateral narrative analysis. However, in this context, Save the Green Planet utilizes the narrative that emphasizes the role of the audience while keeping the media characteristics of the movie. Save the Green Planet is read in a monophonic manner by the audience. The audience is led, through different voices provided by the movie, to create another plot that is restructured by themselves other than the explicit plot. This paper aims to examine how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narrative of Save the Green Planet restructure a new plot, and examine the restructured narrative between the interaction of the two plots.

      • KCI등재후보

        영화 <혼자>의 롱테이크와 촬영기술 연구

        김병정(Kim, ByeongJung)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2021 지식과 교양 Vol.- No.8

        영화 <혼자>는 최근 한국의 주류 대중영화와 다른 매우 독특한 촬영 스타일을 보여 준다. 이는 비단 상업영화와 독립영화라는 제작시스템에서 오는 차이를 넘어 주류 상업영화에서 즐겨 사용하는 익숙한 촬영방식이나 편집 등과 의도적인 거리를 두면서 나름의 미학적 성취를 얻어내고 있고, 이런 지점에서 <혼자>는 소수의 예술영화전용관에서 한정적으로 개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 및 해외 영화제와 평단에서 주목을 받으며 호평을 얻었다. 특히, 시각적 판타지를 만들어내는 과정에서 영상제작 테크놀로지를 다루는 방식에 있어 다른 영화들이 취하는 태도와 매우 다른 태도를 취하고 있으면서도 나름의 미학적, 양식적 완성도를 이루어 내고 있는 점은 매우 주목할 만하다. 이 글에서는 <혼자>에서 사용하고 있는 촬영의 스타일과 테크놀로지를 분석해 보면서 이런 요소들이 영화의 스토리텔링과 미학적 완성도에 어떤 기여를 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The movie Alone shows a very unique cinematographic style that is different from the recent mainstream popular films in South Korea. This goes beyond the difference that comes from the production systems of commercial films and independent films, and achieves its own aesthetic achievements by deliberately keeping a distance from the familiar shooting methods and editing used in mainstream commercial films. At this point, Alone has received favorable reviews from Korean domestic and overseas film festivals and critics, despite its limited release in a small number of art film theaters. In particular, it is noteworthy that in the process of creating a visual fantasy, the film’s method of handling new technology for visual effects is strikingly different from that of other films, while achieving its own aesthetic and stylistic perfection. In this article, the cinematographic style and technology used in Alone are analyzed, and how these factors contribute to the storytelling and the aesthetic perfection of the film is exami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